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12/22 11:45:55
Name LG의심장박용택
Subject [질문] 재건축 자금소요 및 대출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재건축이 임박한 아파트를 도전해보려고 하는데요..

조합원 지위 양도가능한..

15억이 넘으면 보통 대출이 안 되는 것은 알고 있는데..

예를 들어, 20억 정도 한다.. 그런데, 일단 매도자가 퇴거명령이 나오기전까진 다시 전세를 살아주기로 한다..

그렇다면, 일단 여기까지는 집값 - 전세보증금 + @ 취득세 정도 까지가 소요자금일 것 같은데요..

퇴거명령이 나오면, 전세 보증금은 돌려줘야 할테고..  -> 1. 여기까지는 현금으로 전부 확보해야하는 게 맞는 거죠?

그런데, 재건축이니깐 분담금이 나올텐데요....

2. 이주비용 + 분담금은 대출이 가능한 부분인가요?

3. 만약 가능하다면, 이주비용 + 분담금 대출은 재건축으로 집이 다 지어지면 바로 전액 상환 해야하나요?

대출을 끌고 갈 수 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2/22 13:43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게 최신 정보가 아닐수도 있지만 아는대로 말씀드리면

1. 대출이 안나오니 현금 확보 해야합니다.
2. 분담금은 대출이 안되고, 이주비용은 대출이 가능하나 이도 LTV 규제로 고가 주택의 경우는 안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이주비용 대출의 경우 입주시점에 전액상환 해야 합니다.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 있으면 지적해주셔요
21/12/22 14: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몇년전에 진행해서 확실히 기억나진않지만 전세보증금은 이주비 대출 나오는걸로 상환했던 기억이 나구요.
분담금도 거의 대출이 다 됐던 기억이 납니다.
입주시점에 이주비+분담금 대출 전액 상환해야하구요. 그래서 실입주하려면 주담대를 받아서, 아니면 전세를 줘서 대출 상환을 하죠.
요즘에는 윗분 말처럼 고가주택은 대출이 안나올수도 있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60543 [질문] ucc 제작 질문입니다. 마제스티5342 21/12/22 5342
160542 [질문] 오늘 오후 5시20~30분경 서울 하늘에서 이상한거 보신분 있으실까요? [5] 뽈락킹9856 21/12/22 9856
160541 [질문] 안먹고 운동만 해도 건강에 문제 없을까요? [18] 기술적트레이더11996 21/12/22 11996
160540 [질문] 이런 상황에서 커튼 설치 질문드립니다 [8] 호아킨13309 21/12/22 13309
160539 [질문] 영어 문장 해석 질문드려요. [1] monkeyD6349 21/12/22 6349
160538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아랫길7677 21/12/22 7677
160537 [질문] PS store 질문드립니다 [2] 생선가게 고양이8891 21/12/22 8891
160536 [질문] 동물의 숲 뭐하면 되나요? [19] League of Legend8874 21/12/22 8874
160535 [질문] [IF]국힘 이재명 vs 민주 윤석열 이라면...??? [24] 이르10947 21/12/22 10947
160534 [삭제예정] 업체 직원에게 전화로 쌍욕을 먹었습니다. [8] 삭제됨9309 21/12/22 9309
160533 [삭제예정] . [10] 삭제됨9050 21/12/22 9050
160532 [질문] 그 사람을 좋아한다는게 상처가 될 수 있잖아요 [8] 멜로10788 21/12/22 10788
160531 [질문] 재건축 자금소요 및 대출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LG의심장박용택8119 21/12/22 8119
160530 [질문] MP3 플레이어 추천! [5] 교자만두8800 21/12/22 8800
160529 [질문] 신박한 선물 [18] Emiyasiro10460 21/12/22 10460
160528 [질문] 집에서 오방난로 쓰시는 분 계신가요,,,,? [8] Lelouch10584 21/12/22 10584
160527 [질문] dmc나 합정 정도에 차세우고 혼밥할만한곳 [10] 제주삼다수7944 21/12/22 7944
160526 [질문] [게임]it takes two 질문입니다. [6] 윤지호8279 21/12/22 8279
160525 [질문] 서울 여행 코스 추천 부탁드립니다.(4일 정도) [5] 그때가언제라도9119 21/12/22 9119
160524 [질문] 리모델링 진행시 신경써야될 부분 [8] 컬러링엽서북8960 21/12/22 8960
160523 [질문] 만화 제목을 찾습니다. [6] 짐승7450 21/12/22 7450
160522 [질문] 주행거리 짧은 오래된 타이어 교체해야 하나요? [12] VictoryFood8675 21/12/22 8675
160521 [질문] 20대 후반 남성 스트레칭 배울만한 곳 있을까요? [4] 그때가언제라도6940 21/12/22 69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