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1/06 01:05
    
        	      
	 디테일은 저도 모릅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1.면 이 교차하는 것도 연속적인 변화이기 때문; 차원을 낮춰서 사각형의 한쪽 변을 미는 과정을 생각해보면 도움이 될듯 합니다 2. 안과 밖을 뒤집는 것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구면의 법선 방향을 바꾸는 문제가 됩니다. 이 방향을 정의할 때 미분구조가 들어가기때문에, '연속적' 인 변화 뿐 아니라 미분을 방해하지 않는 'smooth'한 변화를 요구합니다. '날카로운 주름'은 미분이 안되는 뾰족한 점을 포함하므로 허용되지 않는 듯 하네요 
	19/01/06 01:14
    
        	      
	 2번 설명은 미분 불가능성보다, 주름이 생기는 점에서 법방향을 정의할수 없는게 문제인듯 하네요
 
법방향을 접방향 두개에 수직이 되게 정의하는데, 날카로운 점에서는 두 접벡터중 하나가 0이 되어버립니다 
	19/01/06 01:59
    
        	      
	 근데 왜 뒤짚을 때 법선방향이 바뀌어요? 생각해보면 구의 특정 점에 접하는 면이, 점이 반대쪽으로 간다고해도 면의 방향이 바뀔 것 같지는 않은데요. 
 
	19/01/06 11:15
    
        	      
	 구의 한 점에서의 법선 방향은 두 개입니다. 구 바깥쪽 방향, 구 안쪽 방향. 구의 안팍을 뒤집는다는 것은 바깥 면을 안쪽 면이 되도록 한다는 것이고 이 경우 바깥을 향하는 법선이 안쪽을 향하게 하도록 만든다는 뜻이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