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0/30 00:23
제가 곡괭이 3080ti에 5900x를 쓰는중인데
퀵 프리셋으로 레이트레이싱 중간옵으로 한 상태에서 3440x1440( 2560x1440에서 옆으로만 늘어난)해상도로 게임하면 50~70사이정도 밖에 안나옵니다.(제공되는 벤치마크보다 실게임에서 좀더 버벅입니다) 그래픽카드 좋으면 무조건 좋은 게임이라(아직 나오지도 않은 카드지만 4080으로도 qhd 144사수 절대 안될거라고 장담할수 있습니다.4090이 진짜 필요한 게임임) 저라면 3060ti로 하느리 차라리 채굴 가챠라도 굴려보겠습니다.. (60ti 신품 예산이면 채굴품은 3080~3080ti급) 돈을 더 써서 지금 3070-3070ti-3080 신품급을 사는건 얼마못가서 감가가 엄청나기 때문에 정말 추천하기 힘들거같네요 차라리 3060ti를 사고 돈 남기는게 나을거같아요. 12세대는 ddr5의 향상이 거의 없고,13세대는 ddr5쓰면 차이가 많이 난다던데,12세대 i5가 느리다고 생각하실때면 14세대는 나와있을테니 그냥 지금 쓰시는 램쓸수 있는 d4가 낫겠네요ㅕ (ddr5가격자체는 많이 내려왔습니다) 참고 : 사펑 벤치 (출시초 자료지만 딱히 최적화가 엄청 올라가지 않았습니다) FHD-레이트레이싱 중옵성능 https://img2.quasarzone.com/editor/2020/12/15/53135310edd11cf258e9211b643a9ed7.jpg QHD-레이트레이싱 중옵 성능 https://img2.quasarzone.com/editor/2020/12/15/402e1ac2a67112e4420cbb8e04cecf17.jpg
22/10/30 05:55
(수정됨) https://youtu.be/DqJWeoWLqA0?t=850
<DDR4 vs DDR5> 유튜브 비교영상들은 아무래도 못 미더운 자료가 많은데, 신뢰도 있는 분의 벤치를 가져왔습니다. 13세대 기준이고, 12세대에선 이 영상보다 격차가 살짝 적을수도 있습니다. (유의미한 차이는 아닙니다) DDR4 노오버 (삼성 기본램) vs DDR4 3600 CL18 (저가 XMP 램) -> 1체급 이상 상위 CPU 와 맞붙는 수준의 엄청난 격차를 보입니다. DDR4 3600 CL18 vs DDR4 4100 CL16 (DDR4 끝판왕) -> 투입되는 비용과 노력 대비 무의미한 상승폭입니다. DDR4 3600 CL18 vs DDR5 4800+ -> FHD 에선 DDR5 가 다소 앞서나, QHD 에선 별 차이가 없습니다. (사펑 기준) 따라서 DDR4 구매시엔 반드시 램오버를 하거나 XMP 램을 사셔야 합니다. 문제는 12400 은 SA전압 제한 때문에, 3600 CL18 XMP 가 적용이 안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수동으로 3500 까지만 올리거나, 3200 CL16 XMP 램을 사면 되긴 합니다만, (SA전압의 영향이 없는) DDR5 를 쓰시는 게 낫다고 봅니다. DDR5 는 삼성보다 하이닉스의 수율이 더 좋아서 삼성램은 인기가 적지만, 램오버에 큰 관심이 없으시다면 가성비는 삼성램이 훨씬 좋습니다. 본문 견적에선 램을 1장만 넣으셨는데, 램은 꼭 2장씩 쓰셔서 듀얼/쿼드채널을 맞춰주셔야 합니다. (하이닉스/KLEVV 램은 8G 가 없고, 16G 기준 13만원입니다. 즉 26만원이 필요하죠) <결론> 메인보드: MSI MAG B660M 박격포 (218,910원) -> 같은 모델의 DDR4 버전도 있으므로 구매시 혼동 주의. 램: 삼성전자 DDR5-4800 8G x2 (42,080원 x2) 그 외엔 12600K 중고 (30~32만원) or 12700 중고 (35~36만원) 를 해당 금액으로 구매하실 수 있다면 강추합니다. 12400 신품과 큰 금액차이 없이 상당한 성능향상이 있고, CPU 는 썼다고 수명이 줄어드는 제품이 아닙니다. 12700K 중고 (42만원~) 부터는 13600KF 신품과 가격차가 적어서 애매합니다. 13세대로 가려면 남은 예산 전체를 CPU 에 몰빵해야 하는데다, 쿨링도 훨씬 강화해야 하므로 권하기 어렵습니다. <그래픽카드> 글카는 11월 4일 라데온 발표 이후에 다시 판단하셔야 하며, 신품보단 중고가 훨씬 메리트있는 시기지만, 막상 좋은 중고를 선별/구매하긴 쉽지 않습니다. (객관적으로 좋은 조건의 중고는 순식간에 팔려서 사라지고 애매한 것들만 계속 쌓입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중고 글카는 채굴품이라고 전제해야 하며, 22년 5월 이후에 생산된 중고 글카를 구할 수 있다면 쓸만합니다. 혹은 21년 말 이후에 생산된 3060Ti~3070 중고를 30만원대 초중반에 구해서 1년쯤만 쓰는 것도 괜찮을 듯 합니다. 기존 칩 재고 소진이 얼추 끝나고, AI 연산칩의 중국 수출 금지가 시작되는 1년 후부턴 지금보다 메리트있는 신제품이 출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1년 후 시점에서 보증기간 유무는 감가상각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보증기간이 여유있게 2년 가량 남은 중고를 구매하셔야 합니다. 신품을 산다면 최대로 잡아도 3060Ti ~ 3070 특가 (60만원대 중반) 가 한계선이라고 생각합니다. 더 올라갈수록 감가상각이 커지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