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6/15 22:17:21
Name Senioritis
Subject [질문] 헬린이 2달차 헬스 질문드립니다
며칠전에 헬스한지 1달정도 되어서 인바디 다시해봤는데 근육량이 그대로더라구요 0.1kg도 안늘고..
근데 체중이 0.8키로 빠졋는데 체지방만 0.8키로 빠져서 나름 만족했는데 그래도 나름 1달동안 열심히 한거같은데 근육량이 안늘어서 고민입니다
스팩은 180/71 전형적인 마른비만 타입이고 근력이 약해서 한번 했을때 1시간반정도는 하고싶은데 1시간정도되면 힘들어서 집갑니다..
3년동안 거의 자유인생활이라 맘만먹으면 거의 매일 헬스장갈수잇고 pt는 할지말지 고민되네요 아직..
관장님이랑 조금 친해졌는데 운동은 3분할로하고 bcaa 랑 보충제 하이드로웨이?? 이거 먹으라는데 보충제 아무거나먹어도되나요?

++ 근력이 약해서그런지 고중량 저반복보다는 저중량 고반복 위주로 하고있는데 이렇게하면 별로 근육량이 안는다고하네요..맞나요?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yler Durden
19/06/15 22:35
수정 아이콘
초보시면 보충제말고 고기류 잘 드시면 돼요. 보충제 영업좀 당하고 싶고 단백질 평소에 못 먹으시면 사셔도 되고
근력 늘릴려면 고중량 가셔야 됩니다. 초보때는 근성장 높을때예요. 제대로만 하면 근육 잘 붙습니다.
저중량은 자세및 자극을 잡는다 생각하고 연습용급으로 생각하시고 자기근력에 맞는 고중량 천천히 가세요.
Senioritis
19/06/15 23:3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자취라서 고기먹을일이 별로없네요..
TheLasid
19/06/15 22:36
수정 아이콘
음... 지금은 초보 단계시니까요. 근육량 욕심이나 분할 운동, 보충제 등을 고려하시기 보다는 자세를 잡고 운동 동작에 익숙해지는데 초점을 두시는 편이 좋습니다.

일단 저중량 고반복이라는 게... 사실 초보 시절에 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고요.
지금 하시는 건 아마 저중량 중반복...정도에 가까운 운동일 텐데, 초보 시절에는 다들 그렇게 합니다.
근력 운동 시간은 50분~1시간이면 충분하시고요. 굳이 더 늘리려고 노력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체지방이 0.8키로 빠지는 와중에 근감소가 없었으니까, 실질적으로 근성장했다고 보시는 편이 맞고요.
운동 잘 하신 듯합니다.

3분할이나 보충제는...솔직히 2달차가 고민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헬스장 관장님께는 그분 나름대로의 철학이 있으실 테지만요.
프리웨이트를 하시는지 머신을 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아직까지는 하시는 루틴 가운데서 중요한 운동(스쿼트나 데드리프트, 벤치프레스, 밀리터리 프레스 등)을
가능한 자주, 여러 번 하셔서 자세를 익히고 익숙해지시는 편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무분할이나 2분할 정도를 하시는 편이 낫지 않을까 싶네요.

bcaa는 먹어서 나쁠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굳이 지금 단계에서 드실 필요가 있나 싶네요.

근육량이라는 수치를 너무 민감하게 받아들이실 필요는 없습니다.
무슨 루틴을 하시던 잘 성장할 시기기도 하고요.
무게는 어느 정도까지는 하다보면 늡니다.
자세 잘 잡으셔서 나중에 무게 올렸을 때 부상을 안 당하게끔 준비하시는 편이 낫습니다.
Senioritis
19/06/15 23:4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3대중에 데드리프트는 아직 할줄 몰라서 못하구잇네요
WyvernsFandom
19/06/15 22:52
수정 아이콘
1시간~1시간 30분이면 적정한 운동시간이구요
중량 증가에 집착해보세요. 이번에 80kg 했으니 다음에는 81.25kg를 한다는식으로 무조건 증량을 해보세요 횟수 상관없이.
저중량 고반복은 내구성,지구력에 좋은 운동방법이고. 실질적 힘을 노리시면 1~6회할 무게, 근육의 크기를 생각하신다면 6~12회할 무게를 해보세요.
Senioritis
19/06/15 23:41
수정 아이콘
지금 1세트에 10~12회 하고잇는데
10번정도 하면 그냥 힘들다 정도가 아니라 더이상 못할때까지 무게를 쳐야되는거죠?
WyvernsFandom
19/06/16 00:25
수정 아이콘
12번까지는 이까지 깨물면서 어떻게든 했는데 13번은 날 때려죽여도 못하겠다의 무게를 찾는게 베스트이긴 합니다.
그런데 근육 활용이 아직 힘든 초보자 단계에서는 12번 했을때 입에서 어우씨 힘들다 소리 나올정도로만 해도 괜찮습니다.
초보자 단계에서 무리해서 12개 채우다가 부상이 나올수도 있으니 어우씨 힘들다 정도로만 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Senioritis
19/06/16 00:53
수정 아이콘
넵 지금은 운동마다 12개씩 6세트 정도 하는데
한세트에 어우씨 힘들다정도까지 하면 지구력이 약한가 오래 못하겟더라고요 ㅠㅠ
WyvernsFandom
19/06/16 01: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6세트 12개를 최대무게 꽉꽉 눌러 담아 하시는지는 모르겠는데 저를 예시로 들면 5세트 10개를 합니다.
풀스쿼트를 1RM(악물고 할수있는 최대 1회무게) 110kg까지 할 수 있는데
20kg(빈봉) x 10개
60kg x 10개
80kg x 10개
90kg x 10개
100kg x 5개
110kg x 3개
110kg+@ x 2개(안들어지면 쿨하게 포기)
이런식으로 진행해서 무게와 근육을 늘렸습니다.

다른데에서 접한 정보로는 처음부터 자기가 시작부터 들수있는 최고 무게로 운동을 하려고 하면
5개씩 5세트가 적절하다고 들었습니다.
19/06/15 22:55
수정 아이콘
인바디 신경 안쓰셔도 되고요. 원래 1달로 변화 느끼기 어렵습니다. 운동은 큰운동 위주로 하시면 되고, 초보자는 보충제 필요없다 하시는데 그냥 식습관에 단백질 충분히 넣기 힘들다 싶으면 드시면 됩니다. 보충제는 편의를 위해 먹는다고 생각하세요. 하이드로웨이는 가성비가 매우 나쁜 보충제라 비추고 마이프로틴이나 컴뱃이 낫고 bcaa는 드실 필요 없습니다.
Senioritis
19/06/15 23:41
수정 아이콘
보충제 추천 감사드립니다.. 신타라는거도 유명한거같드라구요
태엽감는새
19/06/16 00:47
수정 아이콘
BCAA는 맛으로 먹는겁니다..!?
몽키매직
19/06/16 10:34
수정 아이콘
시작할 때 근육량이 심하게 적은 거 아니면 근육량 자체는 많이 늘리기 어렵습니다.
Senioritis
19/06/16 13:21
수정 아이콘
근육량은 그 인바디에서 표준이하 표준 표준이상에서 딱 표준에 걸쳐잇는 정도입니다
페로몬아돌
19/06/16 11:40
수정 아이콘
Bcaa는 마라톤과 같은 운동 하는 사람들이 단백질 보충제을 안 먹으니 대신 먹는거구요. 헬스인들은 굳이 안 먹어도 됩니다. 맛으로는 먹어도 되고요 크크크크 감미료 감미료 하는데 불량식품 하나 보다 괜찮으니 맛으로 드세요.
동네형
19/06/16 17:42
수정 아이콘
중량이랑 회수보단 그냥 저강도라서 그런거 같고..
180/71 이면 잘 드시는게 빼는거보다 중요하실꺼에요.
글써주신거보니 분할이나 보충제나 둘다 관심 안가지셔도 될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4493 [질문] 헬린이 2달차 헬스 질문드립니다 [16] Senioritis5455 19/06/15 5455
134492 [질문] 남자 가방 추천 부탁드려요~~~ [4] 커피마시쪙3717 19/06/15 3717
134491 [질문] 요즘 하이브리드 차 어떤가요? [14] 유니꽃4249 19/06/15 4249
134490 [질문] 감자튀김송 모르는 사람 vs 토이스토리 안 본 사람 [70] 미끄럼틀5091 19/06/15 5091
134489 [질문] 서랍장 질문 드립니다. [3] 동네노는아이2900 19/06/15 2900
134488 [질문] 인천공항쪽 좋은 숙소가 있을가요? [8] Cherish3201 19/06/15 3201
134487 [질문] 김포나 인천 계양구쪽 충치전문치과 아시나요? [2] 정발산기슭곰발냄새3436 19/06/15 3436
134486 [질문] 빅데이터관련 능력이 금융권에서 일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7] 세오유즈키2927 19/06/15 2927
134485 [질문] 상식의 커트라인? [12] 개념적 문제2969 19/06/15 2969
134483 [질문] 통계프로그램 R학습 관련 질문입니다. [4] 커티삭3001 19/06/15 3001
134482 [질문] 남자 스니커즈 브랜드 질문입니다. [4] 기억의습작3001 19/06/15 3001
134481 [질문] 축구와 일상의 질문에 대한 설문 부탁드립니다. 쟁글2414 19/06/15 2414
134480 [질문] 휴대폰 개통취소에 관해(박스개봉) [7] 파란무테4099 19/06/15 4099
134479 [질문] 컴퓨터 파티션 질문드립니다! [2] 아웅이3441 19/06/15 3441
134478 [질문] U-20 월드컵 중계 어느 채널로 보실건가요?? [5] kogang20012671 19/06/15 2671
134477 [질문] 스마트폰으로 통화할때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인데 음성은 따로 뺄수있나요? St.Johan1637 19/06/15 1637
134476 [질문] 글을 찾고 있습니다 [2] 우메하라다이고1744 19/06/15 1744
134475 [질문] 학원비 환불 문의 [12] 너이리와봐3067 19/06/15 3067
134474 [질문] 내일 해외에서 월드컵 중계 볼 수 있는 곳 있을까요? [2] 공실이1993 19/06/15 1993
134472 [질문] POE 빌드? 직업? 추천 부탁드립니다. [5] 명군3769 19/06/15 3769
134471 [질문] 얼마면 본인의 선거 한표를 파시겠습니까? [41] 나른한오후4283 19/06/15 4283
134470 [질문] 완전자율주행되면 정체가 없어질까요? [9] 싶어요싶어요3084 19/06/15 3084
134468 [질문] 갤10+ 액정에 점이 생겼는데.... [1] 오렌지망고2001 19/06/15 20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