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19 10:51:27
Name 목캔디
Subject [질문] 내장하드 vs 외장하드? 그외 하드디스크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두어달 전에 데스크탑을 조립해서 잘 쓰고 있는데요.
이번에 무료로 풀린 gta 5를 설치하고 나니 500기가 ssd가 어느덧 용량이 얼마 남지 않아 하드디스크를 추가로 설치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하드디스크를 알아보는 중에 아래와 같은 궁금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1. 외장하드 vs 내장하드 속도차이?
제가 알고 있기로는 같은 HDD도 내장하드가 외장하드보다 더 빠른거 아닌가요?
그이유는 NVME 또는 SATA 방식이 USB 3.0보다 더 빠르기 때문 아닌가요?

2. 하드디스크의 수명? 주기? HDD vs SSD
8년 정도된 옛날 컴퓨터에 1테라 하드디스크가 있는데.. 이걸 재활용해도 문제 없나요?
하드디스크의 수명은 보통 어떻게 되나요? 그럼 하드디스크도 일정 주기마다 백업을 해줘야 하나요?
그리고 HDD와 SSD 중에 수명이 더 긴 놈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3. ssd 용량이 부족하여 hdd에 게임을 설치하고 구동시키면 많이 느린가요? 체감이 될까요?
예전의 스타같은 게임이야 hdd에 설치하고 게임해도 큰 차이는 없을 것 같은데..
배그나 gta5 같은 고사양 게임의 경우 hdd에 설치하고 게임을 하면 많이 느려지나요?
아니면 게임 실행시킬때만 느리고 게임 진행 중에는 별 느낌이 없을까요?

4. 컴퓨터의 저장공간을 보통 어떻게 구성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제 계획은 현재쓰고 있는 500gb ssd에  2TB 짜리 WD 내장하드를 구매하려고 생각 중인데.
다른 분들은 집에 쓰는 메인 데스크탑의 저장공간을 어떻게 구성해서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이것저것 질문이 많았네요.
시간나실때 하나라도 댓글 달아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어랏노군
20/05/19 11:22
수정 아이콘
1. 내장하드가 빠른 이유는 외장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제약이 잡하기 때문입니다. 일반하드는 SATA 3.0으로 초당 600MB 전송이 가능한데 이는 USB 3.0인 대역폭(초당 500MB)을 초과합니다. 물론 USB 3.1은 초당 1GB 전송이 가능하니 제약 받지는 않겠지요. 그리고 NVMe는 하드가 아니라 SSD 전송규격입니다.

2. 8년된 하드면 디스크 정보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상태를 확인하신 후 사용하시면 될 것 같고, 하드디스크도 고장의 가능성이 있는 기기이니 백업은 해두셔야 합니다. 하드디스크 수명은 복불복이라 딱 얼마라고 말씀드리긴 어렵습니다. 그리고 SSD는 몇달 정도 전원을 인가하지 않으면 어느 순간 데이터 전체가 날아갈 가능성이 있으니 주기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확인해주셔야 합니다.

3. 개인 차가 존재하지만 저 개인적으로는 차이가 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SATA SSD와 NVMe SSD는 스펙만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5. 저는 메인의 경우 1TB NVMe SSD 하나만 사용하고 있고 외부에서 NAS(8TB) 사용하고 있습니다.
목캔디
20/05/19 14:34
수정 아이콘
8년된 하드는 안쓰는게 맞겠군요. 갑자기 NAS 뽐뿌가 오네요....
worcester
20/05/19 11: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내장이 더 빠를 수밖에 없습니다. USB 3.0 등에선 오버헤드도 무시못할 수준이고요. 다만 하드디스크의 경우 그 자체가 속도가 느려서 생각보다 그리 큰 차이는 없을 수 있습니다.

2. 재활용해도 당장 문제는 없겠습니다만 8년이 되었다면 슬슬 걱정해야겠네요.
"수명이 보통 어떻게 되냐" 질문에 답하기는 매우 힘듭니다. 한 데이터센터 업체에서는 연간고장율을 1.7% 정도로 보고 있고요. 대부분 일반사용자용보다 더 퀄리티 좋고, 비싼 하드디스크들의 경우죠.
저는 개인적으로 한 5-7년 봅니다. 물론 초기불량도 감안해야겠고요. 사용패턴이나 환경, 사고유무에 따라서도 워낙에 달라지기 때문에 제 자신의 수명을 예측하는 만큼 힘들어요.

백업은 어떤 저장매체를 쓰건 당연히 해야하는 작업이고요. 다만 전 요새 게임같은 경우 세이브/세팅이 클라우드연동된다면 따로 더 백업은 안하고 있네요.
SSD는 수밖에 없습니다. USB 3.0 등에선 오버헤드도 무시못할 수준이고요. 다만 하드디스크의 경우 그 자체가 속도가 느려서 생각보다 그리 큰 차이는 없을 수 있습니다.

2. 재활용해도 당장 문제는 없겠습니다만 8년이 되었다면 슬슬 걱정해야겠네요.
"수명이 보통 어떻게 되냐" 질문에 답하기는 매우 힘듭니다. 한 데이터센터 업체에서는 연간고장율을 1.7% 정도로 보고 있고요. 대부분 일반사용자용보다 더 퀄리티 좋고, 비싼 하드디스크들의 경우죠.
저는 개인적으로 한 5-7년 봅니다. 물론 초기불량도 감안해야겠고요. 사용패턴이나 환경, 사고유무에 따라서도 워낙에 달라지기 때문에 제 자신의 수명을 예측하는 만큼 힘들어요.

백업은 어떤 저장매체를 쓰건 당연히 해야하는 작업이고요. 다만 전 요새 게임같은 경우 세이브/세팅이 클라우드연동된다면 따로 더 백업은 안하고 있네요.
SSD는 가동부가 없어서 보통 HDD보다 수명이 길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도 정전기 등의 사고, 플래시메모리 자체의 수명 등은 있어서 영구적으로 쓸 수 있는 물건은 아닙니다. (플래시메모리 수명은 엔간해서는 일반사용자가 걱정할 일이 아닙니다.)

3. 로딩이 많은 게임의 경우, 로딩시간이 엄청나게 증가합니다. GTA5도 상당히 늘어난다고 알고 있고, GTA온라인인 경우라면... 정말 엄청나게 늘어납니다.
초기 로딩이 끝난 다음엔 HDD라고 해서 큰 문제가 일어나진 않을 겁니다.

4.
C: 500GB SSD(NVMe) // 부팅, 프로그램(게임 포함)
D: 4TB HDD // 사용자 폴더 (2TB면 충분했지만 살 때 가격차이가 얼마 나지 않아서... 나중에 E로 넘길 생각까지 하고 있습니다)
E: 4TB HDD // 대용량 파일, 백업 (현재 7년쯤 되었습니다.)
F: 500GB SSD(SATA3) // 스크래치 드라이브

이 외장 둘은 사실 내장하드로 쓰던 놈들인데, 필요할 때 하드독 사용해서 USB로 연결해서 쓰고 있습니다.
외장1-1: 백업, 아카이브 (자주 쓰지 않는 파일들 위주)
외장1-2: 외장1-1의 클론

Dropbox: 사용자 폴더 일부, 백업
목캔디
20/05/19 14:35
수정 아이콘
너무나도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하드백업 필수, HDD에 게임 깔아도 할만하다는 거군요.감사합니다.
레필리아
20/05/19 11:34
수정 아이콘
1. SSD가 아닌 일반 HDD로는 초당 200MB 남짓 전송가능합니다. 그러므로 USB 3.0이든 SATA3든 크게 상관없습니다.

2. 윗분 말씀대로 검사 진행 후 이상 없으시면 사용하셔도 됩니다만..
개인적으로 백업은 말 그대로 최후의 보루인데.. 클라우드 서비스나 보관용 하드를 구매하셔서 백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맵이동 없는 멀티플레이어 대전게임은 HDD 설치 추천드립니다.(ex: 롤, 스타 등)
어차피 제일 느린 플레이어에 맞춰서 게임이 진행되어서 SSD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 롤 같은 경우는 챔피언 선택창이 빨리 뜨겠네요..

4. 500GB SSD 1개 + 2TB HDD 사용중이고.. 데이터 백업은 구글클라우드 사용 중입니다.
특이점이 있다면 레지스터를 수정해서 사용자 폴더를 HDD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목캔디
20/05/19 14:36
수정 아이콘
롤, 스타 등은 괜찮겠군요. 백업은 구글클라우드 감사합니다.
Horde is nothing
20/05/19 11:56
수정 아이콘
2.사용량 과 다른 요소로 달라지지만 8년이면 교체를 추천드립니다.
간단하게 설치할수 있는 파일들 말고 여행,옛날 사진,자주사용하는 파일,등의 구할수 없는 파일들은 꼭 백업해두시길 바랍니다.

3.로딩에 가장많은영향을 주고 프레임 에는 큰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자잘한 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니 게임은 ssd에서 즐기는게 쾌적합니다.
고분자
20/05/20 19:40
수정 아이콘
2. 수명관련 ...전 7년전 쓰다 놔뒀던 120gb 삼성 ssd evo 써봤다가 3주만에 인식불가현상나네요 SSD는 한번 망가지면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하고 섭스센터 전화해봤는데 보증기간내면 다른걸로바꿔주고 이후면 고장여부만 판별해준대요. 옛날물건이면 일반 HDD가 수명은 더 긴거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196 [질문] VR로 마인 크래프트 하고 싶다는데, 뭘 사줘야 하나요? [5] 약쟁이4208 20/05/23 4208
145195 [질문] 넷플릭스 (U+) 질문드립니다. [4] 오늘보다 나은 내일3221 20/05/23 3221
145194 [질문] 이게 왜 준하는 사람(같은 사람)이 되는건가요?? 엄밀히 성격자체가 다르지 않나요?? [6] 잘가라장동건4741 20/05/23 4741
145193 [질문] 옛날 일드 명장면 중 제목이 알고싶습니다. [2] 여자친구4044 20/05/23 4044
145192 [질문]  전업투자자 아닌 회사원분들은 어떤 식으로 투자하시는지요...? [10] nexon5099 20/05/23 5099
145191 [질문] 식당에서 멘치까스 먹었는데 신맛이 너무 났어요 [5] 싶어요싶어요4636 20/05/23 4636
145190 [질문] 녹 없애는 효과적인 방법... [6] 희원토끼3778 20/05/23 3778
145189 [질문] 일본 노래 질문 [5] Ragamuffin3701 20/05/23 3701
145188 [질문] 한국농구에서 현주엽씨는 어느정도인가요? [19] 합스부르크7413 20/05/23 7413
145187 [질문] 스팀에 있는 발더스게이트 조이패드 지원하나요?? [4] 귀여운호랑이5558 20/05/23 5558
145186 [질문] cpu 온도가 너무 높은 것 같습니다 정상일까요? (라이젠3600) [6] StondColdSaidSo5013 20/05/23 5013
145185 [질문] 다음 영문장의 뜻이 무엇일까요? [15] 문문문무4719 20/05/23 4719
145184 [질문] 하나의 한반도 국제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인정 받나요? [5] ioi(아이오아이)3751 20/05/23 3751
145183 [질문] 시저3같은 게임 추천해주세요!! [7] 홀리데이5572 20/05/23 5572
145182 [질문] 일본 여자 가수 뮤직비디오 찾습니다. [2] 귤마법사4724 20/05/23 4724
145181 [질문] 양양에서 서울오는길 유아둘 데리고 가볼만한곳? [2] 하나둘셋3665 20/05/23 3665
145180 [질문] 갤럭시 키보드 문의입니다 [2] Albert Camus3292 20/05/23 3292
145179 [질문] 스위치 드디어 하나 샀는데 추가구매 구성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4] 보로미어4587 20/05/23 4587
145178 [질문] 여자가 번호따였다고 자랑하는 이유는 뭔가요? [38] Your Star17212 20/05/23 17212
145177 [질문] 모기가 멸종하면 인간에게 더 큰 피해를 줄까요? [16] valewalker5475 20/05/22 5475
145176 [질문] 온수보일러에 관한 질문입니다. [2] 호로3336 20/05/22 3336
145175 [질문] 요거트를 통에서 쉽게 따르는 법? [5] 스타듀밸리5419 20/05/22 5419
145174 [질문] 관심을 끌고 싶은 심리에 대한 궁금함 [14] Gunners4204 20/05/22 42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