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07 12:11:28
Name EPerShare
Subject [질문] 친구 결혼식에 가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친척 결혼식 가서 돈 받는 건 자주 했는데, 친구 결혼식에 참석하는 건 처음입니다.

1. 가서 친구와 인사를 해야 하나요?
식 준비하느라 정신 없을 텐데, 그래도 찾아가서 인사는 하고 나오는 것이 예의인지, 그냥 바로 다른 하객들과 있으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2. 복장은 정장 입어야 할까요?
어차피 사진에 들어갈 일도 없을텐데, 굳이 정장 안 입고 비캐 정도로 입어도 될 것 같기도 하고...

3. 축의금은 아직 안 친하면 5 친하면 10이 정석인가요?
저 얘기 들은 게 수 년 전이라 인플레이션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그 외 주의사항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지연
20/05/07 12:15
수정 아이콘
1. 신랑은 식장 입구, 신부는 신부대기실에서 손님을 맞습니다. 그래서 신랑의 경우는 자연스럽게 인사하게 됩니다. 손님과 인사하는게 식 시작하기 전까지는 신랑, 신부의 임무(?)이니 부담없이 인사하면 됩니다
2. 사진 안 찍을거면 굳이 안 입어도 됩니다.
3. 네
20/05/07 12:16
수정 아이콘
1. 인사는 꼭 하셔야죠, 내가 네 결혼식에 왔다는 걸 꼭 알려줘야지 안그럼 그냥 안가고 축의금만 내는거랑 다를 바가 없죠
2. 웬만하면 정장이 낫습니다
3. 저도 딱 그렇게 내고 있네요
20/05/07 12:16
수정 아이콘
1. 나 왔다~ 축하한다~ 부모님 축하드려요~ 정도 인사면 끝
2. 정장이면 좋고, 아니더라도 깔끔하면 좋죠
3. 이건 개인 사정따라 케바케, 화환 보내는거 아니면 대부분 최소 10 정도는 하죠
아웅이
20/05/07 12:16
수정 아이콘
1. 인사는 하는게 좋죠. 정신없어서 기억할지는 모르지만요
2. 그냥 깔끔하게만 입으면 됩니다.
3. 네
20/05/07 12:23
수정 아이콘
1. 축하해주면 좋죠 갔으면 갔다는 표시를 확실히 하는 게 좋습니다.
2. 정장이 있으면 고민할 필요 없이 입으면 되고 없으면 사서 입을 필요까지는 없을 듯 합니다.
3. 그러시면 되는데 호텔 결혼식 식대 비싼 데는 너무 부담 안되시면 10하시면 좋겠죠
머나먼조상
20/05/07 12:27
수정 아이콘
1. 너무 늦게가지만 않으면 입구에 신랑신부 대기중이니 가서 악수한번 하고 축하해주면 됩니다
2. 사진 안찍을거면 비캐로 충분하죠
3. 장소 보고 마이너스는 안되는 느낌으로... 요즘 가서 밥까지 먹을거면 최소 10만원 내는게 마음이 편하더라고요
네이버후드
20/05/07 12:30
수정 아이콘
1. 인사하면 좋습니다.
2. 깔끔하기만 하면됩니다. 슬랙스에 셔츠만 입어도요
3. 어차피 그돈 그대로 받습니다. 마음대로하세요
Rorschach
20/05/07 12:31
수정 아이콘
1. 남자는 보통 식장입구 or 축의금 받는 곳 근처 / 여자는 신부대기실에 있습니다.
남자의 경우 식 시작 10분전에만 도착해도 인사 가능하긴 한데 친구분이 여자면 좀 더 일찍 가셔야 만날 수 있어요.
그리고 남자의 경우 보통 부모님이 계신 경우 부모님, 형제가 있을 경우 형제도 함께 있는 경우가 많으니 친구랑 인사하면서 옆에계신 부모님께 'xx 친구입니다. 축하드립니다.' 정도 인사 하시면 무난합니다.

2. 요즘도 여전히 기본적으로는 정장을 많이 입긴 한데 그냥 깔끔하게만 입어도 상관없습니다. 물론 특별한 이유 없으면 역시 정장이 무난. 정장이 아니더라도 자켓 정도는 입고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긴 합니다.

3. 이건 나이에 따라 환경에 따라 많이 다른데 5만원이면 무난하긴 합니다. 꾸준히 연락하는 친구라면 10만원 정도 내는 경우 많죠.
회색사과
20/05/07 13:06
수정 아이콘
5/10 룰이 무난하기는 한데요, 혹시 으리뻑쩍 식대 비싼 곳은 아닌지 한 번 찾아보고 가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와서 축하해주는 것만도 어디냐 싶기는 한데,
하객으로 가는 입장에서 식대보다 덜 넣기는 또 좀 맘에 걸리더라구요.
20/05/07 13:36
수정 아이콘
직장인일 경우 친하면 10부터...
내가 못가는 상황에 엄청 친하진 않다 5
가면 일단 밥값이 거의 5이기때매 밥값 5에 축의 5정도라 생각..
EPerShare
20/05/07 13:53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0/05/07 14:02
수정 아이콘
사진도 찍고, 인사는 식전에 아니면 끝나자마자 사진찍을때라도 가서 꼭 얼굴 도장 찍으세요 (안찍으실거면 돈만보내시는거랑 같아요)
아무리 바쁘고 정신없어도 얼굴 본사람은 기억이 나더라구요. 축의금 금액보단 와준 사람에 대한 감사가 더 컸던거 같습니다.
스타나라
20/05/07 14:12
수정 아이콘
축의금은 밥값 낸다고 생각하세요.
친구가 나에게 청첩장 주면서 밥을 샀는데 난 안간다 -> 5, 10
청첩장 주면서 밥을 샀고 간다 -> 10
청첩장 주면서 밥을 안샀고 간다 -> 5
청첩장 주면서 밥을 안샀고 안간다 -> 3, 5
저는 요정도로 움직입니다. 3만원 내는경우는 잘 없고, 5~10이 대부분이네요
티모대위
20/05/07 14:40
수정 아이콘
이 댓글이 축의금에 대한 저와 제 주변사람들의 수칙(?)에 완전히 부합하네요.
저는 개인적 친분이 거의 없다시피 한데 결혼식가는 경우에는 밥 안먹고 3만원 내고 오는데 그 외엔 5만원 이상이군요
예외적으로 베프급 친구에게는 30만원 하고요.
Alcohol bear
20/05/07 18:38
수정 아이콘
1. 가서 친구와 인사를 해야 하나요?


2. 복장은 정장 입어야 할까요?
고민되면 입으세요

3. 축의금은 아직 안 친하면 5 친하면 10이 정석인가요?
밥먹으면 10 안먹으면 5 친하면 10+@@
엘케인
20/05/08 11:55
수정 아이콘
1. 가서 친구와 인사를 해야 하나요?
- 기왕 가신 거니까 인사는 해야하죠. 하지만, 꼭 사진을 찍으셔야 합니다.(아니면 정말! 님이 오신거 정말 기억 못합니다. 사진 꼭 찍으세요)

2. 복장은 정장 입어야 할까요?
- 정장이 없는데 굳이 따로 준비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만, 정장만큼 격식있는 옷이 없습니다.
대학 동기 결혼식때 친구 부부 한 쌍이 츄리닝을 입고 온 적이 있긴 했습니다. 반응은 뭐 별로였죠.

3. 축의금은 아직 안 친하면 5 친하면 10이 정석인가요?
- 며칠전에 결혼식 축의금 받는 걸 해봤는데, 깜짝 놀랐습니다. 부모님 지인들은 10이 기본, 회사 동료는 5가 기본이고, 친구들도 거의 10만원이더군요.
일단 식장까지 와서 밥먹을 정도면 10을 내는 친구들이 많아 보입니다만, 저 윗 댓글처럼 주신대로 거둘(?)거라 마음 가는대로 하시면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036 [삭제예정] 개인사업등록 관련 [4] 삭제됨4445 20/05/18 4445
145035 [삭제예정] 무슨 차인가요?? [9] 삭제됨4912 20/05/18 4912
145034 [질문] 이 노트북 두개의 차이가 뭐가 있을까요? [8] 사신군4500 20/05/18 4500
145033 [질문] 중저가 핸드폰 쓸만한 걸로 어떤게 있을까요? [8] 한종화4337 20/05/18 4337
145032 [질문] 이거 좀 꼰대같나요? [20] 똥꾼6072 20/05/18 6072
145031 [질문] 데스크탑 부팅시 가끔 그래픽카드가 인식이 안됩니다 [7] 인생은서른부터5170 20/05/18 5170
145030 [질문] (무선 키보드 관련 ) 이게 어떻게 가능한 상황일까요? [4] 마르키아르4557 20/05/18 4557
145029 [질문] 영상 편집용 그래픽카드 (엔비디아 vs 암드) [2] 엔지니어4590 20/05/18 4590
145028 [질문] 라이젠 쿨러 필요할까요 [8] StondColdSaidSo4331 20/05/18 4331
145027 [질문] 이 경우 주거침입죄가 적용되는건가요? [3] 고진감래4837 20/05/17 4837
145026 [질문] 가장 좋아하는 프로레슬러 3명만 꼽으면 누구인가요? [60] valewalker4448 20/05/17 4448
145025 [질문] 한국 야구 올타임 넘버원은 누구일까요? [33] 마스터충달6136 20/05/17 6136
145024 [질문] 라이엇은 닷지를 싫어하는걸까요? [15] 퇴사6144 20/05/17 6144
145023 [질문] 갤럭시탭 키보드로 카트라이더 할 수 있나요? monkeyD4783 20/05/17 4783
145022 [삭제예정] 낭심가격의 정당방위가 궁금합니다. [14] 삭제됨4801 20/05/17 4801
145021 [질문] 컴퓨터 사양 업그레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오늘보다 나은 내일4032 20/05/17 4032
145020 [질문] (롤토체스)48리롤덱 좀 추천해 주세요. [3] 트린다미어3750 20/05/17 3750
145019 [질문] 직장 폐업 및 인수로 인한 퇴사처리관련 질문입니다. [4] 삭제됨3861 20/05/17 3861
145018 [질문] 강북 유명한 허리병원 소개해 주세요. [4] 교자만두3319 20/05/17 3319
145017 [질문] 별내 메가박스 주차질문 입니다 [1] 마제스티3444 20/05/17 3444
145016 [질문] [라스트오리진] 2.0으로 뭐가 많이 바뀐거같은데 쫄작은 어떻게 하나요? [2] 興盡悲來3624 20/05/17 3624
145015 [질문] 브라우저(크롬, 엣지)에서 netflix 접속하면 모니터가 깜빡입니다. [5] 고요9140 20/05/17 9140
145014 [질문] 전세 보증 반환금 승소 이후 아파트 관리비 납입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3] 바카스3482 20/05/17 34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