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3/03/13 12:43:45
Name 어빈
Subject [질문] 요리를 배워보고 싶은데요..
안녕하세요. 요리를 배워보고 싶은데요.
요알못입니다.

유트브만 보고 따라하기 몇번 해봤는데...
딱 그것만 만들수 있고 너무 오래걸리는거 같기도해서...
기본기를 좀 잡고 가고 싶습니다.

기본개념이 없어서 저번주에도 돼지 등갈비를 통채로 태워먹어서 버렸네요.

아무래도 뭔가 재료를 능동적으로 생각해서 음식을 만드는게 안되는거 같습니다.
기본이 없으니 응용력이 없는것 같아요.

그래서 요리학원을 주말에 등록해보려 했더니 한식조리사 과정 같은 자격증 과정만 있더라구요.
이런 자격증과정이라도 듣는것이 도움이 될련지
아니면 그냥 유트브 보면서 수많은 실패와함께 그냥 하는게 맞는건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혹시 용인 근처에 가정식 요리를 주말에 배울수 있는곳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혹시라도 요리 배워 본 경험이 있으신분들의 조언도 시간 되시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3/13 12:53
수정 아이콘
저는 지인의 지인이 요리 가르치는 분이라서 한번 배웠었는데 직접 가서 보면서 혹은 해보면서 배우니까 훨씬 좋았습니다. 바로 물어보고 답을 받을 수도 있고요. 멀리 계신 분이라 한번 2시간 정도만 했는데도 꽤 알차게 배웠습니다. 혼자 사는지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요리 / 밑반찬 위주로 배웠습니다. 한식 학원이 있다면 한번 가서 배워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23/03/13 16:18
수정 아이콘
학원에는 주말엔 자격증반만 있네요… 고민입니다.
안녕!곤
23/03/13 12: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군대에서 조리병 야매로 배운 경험으로는 많이 태워먹으면서(;;) 계속 해보시고,
요즘 방식으로는 소모임 어플에서 요리 동호회도 있던데(학원을 겸한) 어느정도 경험 쌓인 뒤에는 괜찮을거 같습니다.

경험이 필요한 이유는 1~2인분인지 5~10분인지 따라 요리가 익는 시간이나 재료 넣는 시간이 너무 다릅니다.
전 처음부터 100인분으로 배워서 계란찜이 최소 한시간이 걸리는 요리로 알고 있습니다 ㅜ
그리고 보통 요리가 한가지가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둘셋은 동시에 완성이 되야 하기 때문에,
많이 연습하시면서 익숙해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자격증 과정은 기본적으로 맛에 대한 고민이 덜하고(배정된 재료/간 전부 넣으면 됩니다) 외관을 많이 신경쓰기 때문에,
기술적인 도움은 되지만 흥미나 실용성이 떨어져 오래 못 가실거 같습니다.
(예로 한식에 노란자 흰자 분리하여 색 따로 내는건 예쁘지만, 배울 때 말고 잘 쓰진 않는거 같아서...)
23/03/14 10:35
수정 아이콘
자격증 과정은 비추가 많군요..
가습기
23/03/13 13:54
수정 아이콘
자취하던 후배(전혀 요리 못하던)가 먹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식 조리사 과정을 들었는데 엄청나게 도움이 되어서 잘 해먹게 되었다고 자랑하더군요
덤으로 여친 음식도 많이 해주고
23/03/14 10:35
수정 아이콘
저도 이럴까 해서 혹시? 이런 마음이 었습니다.
23/03/13 13:55
수정 아이콘
요리 학원을 등록하든 혼자 요리 하든, 결국 연습만이 답이라 생각됩니다.
요리도 게임이랑 비슷해서... 이론 잘 배워도 연습 안하면 실력엔 변화가 없고, 타고난 재능 없어도 연습 많이 하면 늘거든요.
다만, 무작정 판수만 늘린다고 게임 실력 느는거 아니듯... 요리를 무작정 많이 하기보단, 실험노트/오답노트 적어가며 뭐 때문에 성공했나 실패했나 따져 가며 연습 하는게 중요하다 봅니다.

시작할땐 여러 레시피를 시도하기보단, 본인이 좋아하는 음식 메뉴중 가장 단순한 메뉴부터 하나씩 연습하길 추천 드립니다.
좋아하는 메뉴일수록 자주 해먹어 연습량도 늘고, 단순한 메뉴일수록 변수가 적어 잘한점 잘못한점 파악이 쉽거든요.
참고로 전 요리 처음 시작할때 (1) 떡볶이 (2) 삼겹살김치볶음 (3) 오므라이스 3개만 주구장창 해먹었습니다 크크
23/03/14 10:36
수정 아이콘
사실 이게 맞긴한데. 생각보다 기초가 없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흥미가 안생기는거 같아요.
23/03/13 13:58
수정 아이콘
쿠킹클래스 같은건 도움이 될거구요

자격증학원은 도움 안됩니다.

요리는 실패하면서 배우는 겁니다.
23/03/14 10:36
수정 아이콘
쿠킹클래스 주말반이 있는지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은빛사막
23/03/13 14:02
수정 아이콘
저같은 경우엔 직장 근처의 신세계 본점 쿠킹클래스를 들으면서 실력/흥미가 확 늘었어요.
한식 기초반 8주 코스였는데 기본 칼질부터 시작해서 재료 손질법, 간 맞추는 법 등등 부터 알게되니
유튜브를 보면서 따라할 수 있는 영역이 확 늘더라구요... 유튜브에서 설명되지 않고 생략되는 쌩기초들을 알고 보게 되니까요.

문화센터 쿠킹클래스 추천 드립니다. 집 근처로 한번 알아보세요.
백화점 문화센터의 경우 가격도 괜찮습니다.
23/03/14 10:36
수정 아이콘
혹시 주말반이 있다면 찾아보겠습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3/13 14:17
수정 아이콘
불에 올린 후라이팬이나 냄비 등이 연기와 함께 화를 낸다면 불을 줄이세요
강불만능설을 내려두셔야 합니다..!!
23/03/14 10:36
수정 아이콘
강불로는 태워먹고 약불로는 카레를 2시간합니다..
타카이
23/03/13 14:28
수정 아이콘
아마추어의 요리도전이 성공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이 두가지
1. 자주 맛봐라
2. 자주 확인해라(익은 정도 등)

물론 자주 안여는게 좋다는 요리들도 있고 조리법상 자주 확인 못하는 것들이 있지만
그런건 정량에 맞는 레시피 대로 했을때나 문제 없는거라...
그런 요리는 도전 안하면 됩니다
23/03/14 10:37
수정 아이콘
쉬운요리를 해야하는데 말이죠..
23/03/14 00:12
수정 아이콘
현직 요리사입니다.
조리기능사 자격증은 요리 실력에 큰 도움이 안됩니다.
시험 자체가 주제 요리를 기능사 시험 규격에 맞게, 올바른(기능사 시험에서 정한) 순서로 만들기만 하면 되는 시험이라
체점할때 조차 맛을 거의 보지 않습니다. (가끔 보긴하지만 대부분 외관, 조리법, 조리과정에 대한 심사입니다)

원데이클래스나, 쿠킹클래스 같은 것들이 근처에 있는지 찾아보시는게 훨씬 좋습니다.
23/03/14 10:37
수정 아이콘
원데이나 쿠킹클래스를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네오크로우
23/03/14 10:15
수정 아이콘
저는 예전 집밥 백선생 보면서 입문해서 지금은 끼니 잘 챙겨먹고 이런 저런 응용도 제법하게 됐습니다.
재료와 조리법만 알려주는 게 아닌 전반적인 요리에 관한 상식들을 잘 알려줘서 좋더라고요.
물론 실패도 겁나게 많이 해서 재료비 싼 것부터 차근차근 시작했습니다.
23/03/14 10:37
수정 아이콘
아내도 유트프로 하면 되지 뭘 학원을? 이러고 있긴한데 고민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9602 [질문] 볼륨키가 없는 키보드에 볼륨 조절 단축기를 할당하는 법이 있을까요? [10] 모나크모나크8080 23/03/17 8080
169601 [질문] (약스포)브레이킹 배드 궁금한점 [16] 늅늅이7111 23/03/17 7111
169600 [삭제예정] 직원의 법인카드의 사용범위가 궁금합니다 [10] 삭제됨9140 23/03/17 9140
169599 [질문] 청약 예비당첨 시 실제 당첨율 [3] 놔라11596 23/03/17 11596
169598 [질문]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화재로 현재는 경부선 열차운행 지장 없나요? [2] 물소싫어9242 23/03/17 9242
169597 [질문] 범죄소설 / 드라마 / 영화를 추천 받고 싶어요. [14] 리클라이너8299 23/03/17 8299
169596 [질문] 한국, 일본 드라마들을 추천 받고 싶습니다 [18] 해피새우8641 23/03/17 8641
169595 [질문] 포르자 호라이즌 시리즈 스팀으로 질러도 괜찮을까요? [6] 캔디미라클10042 23/03/17 10042
169594 [질문] 알뜰폰이 정말 기존 통신사보다 느린가요? [22] 빼사스12965 23/03/17 12965
169593 [질문] 영화인지 드라마인지 찾습니다 [2] 빠르7171 23/03/17 7171
169592 [질문] Wbc보면서 느낀건데.. [11] 방탄노년단8587 23/03/16 8587
169591 [질문] 신호등 근처에서 블루투스 이어폰이 끊기는 이유는? [9] 샤르미에티미10539 23/03/16 10539
169590 [질문] 카카오톡 오픈 채팅 백업 방법 있을까요? [3] 아엠포유8735 23/03/16 8735
169589 [질문] 롤 스포없이 볼 가장 좋은 방법이 뭔가요? [7] 그린티미스트7314 23/03/16 7314
169588 [질문]  면접을 보면 긴장을 많이 합니다. [27] Valorant7964 23/03/16 7964
169587 [질문] 소화능력을 유지개선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10] 형리6916 23/03/16 6916
169586 [질문] 영상감상용으로 모니터 바꾸면 체감이 많이 될까요?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라비11074 23/03/16 11074
169585 [질문] 드라마 장면인데 어떤작품인지 기억이 안나서요. [7] 종이컵6382 23/03/16 6382
169584 [질문] 나중에라도 인구 반 토막이 되면 [22] 애플댄스6392 23/03/16 6392
169582 [질문] 모니터 받침대 추천 부탁드립니다 :) [3] Broccoli7364 23/03/16 7364
169581 [질문] 몬헌4브라키디오스 브금 피아노로 쳐서 질문햇던글 아시는분 [2] 제드5666 23/03/16 5666
169580 [질문] 칵테일 아래 바질이 깔렸는데 용도가 뭘까요? [2] 대출 30년7756 23/03/16 7756
169579 [질문] 환자용 선식 추천받을 수 있을까요? [8] 팬더형아8462 23/03/16 84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