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3/09 22:33:00
Name Lachata
Subject [질문] 학자금 대출 상환 빨리 하는 게 좋을까요?
현재 학자금대출이 1800가량 있습니다.

이자는 1.7프로로 앞으로 4년간은 이자만 납부하면 됩니다.

한달에 150만원정도 상환할 수 있습니다.

얼핏 듯기론 학자금대출은 늦게 상환할수록 좋다는 말이 있어서 고민이 됩니다.

그냥 달마다 150만원정도 미리 상환해가는 방법 하나와

150씩 그대로 적금 계좌 두어개 들고 학자금 대출을 천천히 납부하는 방법 중에 어떤방법이 좋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3/09 22:41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을 생각해서라도 최대한 늦게 갚으시는게 이득이더라고요
23/03/09 22:43
수정 아이콘
본인 학자금 대출 상환액은 전액 세액공제가 되니까 연간 소득세 결정세액을 추정하시어 그 금액 이내로 상환하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금리도 당연히 고려해야 하구요.
페로몬아돌
23/03/09 22:46
수정 아이콘
여유 있으면 천천히 하세여
23/03/09 22:47
수정 아이콘
4년뒤에 갚는게 1원이라도 이득 보겠네요
학자금 대출은 특혜라고 생각해서 본인이 찝찝하지만 않으면 최소 거치기간 까진 안 갚는게 나아 보입니다.
23/03/09 23:01
수정 아이콘
가령 150씩 적금들어서 원금+이자 = 4년간 납입 이자 + 1800만원

만 고려해보셔도 좋고....

요즘같이 대출금리 높은 시기에 1.7프로 대출 받았다 라고 생각하시면 큰 장점이죠
23/03/09 23:14
수정 아이콘
오... 찝집하긴 한데 작은 적금 들어야겠습니다.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망고베리
23/03/09 23:45
수정 아이콘
지금 금리 생각하면 무조건 천천히 갚는 게 유리하죠
23/03/09 23:53
수정 아이콘
적금 이자가 더 높아서…
23/03/10 00:01
수정 아이콘
이자 1.7%에 연말정산 생각하시면 무조건 늦게갚는게 이득입니다.
덴드로븀
23/03/10 00:42
수정 아이콘
1.7% 면 무조건 늦게 갚으세요. 지금 대충 아무 적금이나 만들어도 최소 3.X % 입니다.
미뉴잇
23/03/10 01:47
수정 아이콘
이자 1.7프로면 현금이 많아도 가져가는게 좋은 대출이죠. 최대한 천천히 갚으세요
티아라멘츠
23/03/10 02:44
수정 아이콘
저도 들고 있습니다. 저는 마통 한도차감까지 감수했어요
지금 1.7프로 대출은 특권 수준입니다.
젤나가
23/03/10 08:21
수정 아이콘
진짜 냉정하게 생각하면 1.7퍼센트 대출은 갖고 있을 수만 있으면 이자만 갚으면서 평생 갖고 있는 게 이득일 정도로 엄청난 저리에요.
갚을 돈을 파킹 통장에만 넣어놔도 이자를 다 내면서 돈을 남길 수 있는 거라서요.
거기다 많은 분들이 언급해주셨듯이 교육비 세액공제가 있으니 갚으면서 볼 수 있는 이득도 생기구요.
막연하게 이게 어쨌든 빚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 기분상 털어버리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는데 계산기 좀 두드려 보면 그럴 이유가 없어요.
23/03/10 10:31
수정 아이콘
다른거 다 차치하고라도, 그거 갚을 돈을 적금부으시면 적금 이자가 더 많습니다.
갚을 이유가 없죠.
제가 작년 중순에 30년 고정 2.6프로짜리 주택담보대출 상환하고 나서 땅을 치고 후회했습니다 크크
인생을살아주세요
23/03/10 14:08
수정 아이콘
여러 댓글들 보고 저도 몰랐던 거 알아갑니다.. 하지만 지난주에 학자금 대출 다 갚아버렸어요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9545 [질문] 차 시동 걸린 상태에서 밖에서 차 문을 왜 못잠그게 해놨을까요? [14] 똥쟁이11324 23/03/14 11324
169544 [질문] 도서 월정액 서비스 관련 질문 [4] 박신영7180 23/03/14 7180
169543 [질문] 모니터 주사율 설정 도와주세요 [3] 여유를갖자9465 23/03/14 9465
169542 [질문] 캐쥬얼한 단체 게임 추천 요청 (스팀 등 PC게임) [10] 러신머닝11476 23/03/14 11476
169541 [질문] [LOL]아우솔 스택은 어떻게 보는 건가요? [2] nekorean8801 23/03/14 8801
169540 [질문] 캠핑 전문가분들의 고견을 구합니다. [6] 퀴즈노스7194 23/03/13 7194
169539 [질문] 화상 회의 마이크 사용에 대한 질문입니다. [7] This-Plus6704 23/03/13 6704
169538 [질문] 진격의 거인 애니메이션 감상 순서가 어떻게 될까요? [7] 及時雨13760 23/03/13 13760
169537 [질문] 운동법 질문 입니다. [13] 퍼블레인9402 23/03/13 9402
169536 [질문] 맥북을 쓰고 싶습니다 [39] 엘케인9379 23/03/13 9379
169535 [질문] 주말에 경마공원 가려고 하는데요. [9] 2'o clock8783 23/03/13 8783
169534 [질문] 술마시고 뜨거운 물로 목욕, 많이 위험할까요? [7] 카오루7661 23/03/13 7661
169533 [질문] 폴더 내 모든 코드파일 비교하는 방법이 있나요? [9] onDemand8098 23/03/13 8098
169532 [질문] 냉동피자 뭐 드세요? [9] 월터화이트8464 23/03/13 8464
169531 [삭제예정] 운동화 질문드립니다. [3] 삭제됨6647 23/03/13 6647
169530 [질문] 플스5가 지르고 싶습니다. 어찌해야 할까요? [43] 탈리스만9384 23/03/13 9384
169529 [질문] 원룸 수도물 문제.. 정말 힘드네요 [4] 삭제됨8217 23/03/13 8217
169528 [질문] 경제 질문드립니다. [2] 더높은곳으로8198 23/03/13 8198
169526 [질문] 더글로리 같은 복수극 드라마 추천부탁드립니다. [15] 목캔디8507 23/03/13 8507
169525 [질문] 영종도 가성비 호텔을 찾고 있습니다 [5] 회전목마8540 23/03/13 8540
169524 [질문] 요리를 배워보고 싶은데요.. [20] 어빈8318 23/03/13 8318
169523 [질문] 성신여대 부근 방탈출 카페 [2] BISANG8821 23/03/13 8821
169522 [질문] pgr 접속하면 글씨가 이렇게 나옵니다 [9] 프리오이8943 23/03/13 89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