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6/25 22:58
js가 쉬운 편인 건 맞지만... 제대로 쓰기는 어렵....(....)
NCS....도 그렇지만 많이 풀어보는 거 말고는 사실 답 없습니다. (이게 정답인지 아닌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만....)
21/06/25 23:02
크크 제가 js를 쉽다고 표현한 이유는 주로 주변에 있는 디벨로퍼 친구들이 ‘쉬운거 하면서 뭘 자꾸 투덜거리냐’고 자주 타박을 줬기때문입니다…유유 저한테는 어렵고 재밌어요 흐흐 답변 감사합니다!
21/06/25 23:26
앗… 혹시라도 기분 상하셨을까봐 첨언 남깁니다. 제 친구들이 js가 쉽다고 한 이유는 온전히 저를 놀리려고 하는 말인 것 같아요. 저는 디자이너인데 디벨로퍼 분들 볼때마다 여러모로 존경스럽습니다. 그리고 전 js가 너무 어렵습니다 유유 oop개념도 들어도 햇갈리고요 흑흑…
21/06/25 23:53
자신의 생각이나 말하기를 복기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 같네요. 독후감이나 일기같은 짧은 글을 써놓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 후 고쳐보는 건 어떨까요.
21/06/26 00:1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96/0000049343?sid=103
여기 나와있는거 중에서 골라서 해보시는게..
21/06/26 01:14
주안점이 코딩이라면 대강 수학이랑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타겟이 수능 수학 100점이라면, 이러한 타겟 달성을 위해 필요한 최소 상태는 사람에 따라 큰 편차가 없습니다. 누구든 정석 연습문제를 별다른 버벅거림 없이 빠르게 다 풀어낼 수 있는 정도가 되면 수능 수학에서도 점수가 잘 나오고, 이게 안 되는 사람은 좋은 점수를 기대하기 어려우니까요. 다만 정석 연습문제를 빠르게 풀어내는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나 접근방법 등은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기본문제를 한 번 풀어보면 바로 연습문제가 쭉쭉 풀리는 사람은 그냥 기본문제만 한바퀴 돌리면 바로 저런 상태가 됩니다만, 기본문제와 유제를 다 풀어봐도 연습문제가 잘 안 되는 사람은 숙달이 될 때까지 반복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반복을 하다보면 언젠가는 그러한 접근법을 체득하게 되고, 그렇게 체득한 것과 비슷한 문제를 만나면 대체로 금방 풀리니까요. 마찬가지로 코딩에서도 수능 수학 100점에 상응하는 수준이 타겟이라면 비슷한 접근법으로 해결이 됩니다. 반면 타겟이 그것보다 훨씬 높다면(예컨대 수학으로 치자면 가우스급), 다시 태어나시는게 빠릅니다.
21/06/26 01:28
크크크 막줄에서 터졌습니다. 코딩뿐만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논리 역시 늘었으면 좋겠지만, 아무래도 short cut은 없는 것 같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21/06/26 02:24
피쟐에서 키배를 하면 논리력이 향상되기는 하더라고요 (진심)
토론이 생각과 논리 정리하는데 꽤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대학졸업이후에 해볼곳이 마땅치 않을수도 있겠네요.. 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