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10/10 21:20:31
Name CE500
Subject [질문] 간헐적 단식과 근성장과의 관계
대략 한달가까이 18시간 공복유지하고 하루 두끼 먹었더니
사실상 유지칼로리만큼 섭취가 불가능해서 살이 쭉쭉빠지더니
눈바디는 크게 근육량이 감소되지 않긴하지만
근육량이 감소하고 체지방률도 내려가긴하네요.

제일 기분 나쁜건 몸의 에너지레벨이 많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데
실제로 중량이 많이 떨어지긴 하더라구요.
간헐적 단식하면서 근성장은 원래 쉽지 않을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성야무인
23/10/10 21:29
수정 아이콘
간혈적 다이어트를 얼마나 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일정시간 굶게 되면

체내에서 세포를 자가포식을 하게 됩니다.

이게 문제가 되는게 유지가 아니고 포식이 되버리면

다시 세포를 생산해야 하는데 그만큼 시간도 걸리고 몸에도 안좋습니다.
23/10/10 21:33
수정 아이콘
자가 포식이 오래된 쓸모없는 세포를 제거하는거라서 좋은거라고 읽었는데..
충격적이네요..
저는 하루 공복 18시간 가지고 6시간동안 두끼를 먹습니다.
한달저오 유지했구요.
이게 안좋은건가요?
그럼 성야무인님께서는 간헐적 단식보다는 3끼 먹는게 더 건강에 유리하다고 보십니까?
성야무인
23/10/10 21:44
수정 아이콘
네 3끼 적당히 먹는게 좋습니다.

2023년 전미 당뇨학회 기조가 자가포식에 대한 당뇨가능성에 관련된 부분이 많았습니다.

아무래도 코로나 시기에 움직이지 않으니 가장 편한 방법이 굶는거 였는데 이게 임상적으로 안좋은 데이터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쓸모없는 세포 제거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체내에서 굶게되면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기 위해 기존 세포를 포식해야 해서 무작위로 합니다.
23/10/10 21:53
수정 아이콘
저도 어떻게 필요없는 세포를 구분해서 포식을 하는지 그게 이해가 안되긴했는데
유튭이나 여러글들을 보면 굶었을때 사냥을 통해서 음식물을 섭취해야했던 인류가
근육을 보존하고 쓸모없는 세포를 포식하는 형태로 진화해온 방식이라길래
그런가보다 했거든요. 그분들도 의사라니까 신빙성도 있어보이고 크크

정말 누구말을 믿어야 될지 모르겠네요
일단 세끼로 돌아가보고 몸의 반응을 좀 봐야겠어요. 에너지레벨이 떨어지긴했습니다.
성야무인
23/10/10 22:05
수정 아이콘
임상 데이터 나온거 믿으시면 됩니다.
23/10/10 22:1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살뻔했네요.
한가지만 더 물어봐도 될까요?
그럼 간헐적단식은 칼로리제한으로 살이빠지는 효과 정도만 기대하면 될까요?
그렇다면 저 같이 정상 체중의 경우 굳이 필요가 없는 방식으로 보이네요.
성야무인
23/10/11 11:56
수정 아이콘
위에서 어쩌면 자가포식과 apoptosis랑 헤깔린게 아닐까 생각됩니다만

일단 자가포식도 선택적인 경우는 있긴 합니다만 그게 굶었을 때는 아닙니다.

간혈적 다이어트가 칼로리 제한이라기 보다는 그냥 몸이 몸을 먹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과정에서 체중에 따라 잉여 지방이나 단백질 혹은 탄수화물 분해 될 수는 있겠지만

어느정도 몸무게가 유지가 되고 있는 사람에게는 그냥 독밖에 안됩니다.
23/10/11 13:11
수정 아이콘
너무 감사드려요.
그 유튜버 의사분께서 auto-phagy 라는 용어로 말씀하시긴했습니다.
제가 지금 운동량도 단백질 섭취량도 충분히 유지하는데도
근육량이 빠지는게 아무래도 그 이유가 있겠군요!
밤에달리다
23/10/10 21:52
수정 아이콘
간헐적 단식이 정석대로 한다고 가정하면 사실상 다이어트나 마찬가지니 일반적으로는 근손실이 날 수 밖에 없죠.
단 초보자 효과 처럼 체지방 감소와 근육량 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23/10/10 21:55
수정 아이콘
또 여럿글들을보면 간헐적 단식을 하게되면 남성호르몬 분비가 촉진된다는 말도 있어서요.
정보를 가려듣고 판단하는게 너무 힘듭니다. 하하
23/10/11 19:29
수정 아이콘
간헐적 단식 하려면 짧은 시간동안 질 좋게 원래 영양소대로 먹어줘야하는데.. 이게 거의 불가능하죠
개념은?
23/10/10 22:08
수정 아이콘
그냥 단순하게 생각해서 .. 다이어트 중에 근성장을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이건 보디빌더 선수들도 마찬가지에요.
살뺴면서 근육이 느는 경우는 운동 초보자의 경우만 가능합니다.. 운동 경력직들은 다이어트 중에는 최대한 유지하는게 목표죠.
23/10/10 22:14
수정 아이콘
체지방 15프로에 정상체중 근육량도 표준이상로 많은편이라 사실 다이어트는 크게 신경을 안썼습니다.
다만 건강에는 세끼보다 간헐적단식이 더 좋다라는 얘기가 많아서 한번 해본거라서요.
딱히 건강에도 이점이 없는거 같으니... 다시 돌아가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티바로우
23/10/10 23:19
수정 아이콘
누구말마따나 근육도 살인거라
살을 빼고싶은건지 증량을 하고싶은건지 정해서 그에 맞게 진행하시면 될것같아요
티맥타임
23/10/11 00:43
수정 아이콘
몸이 어느정도신지는 모르지만, 어느정도 헬린이를 벗어나면 탄단지 잘챙겨서 매일 최소 3끼 혹은 3끼+알파로 챙겨먹고 운동까지 열심히해야 근성장이 일어날까 말까합니다
23/10/11 19:42
수정 아이콘
삼년차 헬린이고..
무게는 이제 어느 정도 정체기가 왔는데 사실 더 올라갈수 있는게 맞나 싶을 정도로 변화가 없네요 크크

영양은 대충 탄단지 고려해서 세끼 되는 대로 먹고
부족하면 단백질 파우더 먹었는데
정체기라 될대로 되라하고 단헐적 간식했더니
지방과 근육이 순식간에 빠지고 몸에 기운도 없는 편이고

스스로 신기합니다 무기력함이 이런건가 체감중입니다.
티맥타임
23/10/11 20:26
수정 아이콘
정체기에서, 근성장을 원하시면 먹는량을 늘려서(탄수,단백질 둘다) 어떻게든 점진적 과부하를 하실 생각을 하시는게 맞을거같습니다.
거기서 먹는량을 줄여버리시면.. 말씀대로 되는게 당연하죠
23/10/11 00:43
수정 아이콘
섭취하는 단백질을 유지해야 근육량이 덜/안 빠집니다.
무냐고
23/10/11 10:27
수정 아이콘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지 않으시는게 아닌가 하네요.
간헐적 단식이 말이 거창해서 그렇지 점저 먹고 간식 안먹는건데 충분히 영양섭취 가능하죠.
사바나
23/10/11 16:06
수정 아이콘
약쟁이가 아닌 이상 몸은 기본적으로 하나 밖에 못합니다
(극단적인 300키로 무근육, 걷기도 힘든 기아 수준 이런경우 빼고)

살이든 근육이든 몸에 붙이거나
살이든 근육이든 몸에서 제거하거나

그 비율은 필요(운동량이 많으면 생존을 위해 근육을 최대한 세이브)나 체질에 따라 다릅니다
미어캣
23/10/12 12:15
수정 아이콘
혹시 체수분도 같이 많이 빠지시진 않으셨는지요? 저도 체수분감소/골격근량감소(거의1키로)/중량감소/무기력 비슷한 경험 한게 있는데, 그주에 무슨변화가 있나 고민해보니 전체적으로 탄수화물 섭취가 좀 줄었습니다.
근력운동을 할때엔 근육에서 저장중인 글리코겐을 사용해서 에너지를 만들고, 소모된 글리코겐을 합성하는데 섭취한 탄수화물과 꽤 많은양의 물(글리코겐의 3배정도)이 이용한다 합니다. 운동으로인해 글리코겐이 다 사용되면, 그만큼 많은양의 물이 몸에서 빠져나가며 이로인해 근손실이 있어보이고, 또한 근육에서 힘을 낼 에너지원이 없기에 운동 퍼포먼스도 떨어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탄수화물 부족으로인해 몸에 글리코겐이 다 털린게 아닌가 하는 의심을 하고 그다음주에 탄수화물좀 더 잘 챙겨먹어주니, 바로 감소한 사항들이 80%정도 복구되었습니다.

어떤식단을 하시던 단백질 채웠다고 끝날게 아니라, 탄수화물까지 몸이 쓰는만큼은 드셔보시는건 어떨까요? 제 경험상 질문자께서 겪으신 문제는 간헐적단식이란 식단보다는, 탄수화물 부족으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들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757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701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1040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4057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5907
180412 [질문] 슈뢰딩거 고양이 의문점이 있습니다. [7] TheGirl1189 25/04/24 1189
180411 [질문] 안방그릴류는 안방그릴이 최고인가요? [5] 나를찾아서1600 25/04/23 1600
180410 [질문] 영상 하나를 찾고 있습니다 시무룩1215 25/04/23 1215
180409 [질문] 치과치료 이후 입에서 신맛? 짠맛이 납니다. [1] Ahri1343 25/04/23 1343
180408 [질문] 신차가 나왔는데 문제가 생겼습니다ㅜㅜ [4] 방탄노년단1888 25/04/23 1888
180407 [질문] AI에 대한 여러 가지 초보적 궁금증이 있습니다. (장문) [12] Love.of.Tears.1510 25/04/23 1510
180406 [질문] 제가 진상 구매자인가요? [22] 포의부하2437 25/04/23 2437
180405 [질문] 학계 계신분들은 홈페이지 보통 어떻게 만드시나요? [6] 다크템플러1140 25/04/23 1140
180404 [삭제예정] MRI결과인데 이게 일반적으로 말하는 디스크가 있다는건가요? [9] 되지가돼자1383 25/04/23 1383
180403 [질문] 스위치2 젤다 호환 [3] 링크1048 25/04/23 1048
180402 [삭제예정] 마비노기 모바일 발열이 너무 심한데 괜찮은가요? [15] 콩순이1216 25/04/23 1216
180401 [질문] 발게이3 편의설 관련 필수모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윈터915 25/04/23 915
180400 [질문] 이 펜던트등, 센서등으로 바꿀 수 있을까요? (사진 있음) [8] Mrs. GREEN APPLE2229 25/04/22 2229
180399 [질문] 절대음감의 장점? [34] Grundia3204 25/04/22 3204
180398 [질문] 일본 (벳부) 여행 일정 한 번만 더 조언 부탁드립니다. [13] 쉬군2120 25/04/22 2120
180397 [질문] 데스크톱 이륙해도 될까요? [17] 추대왕2756 25/04/22 2756
180396 [삭제예정] 회사에서 쓸 모니터용 사생활 보호필름 거치대식으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윈터2257 25/04/22 2257
180395 [질문] 애플워치 이거 수리가 될까요? 삭제됨921 25/04/22 9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