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9/18 18:12:27
Name 박정우
Subject [질문] 바람과 창문의 관계
안녕하세요!! 가을바람이 시원하게 부는 시기가 찾아왔습니다
그런데 아직은 낮에 많이 덥다는 느낌이 들고 있습니다.
그래서 선풍기를 틀어넣고 창문을 열어놓는데
그 때 방안에 바람이 들어오거나 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다가 물 한잔 마실려고 방문을 열면 그 때부터 갑자기 방안에 바람이
쌩생 불면서 붙여놓았던 포스트잇이나 메모지가 바람에 날리거나 떨어집니다.
저는 굉장히 신기하더라구요
방문을 열어놓으면 뭔가 더 시원해지는 느낌도 받고요
방문을 열어놓으면 방안의 공기원자가 방문을 통해 이동하면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간가요?? 그러기에는 바람이 너무 세게 부는데ㅠㅠ
혹시 어떤 과학적인 이유가 있는것인지 지나가던 문돌이 여줍니다
다들 풍성한 한가위 되십시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폰지사기
21/09/18 18:18
수정 아이콘
창문을 하나만 열면 창 하나에서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야하고
양쪽을 열면 한쪽은 들어오고 한쪽은 나가서 환기가 빠릅니다
박정우
21/09/18 18: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1/09/18 18:21
수정 아이콘
방문 닫아놓으면 기압차가 금방 극복이 되서 그런 거 아닐까 싶네요
창문 열어놓고 방문 닫을때랑 창문 닫고 방문 닫을 때 생각해보시면...
박정우
21/09/18 18:30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기압과 관계있는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ㅠㅠ
This-Plus
21/09/18 18:27
수정 아이콘
엥 너무 당연한 이치라서 순간 무슨 이야긴가 했네요.
박정우
21/09/18 18:29
수정 아이콘
헉 당연한이치인가요??ㅠㅠ기압과 관계있다는 걸 전 알기 어려웠는데...ㅠㅠ
21/09/18 19:03
수정 아이콘
지하철 생각하시면 쉬울거에요
양쪽에 문이 있다고 가정하고
한쪽으로만 사람이 타고 내리면 버벅(?)이는데
한쪽으로 타고 반대쪽으로 내리면 순환이 잘 되죠
박정우
21/09/18 19:19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드립니다!!흐흐 전 공기의 흐름이 이 정도 차이가 날 줄 몰랐어요
거짓말쟁이
21/09/18 19:57
수정 아이콘
저도 신기하게 생각했던 적이 있네요. 창문 하나만 열어두면 공기가 나가고 들어갈 구멍이 작은거니 방 문까지 연 것이 더 순환이 원활하다는 의미 같은데

전 언뜻 생각하기에 구멍이 하나 뿐이면 공기가 다른 곳으로 헤매이지 않고 들어온 곳으로 나가기 때문에 그게 더 느껴지는 바람은 강할 줄..

방 문을 열어서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어주지 않으면 창문에서 바깥 바람이 안으로 들어오기가 힘든가봐요
21/09/18 20:37
수정 아이콘
우리는 그런걸 맞바람 또는 맞바람 환기라고 말하기로 했었어요.
예전엔 집 구조도 이런 맞바람으로 환기를 시킬 수 있는 구조가 좋다고들 했었지요. 요즘엔 에어패스로 환기 시킬 수 있게 되었지만.

또 방문을 열지 않고 창문 상단에 선풍기를 바깥쪽으로 향하게 틀어 놓으면 창문 하단으로 바깥의 시원한 바람이 들어와서 유의미하게 방안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고 예전에 한참 커뮤니티에 그런 글이 돌면서 따라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8355 [질문] 테일즈오브어라이즈 하기전에 해봐야할 시리즈 작품이 있나요? [4] 조말론9801 21/09/21 9801
158354 [질문] 외국인 상대로 한국어 가르칠 때 도움이 되는 정보 [1] 체온7955 21/09/21 7955
158353 [질문] 인터넷 저렴하게 설치하는 방법 [2] 삭제됨8177 21/09/21 8177
158352 [질문] 지난주 모더나 접종이후 접종부위 통증 [5] 옥동이13717 21/09/21 13717
158350 [질문] 콜린성 두드러기 경험해 보신 분들 계신가요? [12] 보로미어13510 21/09/21 13510
158349 [질문] 프로포즈, 예물, 결혼 반지는 각각 어떻게 다른건가요? [6] 40년모솔탈출12278 21/09/21 12278
158348 [질문] 오징어 게임 프론트맨 관련 강력스포 질문 [23] 지니쏠10920 21/09/20 10920
158347 [질문] 오징어게임 질문드립니다(강스포) [8] Demi7390 21/09/20 7390
158346 [질문] 병원을 가봐야 알겠지만 질문 [5] 김경호7763 21/09/20 7763
158345 [질문] 아이폰 사파리에서 유튜브가 자동재생 됩니다.. [10] ViperJin28269 21/09/20 28269
158344 [질문] CGV OCN 볼때 프레임이 어색해 보이는 현상 질문드립니다 [2] 플레스트린6110 21/09/20 6110
158343 [질문] 10/8에 닌텐도스위치 oled 사는 가장 좋은 방법이 뭔가요? [6] 카푸스틴10790 21/09/20 10790
158342 [질문] 건물이 지하 공간 텅텅 비어 있어도 튼튼하게 우뚝 잘 서 있는 이유? [6] 시나브로12755 21/09/20 12755
158341 [질문] 2차대전 미 해병대가 되었다. 유럽전선 vs 태평양 전선 [4] 트린다미어9635 21/09/20 9635
158340 [질문] 추석 부침개 패키지 바가지다 vs 적당하다 [42] 2021반드시합격11225 21/09/20 11225
158339 [질문] 임시선별진료소에 있는 분들 다 공무원이신가요? 브루투스8316 21/09/20 8316
158337 [질문] 부동산 거래내역 조회 인터넷으로 가능한가요? [4] StondColdSaidSo8421 21/09/20 8421
158336 [질문] 격투기 종목 추천: 복싱 vs 무에타이 [12] 킷츠9661 21/09/20 9661
158335 [질문] 개물림 사고에 대해서 (안락사) [6] 그렇구만8514 21/09/19 8514
158334 [삭제예정] 손해 볼걸 알면서도 행동하시나요? [19] 삭제됨11490 21/09/19 11490
158333 [질문] 유투브에 영상물을 올렸는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10] 틀림과 다름8147 21/09/19 8147
158332 [질문] 내일 신일 전기후라이팬으로 불고기 구우려고 하는데 팁 문의 [4] Cherish13279 21/09/19 13279
158331 [질문] 자취 초보생에게 제품이나 생활 팁 공유해주세요.. [10] 레너블8858 21/09/19 88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