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1/11 15:48:23
Name 하나둘셋
Subject [질문] 혼자서 게임개발 (취미든 부업이든) 하시는분들 다이어그램을 어느정도 그리시는지요
안녕하세요   최근 유니티와 C#입문한 코린이 입니다

관련 전공을 하지 않아 UML은 잘 모릅니다.
어쨌든 회사원이고 프로세스 문서 읽을 일은 있어  다이어그램으로 뭘 나타내는지는 알긴 압니다

정말 간단한게임을 짰는데도  결과적으로 클래스 관계나 오브젝트 어디에 무슨 클래스(컴포넌트) 를 붙였는지,    내가 지금 보고있는 이 코드(클래스의 메서드 등) 가 도대체 어디서 쓰고있는건지 헷갈리더군요


더 공부하고 실력이 늘면  복잡한게임도 만들게 될텐데
다이어그램을 얼마나 그려야될지 궁금해서   혹시 조언 가능하시면 부탁 드립니다

인터넷 검색하면서 UML도 알게되고 관련 학문이 있는것도 알았지만..     혼자서 그렇게 다 하기에는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느낌입니다 (누구 보여주려고 하는것도 아니고 나혼자 볼껀데)



마지막으로..   그렇게 다이어그램 그리고 수정하는 시간도 만만치 않을텐데..   그래도 그리는게 결과적으로는 효율적이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프즈히
21/01/11 15:59
수정 아이콘
여러 의견이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제 사견으로는 혼자 개발하는 사이즈에서는 다이어그램 없이 그냥 클래스 구조, 함수명, 변수명에 신경 쓰셔서 코드 가독성을 좋게 하는 정도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UML을 공부하고 다이어그램을 그려보는 것보다는 (물론 나름 용도는 있겠지만) 기본 객체지향 및 디자인 패턴 공부에 시간을 쏟고, 실제로 리팩토링을 여러번 해 보는게 더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일단 솔루션 탐색기 쫙 펼쳐놓고 클래스 이름과 네임스페이스만으로 구조파악이 안되는 부분부터 하나씩 고쳐보는건 어떨까요.
하나둘셋
21/01/11 16:37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잘 참고하겠습니다
부끄럽지만 아직 디자인패턴이 정확히 무엇인지도 모르는데 공부부터 더 해야겠습니다ㅠ
솔루션탐색기는 아마 VS의 기능인것 같네요..
21/01/12 10:26
수정 아이콘
현재 단계에서는 굳이 모든 컴포넌트, 행위 등을 다이어그램으로 그리실 필요 없습니다.
UML의 마지막 L은 Language 입니다.
다른 사람과 구현 결과물 만들기 전에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라는 뜻이죠.
나만 보기 위한 메모를 쓰시거나 일기를 쓰실 때 규약이나 형식을 지키는 경우는 별로 없잖아요?

아직 필요성을 크게 못 느끼시고 다른 개발자와 같이 설계 검토를 하거나 설계 기반에서 코드를 만드실 단계가 아니십니다.
다이어그램 작성에 노력을 투입하고 작성한 다이어그램이 잘 작성되었는지 고민하고 불안해하는 시간이 클수록
하시는 일에 흥미를 잃고 두려움이 생기실 수 있습니다.

그냥 지금은 코드 많이 지지고 볶고 하세요. 에러도 많이 보시고 해결하시고 그렇게 재미나게 프로그램 짜시면 됩니다.

굳이 뭔가 다이어그램 그려야겠다 하시면..

유스케이스면 내 게임이 이런 걸 했으면 좋겠다 하는 것을 동그라미로 그리세요.
동그라미 바깥에 게이머(사람) 그려놓으시고요.

클래스 다이어그램도 코드 다 작성하고 나면 구현 결과물과 다이어그램이 차이가 나게 되어있습니다.
내가 만들 인터페이스, 구현 클래스, 대략적인 메소드 선언 정도만 해놓으시면 됩니다.

시퀀스 다이어그램 제대로 그리는 사람 거의 없습니다.
스테이트 차트 다이어그램(순서도 레벨로)도 크게 크게 흐름 정도만 그리세요.

내 게임에 대해서 공책에 연필로 쓱쓱 스케치한다는 마음가짐이시면 됩니다.
귀찮으면 안해도 된다는 얘기고요.. ^^
하나둘셋
21/01/25 05:46
수정 아이콘
에고 댓글을 달았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답변주신거 참고하려고 읽으러 오니 답을 안달았었네요

2주전 글인데.. 그동안 배우다보니 2주전의 코드는 제가 더럽게 짰기때문에 못알아볼만했다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누군가의 추천으로 클린코드라는 책을 조금 일단 알아볼 수 있는 명칭으로 작성하면 되더군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4615 [질문] 계약기간 남은 월세집 이사하기 [4] 오하이오11996 21/04/24 11996
154614 [질문] 100~130만원 선에서 게이밍PC 어떤걸 사야하나요 [6] 레스토랑스8013 21/04/24 8013
154613 [질문] 이순신 장군이 반란을 일으켰다면 성공확률? [16] 아몬8518 21/04/24 8518
154612 [질문] Sf 소설 제목 알고싶습니다 [5] lasd2418464 21/04/24 8464
154611 [질문]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있는 동영상 TV로 보는 방법 없나요? [5] 삭제됨6866 21/04/24 6866
154610 [질문] 한한한만두 달성 조건으로 타이틀을 포기하라면 하실건가요? [9] 훈타5673 21/04/24 5673
154609 [질문] 공유기 설치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3] 계속이끌기7676 21/04/24 7676
154608 [삭제예정] 썸탈때 손 잡으시죠? 고민이 하나 있습니다 [13] 삭제됨9188 21/04/24 9188
154607 [질문] 유게의 완제품 PC 사고 그래픽카드 빼서 팔면 사는 사람 있을까요? [6] VictoryFood8833 21/04/23 8833
154606 [질문] 게이밍 노트북, 이륙해도 될까요? [1] ELESIS10892 21/04/23 10892
154605 [질문] [롤] 담원기아 전설의 PC방 당시 멤버가 누구누구였나요? [1] 따루라라랑9375 21/04/23 9375
154603 [질문] 차 시동킬때 rpm 떨어지면서 바로꺼지는데 원인이멀까요? [8] 피스~8207 21/04/23 8207
154602 [질문] 업무용 노트북 추천해 주세요 [9] norrell8608 21/04/23 8608
154601 [질문] 헬스장에서 어이없는 일이 발생 했는데요..*헬스장과의 악연* [35] 50b10340 21/04/23 10340
154600 [질문] 바이오하자드 RE3도 RE2처럼 캐릭 번갈아서 해야하나요? [4] 회색8537 21/04/23 8537
154599 [질문] 교조적인 말투 어떻게 고쳐야 할까요? [35] 마스터충달13394 21/04/23 13394
154598 [질문] 거북목과 라운드숄더는 교정될 수 있나요? [6] 기술적트레이더9595 21/04/23 9595
154597 [삭제예정] 연봉이 이런 일이 가능한가요??? [21] 삭제됨9245 21/04/23 9245
154596 [질문] m1칩 생태계에서 오피스작업 [4] Chandler9473 21/04/23 9473
154595 [질문] 현대사회에서 온돌난방이 필수일까요? [38] AKbizs11834 21/04/23 11834
154594 [질문] 치매 질문입니다. [4] 부처7088 21/04/23 7088
154593 [질문] 소파의 중고 적정가격은? [7] 흰둥8822 21/04/23 8822
154592 [질문] 앞으로 나오는 맥북에서 윈도 사용... [10] 부기영화9828 21/04/23 98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