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2/17 18:16:37
Name 올해는다르다
Link #1 머리속
Subject [질문] [축구] 현대축구에서 다득점 경기가 잦은 이유는? (수정됨)
안녕하세요. 흔한 fc코리아의 질문입니다.
'제 기억에는' 90~00년대에는 한국 대 프랑스 같은 밸런스 붕괴가 아닌 이상에야 난타전이 생겨도 3골? 진짜 많이 먹어도 4골?
보통은 2:1이나 1:0 승부가 많았던거 같습니다.

그런데 10년대 들어와서부터는 서로 강팀끼리 붙어도 잠시만 눈감았다뜨면 3~4골은 순식간이고
6골 7골 들어가는 게임들도 자주 나오는 거 같습니다.

이게 제 착각인걸까요? 아니면 현대축구에서 중요한 변화가 있었던건가요?
선수들의 기량발전으로 인해 공격자의 유리함이 극대화? 아니면 3-5-2, 4-4-2같은 수비적인 포메이션 대신 433같은 공격적인 포메이션 때문에?

축구 팬 여러분의 많은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1/02/17 18:32
수정 아이콘
글쎄요. 일단 데이터가 없으니 감각적인 얘기를 할수밖에 없는데 월드컵의 평균 득점은 큰 변화가 없는거 같고 유럽 리그들의 평균 득점은 조금 올라간 느낌이긴 하네요.
그럼 왜 많은 골이 나오는 경기가 많아졌냐?(실제로 많아졌다는 전제하에) 생각할수 있는 이유는
1. 공격에 유리한 룰변화: 94년부터 키퍼한테 백패스가 금지되고, 2000년대부터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어도 경기에 관여안하면 오프사이드 판정 안하는거로 바뀐점 등
2. 토너먼트 증가: 챔스도 월드컵도 유로도 참가팀수가 늘어난만큼 한골 먹히면 두골 넣어야 되는 토너먼트가 늘어난점.
3. 축구 전술의 흐름: 어차피 우주방어하다가 질거 높은 곳에서 압박을 해서 상대방의 빌드업을 무너뜨리겠다라는 마인드가 약팀에도 장착이 되면서 그러다가 실점하고 어쩔수없이 공격하느라 대량실점, 혹은 맞불양상이 증가
4. 축구판이 점점 커지면서 각팀들도 코치 전술분석 자원이 늘어나면서 세트피스 전담코치 전담분석이 나오며 버스세우기의 이점이 점점 사라짐?

이정도가 생각나네요.
Proactive
21/02/17 18:52
수정 아이콘
어떤 경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개인적인 느낌에는...
강팀은 자본력이 강화되어서 더 부익부빈인빈 현상이 있어서 이제 약팀이 이기기 어려워진 것같아요.
선수수급부터 스포츠 사이언스부서까지 워낙 강력해져서요.
전술흐름도 체력이 뭐 이제 당연시하게 중요해지다보니까 약팀에서만 뛰면 체력도 약해지는 느낌이라 더 스노우볼이 쎄게 굴러가는 것같습니다.
맨시티나 뮌헨같은팀은 A팀 뭐 B팀 C팀까지도 이름 한번 들어본것같은 선수들이 즐비하구요.
올해는다르다
21/02/17 18:53
수정 아이콘
평균적인 경기보다도 음.. 챔스나 월드컵의 강팀 대 강팀 대결에서 말도안되게 몰아치는 경기들이 허구한날 나오는거 같아서 여쭤봤습니다
21/02/17 19:35
수정 아이콘
제가 보기엔 또이또이 한 것 같아요. 예나 지금이나
21/02/17 20:12
수정 아이콘
비슷해요.. 오히려 텐백 전술이 체계화 되면서 강팀이 약팀 뚜드러패던게 약해졌죠.. 리즈같이 강팀상대로도 라인올리고 맞불놓는 팀들은 다득점 경기 나오구요..
손금불산입
21/02/17 20: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pgr21.com/spoent/27967
제가 2년전쯤 비슷한 주제로 스연게에 글을 쓴게 있었습니다. 질문하신 점과 완전히 같은 이야기는 아니지만요.
손금불산입
21/02/17 20:44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spoent/51663
찾아보니 빅리그 평균 득점 추이 자료도 있었네요.
요한슨
21/02/18 09:24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spoent/37583#726143

강팀간의 대결에서도 다득점이 나온다는 질문에 대한 예시가 되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037 [질문] 삼성 무선청소기 VS 엘지 무선청소기 [10] kogang20019796 21/02/21 9796
153036 [질문] 보이저 1, 2호처럼 수십년 미래를 내다보고 외우주로 쏘아보내는 우주선?은 없을까요? [5] 죽력고7899 21/02/21 7899
153035 [질문] 인터넷+TV 통신사는 어디가 좋나요? [11] LeeDongGook11776 21/02/21 11776
153034 [질문] 안드로이드에서 아이폰으로 대용량 사진이동방법 문의합니다 [2] SlaSh.7890 21/02/21 7890
153033 [질문] 세차 어디서 하면 좋을까요? [10] 부기영화7611 21/02/21 7611
153032 [질문] 갤럭시탭 s5e랑 s6 라이트 어느게 나을까요? [8] 오렌지망고7874 21/02/21 7874
153031 [질문] 채권형 펀드 구입해보신 분 계신가요??? [5] 비타에듀6847 21/02/21 6847
153030 [질문] 홍대-연남동 일대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 [6] 개미핥기8372 21/02/21 8372
153029 [질문] 유부남 피지알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7] 나른한오후8965 21/02/21 8965
153028 [질문] 화요 소주 보관 질문드립니다. [8] 딸기21364 21/02/21 21364
153027 [질문] 피지알 광고 형식이 바뀐 걸까요? [5] 부기영화4540 21/02/21 4540
153026 [질문] 에이드시럽에 대한 질문 + 불매운동에 대한 푸념(?) [5] 유머게시판5052 21/02/21 5052
153025 [질문] pgr에 자음 허용이 언제 부터 되었을까요? [10] dfjiaoefse6025 21/02/21 6025
153024 [질문] 암보험 알아보고 있는데 원래 싼건가요? [6] 삭제됨6154 21/02/21 6154
153023 [질문] 해킹을 막기 위해 [3] pqknni5051 21/02/21 5051
153022 [질문] 파스타면, 시판소스 추천해주세요 [3] 기나5457 21/02/20 5457
153021 [질문] 넷플릭스 격투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너의색으로물들어6159 21/02/20 6159
153020 [질문] 이사(대출) 관련 조언부탁드립니다. [6] 좋은데이5307 21/02/20 5307
153019 [삭제예정] 저희 할머니께서 영어공부를 시작하시려고 하는데요. 조언부탁드립니다. [14] 티타늄7198 21/02/20 7198
153018 [질문] 아이패드 정품 케이스 가격값 할까요..? [4] 삭제됨6567 21/02/20 6567
153017 [질문] 가디언테일즈 pgr24 (4지부) 길드 망했나요? [2] 스컬로매니아6527 21/02/20 6527
153016 [질문] Slay the Spire 진노-명상 순환덱 질문입니다 [8] 샤르미에티미7656 21/02/20 7656
153015 [질문] 배달앱 주문 관련 질문 드립니다.. [9] 베르나르7030 21/02/20 70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