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9/05/26 20:40:23
Name 마음속의빛
Subject [질문] 에어컨 사용시간 질문입니다.
에어컨을 구입했습니다.

재작년, 작년 여름에 고생을 너무 해서(저보다 저희 어머니께서)
올해 여름이 되기 전에 구입을 했죠.

거실에 스탠다드형을, 작은 방에 벽걸이용을 설치했고,

지금 질문은 벽걸이용 에어컨을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에어컨 1시간 작동하는 건, 전기세 걱정이 크기 때문에

에어컨 5분 켜고, 선풍기 작동,
잠시 후에 또 에어컨 5분 켜고, 선풍기 트는 것과

에어컨 10분 켜고, 선풍기 트는 것.

에어컨 15분 켜고, 선풍기 트는 것.

이런 식으로 켜서 총 가동 시간이 같다면, 전기 소모는 같은 것일까요?

(종합)
만약 에어컨 가동 시간이 총 1시간이라 가정하면,
짧게 짧게 작동해서 총 1시간 작동하는 것과 중단없이 1시간동안 계속 트는 것의 전력량은 차이가 없을까 궁금해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26 20:53
수정 아이콘
자꾸 껐다 키면 실외기 계속 돌아가서 전기세 폭탄 맞습니다.
Meridian
19/05/26 20:58
수정 아이콘
아예 최저온도로 첨부터 틀어서 실내 온도를 확 낮춘다음에 온도를 맞춰서 실외기가 안돌아가게 하는게 가장 절약하는 방법이라고 들었습니다.
19/05/26 21:01
수정 아이콘
저도 뜨문뜨문 키는게 더 많이 나간다고 배웠네요
19/05/26 21:04
수정 아이콘
에어컨의 전력 소모량은 실외기의 가동 시간이 좌우하고, 실외기는 셋팅해놓은 온도까지 내려가면 작동을 멈추는데 에어컨을 짧게 가동하는 건 온도를 원하는 만큼 내리기 힘들고 결국 같은 사용 시간이라도 실외기가 도는 시간이 더 길기에 전력 소모량이 큽니다.
-안군-
19/05/26 21:08
수정 아이콘
문과 창문 등을 잘 닫고, 커텐을 쳐서 내부 기온이 올라가지 않게 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돌리는 게 제일 효율적일겁니다.
어차피 에어콘 바람 나오는 건 선풍기나 별 차이 없어요. 실외기에서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가 전기세를 올리는 주범입니다.
바카스
19/05/26 21:23
수정 아이콘
벽걸이형 에어컨 작년 6월부터 8월까지 급냉각 시킬려고 18도로 10~20분 킨거 외 퇴근 후 출근까지 10~12시간 가까이 26도로 풀로 켜놔도 관리비+전기세(닭장 15평 아파트) 다른 달 4만원쯤 나오던거 여름엔 7만원쯤 나오더군요.

윗댓글대로 컸다껐다가 실외기를 더 돌리기때문에 전기세 누진 폭탄까진 모르겠으나 더 나옵니다.
The)UnderTaker
19/05/26 21:34
수정 아이콘
그냥 1시간 꾸준시 틀어놓는게 모든상황에서 전기세 제일 적게나옵니다
19/05/26 21:40
수정 아이콘
음 이번에 사셨으면 신형일텐데,
그럼 인버터형으로 사시지 않으셨나요?

인버터형이면 하루에 종일틀어도 그렇게 심각하지 않을겁니다.

하루 날잡고 에어컨 키면서 계량이 계측해보세요.
Complacency
19/05/26 22:07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 써봅니다.

벽걸이면 아마 대부분 정속형일텐데 정속형은 계속 켜놔도 목표 온도에 도달해서 실외기 돌릴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스스로 실외기를 끄고 실내기만 돌아갑니다.
따라서 저온을 유지하고 싶다면 걍 켜놓으면 알아서 그걸 해줍니다. 수동으로 하면 비효율적으로 키고 끄게 되서 손해입니다(+귀찮음).
그게 아니라 좀 온도가 널뛰기해도 괜찮다는 거면 온도를 많이 낮게 설정한담에 해당 온도 도달하면 오래 꺼뒀다가 다시 좀 덥다 싶을 정도로 더워졌을 때쯤 확 키는 식으로 하면 전기 요금은 절약됩니다. 즉 온도가 긴 텀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좀 추울 때도 있고 좀 덥다 싶을 때도 있는데 평균을 내면 시원하긴 하고 요금이 계속 켜둔 것보다는 싼? 실외기 총 가동시간을 줄여서 전기요금을 낮추고 선풍기로 버티는 그런 개념이겠네요..

이걸 더 잘 활용해 먹기 위해 나온게 인버터형 에어컨인데 얘는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 저전력고효율으로 계속 돌아가면서 온도를 유지합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사람 있을 때만 키는 것보다 24시간 계속 켜두는게 전기요금이 더 저렴하기도 하고.. 아마 스탠드형은 인버터형일 수 있습니다. 인버터형은 같은 사용시간이면 쭉 켜놓는게 무조건 유리합니다. 정속인가 인버터인가 확인해보시길.. 그리고 어느 쪽이든 단열이 잘되어야 전기요금이 적게 나옵니다
19/05/26 23:44
수정 아이콘
요즘 에어컨 하루 10시간씩 매일틀어도 한달 10만원 안나옵니다.
19/05/27 00:14
수정 아이콘
작년여름에 주중엔 퇴근하고 출근할때까지 약 13시간, 주말엔 24시간 켜놨는데 전기세 5-7만원 정도 나온거 같습니다. 올해 사셨으면 그렇게 많이 나오진 않을겁니다.
네오크로우
19/05/27 05:00
수정 아이콘
폭염 오면 여기저기 기사에서 전기세 폭탄 얘기가 많이 나오니 지레 겁을 먹게 되는데.. 겨울 난방 비용과 여름 냉방 비용 비교하면 확실히 여름이 더 적게 나옵니다. 단열 잘 안 되는 영업장이 아닌 이상 집에서 쓰시는 거면 엌! 소리 날 만큼 전기세가 많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861 [질문] [엑셀] 파일간의 순서 이동 방법이 궁금합니다. [4] 아이셔 2628 19/05/28 2628
133860 [질문] 전자책 이렇게 읽는 법이 없을까요? [3] 고란고란4270 19/05/28 4270
133859 [질문] 런던에서 챔스 결승 보는 법 [1] 정크랫2455 19/05/28 2455
133858 [질문] 왕좌의 게임 볼만한가요? [18] 늅늅이4514 19/05/28 4514
133857 [질문] 회사에서 저와 같은 스트레스 받는 분 계십니까? [16] 치토스4505 19/05/28 4505
133856 [질문] 조립pc견적 관련 질문입니다. [2] 영웅의신화3142 19/05/28 3142
133855 [질문] 밤도깨비 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 [6] 풍각쟁이2917 19/05/28 2917
133854 [질문] 단편소설을 찾습니다(SF) [4] 홍준표2412 19/05/28 2412
133851 [질문] 계좌이체받은 직후에는 다른곳에 바로 못보내나요? [8] 아웅이2796 19/05/28 2796
133850 [질문] [NCS] 수리영역 도와주세요ㅜ [5] I.O.I2499 19/05/28 2499
133849 [질문] 괜찮은 홍삼 제품 추천 부탁드려요 [2] 잉차잉차2589 19/05/28 2589
133848 [질문] 부산 횟집 질문 [2] 에너지2746 19/05/28 2746
133847 [질문] pmt 함수 질문입니다 [2] Asterflos2837 19/05/28 2837
133846 [질문] 영상편집용 노트북 괜찮은거 뭐 있을까요? [2] 지바고2881 19/05/28 2881
133845 [질문] 빠삭 스노방 통한 핸드폰 구매 질문입니다. [2] 버티면나아지려나3548 19/05/28 3548
133844 [질문] 대탈출2 시청관련 질문드립니다. [8] 아타락시아12839 19/05/28 2839
133843 [질문] 확률질문입니다. [6] TheLoveBug2576 19/05/28 2576
133842 [질문] 게임) 빠지면 헤엄쳐 나올 수 없는 물이 나오는 씬 [2] coolasice4110 19/05/28 4110
133841 [질문] 대기업 급에서 헤드헌터 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8] Eulbsyar5397 19/05/27 5397
133840 [질문] 우주와 관련된 영화 무엇이 있을까요?? [16] 송지효3136 19/05/27 3136
133839 [질문] 무역/물류 관련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4] 삭제됨3143 19/05/27 3143
133838 [질문] 경동택배 무게 얼마까지 되나요? [3] 삭제됨4131 19/05/27 4131
133837 [질문] [LOL] 첫 랭겜 배치 질문. [7] 레가르9607 19/05/27 96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