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9/17 22:09:49
Name Navigator
Subject [질문] 헬스 고수님이나 트레이너분 계신가요?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운동을 안한지 좀 됐지만 과거엔 주4-5회정도 꾸준히 단ㅣ면서 웨이트를 취미로 했던 직장인입니다.

유게에서 이런 글을 봤습니다.
https://pgr21.com/humor/433638
이게 진짜 가능한건가요??

유산소라면 가능한것 같습니다.
제가 논산훈련소때 직접 경험했거든요.
야간행군 전엔 죽어가면서 했던 아침구보를.. 정확히 야간행군 후 휴식한 다음 첫 구보때부터 웃으면서 했습니다.
원래 겜돌이어서 체력이 너무 없는채로 갔는데 정확히 야간행군때 헤롱헤롱하면서 완주 한 뒤로 갑자기 웃으면서 아침구보가 가능하더라구요..

근데..웨이트도 이게 가능한거예요??
저는 당시 야간행군을 하면서 수분나가면서 체중이라도 갑자기 빠져서 가능했다고 이해하면 되겠지만
근육쓴다는게…이게 그렇게 되는건지 잘 이해가 .. 안갑니다… 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자몽
21/09/17 22:30
수정 아이콘
공부든 운동이든 일정 이상 수준부터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게 아니라 계단 형식으로 증가하니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다만 위 유튜브에도 나와있지만 무리하다가 [강화 실패]가 되면 노답이니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천천히 꾸준히 해서 스탭을 넘는게 안전합니다

특히 트레이너 없이 운동하는 일반 헬스러 들은 더더욱요

저도 서른 이후에 운동 시작하다보니 천천히 했는데도 어꺠에 무리가 가서 병원 다니면서 맨몸운동으로 롤백했습니다 ㅠ
교자만두
21/09/17 22:35
수정 아이콘
유산소도 하루아침에 업글이 되는데, 근육 왜 안되겠습니까.. 다 성장하쥬..
치카치카
21/09/17 22: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그글 봤는데 육체적+심리적의 복합적인 무언가도 가능성 있지 않을까요?

원글을 이해하기로는 육체적 강화의 관점으로 썰을 재밌게 푼거 같은데
실제로 한 번 무거운 무게를 들었기 때문에 근육이 발달돼서 담에 더 잘 들 수도 있을거 같다고도 생각되지만..

이것보다는 개인적으로 (육체적한계를 넘은것도 넘은건데) 심리적 한계를 넘은게 더 크지 않을까도 생각해봅니다.

왜냐하면 육체를 (실제로)한계까지 몰아붙이는건 대다수에게 쉽지 않은 일입니다. 대개는 심리적인 한계, 예를 들면 미경험한 세계에 대한 의문이나 두려움 등이 육체적인 문제보다 한계를 뛰어넘는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죽을것 처럼 한 번 들고나면 담번에는 과거에 그 무게를 극복해봤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심리적인 장벽이 낮아져있고 육체적으로도 할만한 느낌이 있었을거라 생각합니다.

저도 2.5 원판 껴있는거 못보고 PR도전했다가 왜케 무겁지 컨디션이 안좋나 이러다가 어거지로 일단 했는데 나중에 보니 원효대사 해골물 전략으로 +5Kg들었더군요. 그러고나니 그이전 무게는 심적으로 할만한 무게가 됐구요. 이게 급작스런 근육이나인대등의 성장보다는 심리적인 한계를 저도 모르게 깬게 주효했다고 생각합니다.
피지알러
21/09/17 23:07
수정 아이콘
실제로 PT 받고 있는 트레이너님에게 물어봤는데, 계단식으로 상승한다고 합니다.
근데 저 씨맥의 경우는 컨디션이 나쁜상태에서 무리하게 들다가 자세가 제대로 안나왔을 가능성이 큽니다.
라디오스타
21/09/17 23:19
수정 아이콘
심리가 크다고 봅니다. 벤치 칠때는 다른거랑 다르게 처음 올리는 무게가 진짜 무서워요.
항정살
21/09/18 00:43
수정 아이콘
무게는 일정 수준까진 선형적으로 상승하다가 한계가 오면 계단식으로 상승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0985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3984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694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6807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706
181115 [질문] 걸그룹 탑티어 보컬은 누가 있을까요? - 2000년생 이후 조건 [6] MoonWatch445 25/07/13 445
181114 [질문] 매장에서 사용할 핸드폰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고요1066 25/07/13 1066
181113 [질문] 5살 아이랑 겨울 여행 나트랑 vs 푸꾸옥 어디를 더 추천하시나요? [2] 기억의습작1279 25/07/12 1279
181112 [질문] 탈원전과 함께 에어컨 사용 금지법이 시행된다면? [8] 수지짜응1805 25/07/12 1805
181111 [질문] 요리 빡고수분 계신가요(김치질문) [6] 불대가리2676 25/07/12 2676
181110 [질문] 운전자 보험은 새로 드는 게 좋나요? [8] 빼사스3754 25/07/12 3754
181109 [질문] [POE1] 아틀라스 노드 관련 질문입니다! 일월마가2641 25/07/11 2641
181108 [질문] 컴퓨터를 새로 맞추려고 합니다 [2] 아기호랑이2963 25/07/11 2963
181107 [질문] 공부 잘 하는 법 있을까요? [20] 사계4739 25/07/11 4739
181106 [질문] 영화 슈퍼맨 9살 아이와 봐도 될까요? [5] 황신강림3051 25/07/11 3051
181105 [질문] 서천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3] 이리세1791 25/07/11 1791
181104 [질문] (야구) 두 선수중 어떤 선수를 더 선호하실까요? [47] 퀴즈노스3560 25/07/11 3560
181103 [질문] 읽었던 소설을 찾습니다. [6] 스덕선생2549 25/07/10 2549
181102 [질문] 오래된 아이패드는 앱을 못쓰나요?? [10] 제니2766 25/07/10 2766
181101 [질문] 일본 렌터카 차종 질문드립니다. [19] 쉬군2363 25/07/10 2363
181100 [질문] 단기간 목돈 굴릴 방법 [14] 뉴턴제2법칙2937 25/07/10 2937
181098 [질문] 폴드7 민트는 1TB가 안나오는거겠죠? [9] 하나1974 25/07/10 1974
181097 [질문] 비슷한 신발 추천 좀 부탁 드립니다. [2] 괴도키드1440 25/07/10 14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