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2/17 18:16:37
Name 올해는다르다
Link #1 머리속
Subject [질문] [축구] 현대축구에서 다득점 경기가 잦은 이유는? (수정됨)
안녕하세요. 흔한 fc코리아의 질문입니다.
'제 기억에는' 90~00년대에는 한국 대 프랑스 같은 밸런스 붕괴가 아닌 이상에야 난타전이 생겨도 3골? 진짜 많이 먹어도 4골?
보통은 2:1이나 1:0 승부가 많았던거 같습니다.

그런데 10년대 들어와서부터는 서로 강팀끼리 붙어도 잠시만 눈감았다뜨면 3~4골은 순식간이고
6골 7골 들어가는 게임들도 자주 나오는 거 같습니다.

이게 제 착각인걸까요? 아니면 현대축구에서 중요한 변화가 있었던건가요?
선수들의 기량발전으로 인해 공격자의 유리함이 극대화? 아니면 3-5-2, 4-4-2같은 수비적인 포메이션 대신 433같은 공격적인 포메이션 때문에?

축구 팬 여러분의 많은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1/02/17 18:32
수정 아이콘
글쎄요. 일단 데이터가 없으니 감각적인 얘기를 할수밖에 없는데 월드컵의 평균 득점은 큰 변화가 없는거 같고 유럽 리그들의 평균 득점은 조금 올라간 느낌이긴 하네요.
그럼 왜 많은 골이 나오는 경기가 많아졌냐?(실제로 많아졌다는 전제하에) 생각할수 있는 이유는
1. 공격에 유리한 룰변화: 94년부터 키퍼한테 백패스가 금지되고, 2000년대부터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어도 경기에 관여안하면 오프사이드 판정 안하는거로 바뀐점 등
2. 토너먼트 증가: 챔스도 월드컵도 유로도 참가팀수가 늘어난만큼 한골 먹히면 두골 넣어야 되는 토너먼트가 늘어난점.
3. 축구 전술의 흐름: 어차피 우주방어하다가 질거 높은 곳에서 압박을 해서 상대방의 빌드업을 무너뜨리겠다라는 마인드가 약팀에도 장착이 되면서 그러다가 실점하고 어쩔수없이 공격하느라 대량실점, 혹은 맞불양상이 증가
4. 축구판이 점점 커지면서 각팀들도 코치 전술분석 자원이 늘어나면서 세트피스 전담코치 전담분석이 나오며 버스세우기의 이점이 점점 사라짐?

이정도가 생각나네요.
Proactive
21/02/17 18:52
수정 아이콘
어떤 경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개인적인 느낌에는...
강팀은 자본력이 강화되어서 더 부익부빈인빈 현상이 있어서 이제 약팀이 이기기 어려워진 것같아요.
선수수급부터 스포츠 사이언스부서까지 워낙 강력해져서요.
전술흐름도 체력이 뭐 이제 당연시하게 중요해지다보니까 약팀에서만 뛰면 체력도 약해지는 느낌이라 더 스노우볼이 쎄게 굴러가는 것같습니다.
맨시티나 뮌헨같은팀은 A팀 뭐 B팀 C팀까지도 이름 한번 들어본것같은 선수들이 즐비하구요.
올해는다르다
21/02/17 18:53
수정 아이콘
평균적인 경기보다도 음.. 챔스나 월드컵의 강팀 대 강팀 대결에서 말도안되게 몰아치는 경기들이 허구한날 나오는거 같아서 여쭤봤습니다
21/02/17 19:35
수정 아이콘
제가 보기엔 또이또이 한 것 같아요. 예나 지금이나
21/02/17 20:12
수정 아이콘
비슷해요.. 오히려 텐백 전술이 체계화 되면서 강팀이 약팀 뚜드러패던게 약해졌죠.. 리즈같이 강팀상대로도 라인올리고 맞불놓는 팀들은 다득점 경기 나오구요..
손금불산입
21/02/17 20: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pgr21.com/spoent/27967
제가 2년전쯤 비슷한 주제로 스연게에 글을 쓴게 있었습니다. 질문하신 점과 완전히 같은 이야기는 아니지만요.
손금불산입
21/02/17 20:44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spoent/51663
찾아보니 빅리그 평균 득점 추이 자료도 있었네요.
요한슨
21/02/18 09:24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spoent/37583#726143

강팀간의 대결에서도 다득점이 나온다는 질문에 대한 예시가 되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841 [질문] 무식) 플스5나 닌텐도사려하는데 tv에 연결하는건가요? [7] 기술적트레이더2312 25/06/10 2312
180840 [질문] 링제본(?) 아시는 분 계시나요? [8] 인민 프로듀서2161 25/06/10 2161
180839 [질문] 명조 컴포즈 쿠폰 공유 합니다 [4] 우엉징아리1918 25/06/10 1918
180838 [질문] 컴퓨터 견적 부탁드립니다 [6] 퍼블레인1847 25/06/10 1847
180837 [질문] 챗지피티 20만원은 성능차이가 얼마나 체감이 되나요? [8] 랜슬롯2268 25/06/10 2268
180836 [질문] PC 견적 문의 드립니다. [4] 피카츄1116 25/06/10 1116
180835 [질문] 지금 챗지피티가 제대로 작동하나요? [8] ArcanumToss1491 25/06/10 1491
180834 [질문] 어떻게 하면 지역 내 좋은 변호사를 구할 수 있을까요? [8] 고요1969 25/06/10 1969
180833 [질문] LED 빛샘 수리비가 얼마나 나올까요? [12] 탄야1381 25/06/10 1381
180832 [질문] 옛날 00년대 WWE PPV 정리되어 있는 사이트가 있을까요? [1] bifrost1347 25/06/10 1347
180831 [삭제예정] 이런경우 서류탈락일까요? [19] 삭제됨2708 25/06/10 2708
180830 [질문] 중고 PC 구매 관련 질문입니다. [8] AquaMarine1655 25/06/10 1655
180829 [질문] 같은 날 피검사 결과 차이 [4] 블루데이2349 25/06/10 2349
180828 [질문] 닌텐도2 젤다 야숨, 왕눈 업그레이드 관련 [7] Wade2044 25/06/10 2044
180827 [질문] 초보자 코딩 공부시에 생긴 의문 [14] 강희최고2126 25/06/10 2126
180826 [질문] 부풀어오른 보조배터리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 [6] VictoryFood3114 25/06/10 3114
180825 [질문] 아케이드 스틱 하나만 추천 부탁드려요 [8] 진순스프70퍼2174 25/06/09 2174
180824 [질문] 모션데스크나 그냥 데스크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동네슈퍼주인2098 25/06/09 2098
180823 [질문] 바라클라바 추천 부탁드립니다. [5] 택배2128 25/06/09 2128
180822 [삭제예정] 감사합니다!! [25] 삭제됨4000 25/06/09 4000
180821 [질문] 갤럭시와 연동할 만한 사진 저장용 클라우드 추천 좀 [7] 앗흥1659 25/06/09 1659
180820 [질문] 요즘 번역앱을 어떤 걸 쓰시는지요? [4] 넙이아니1966 25/06/09 1966
180819 [질문] [디아블로2] 삥바바 아뮬렛 좀 봐주세요(구매예정) [12] 아침1877 25/06/09 18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