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2/09 20:36:36
Name nexon
Subject [질문] 부유층은 자녀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보통 부유층은 어렸을 때부터 자녀 관리를 할 것 같은데요..

예를 들어 단계별로 사위/며느리 고르는 것부터 출산을 어디에서 할 것인지(국적), 증여는 얼마나 할 것인지로 시작해서

유아기때는 외국어학습 및 조기유학,

중고등학생 때는 과외/수시 등 교육을 통해 국내 명문대 혹은 기부금 등을 통한 해외유학으로 학벌을 만든 뒤

외모가 되면 국내 연예계에 데뷔시키고

외모가 안 되면 지인과 인맥을 통해 좋은 직장에 넣어주거나 사업 물려준 뒤

다시 20대 중반~후반 사이에 사위/며느리를 골라 결혼시키는 식으로 진행될 것 같은데

부유한 사람들은 일반인보다 자녀 관리에 더욱 많은 관심을 쏟고 그를 통해 자녀들도 일반인보다 더 많은 기회를 얻는 것이겠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2/09 20:56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부유층을 이야기하시는건지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만난 1000억 미만 사람들은 일반인들과 크게 다르지는 않았습니다. 공부 잘하면 SKY, 못갈것 같으면 해외유학, 그로 인해 이미 부모 스펙 없이도 앵간한 좋은 기업 입사 가능.. 연예계 선호현상은 별로 없었던 것 같은데.. 아무튼 말씀하신 정도는 재벌급은 가야 나올 것 같습니다.
레몬커피
18/12/09 21:05
수정 아이콘
질문의 범위가 너무 넓은거같네요;;
굳이 집안에 돈이 많을경우 공통점을 하나 꼽아보자면 해외유학이죠 애초에 검머외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고 아니더라도 그냥
돈이 받쳐주면 유학갔다오는게 최고죠
이 이상을 넘어서서 무슨 재벌급이 되면 알수가 없는 영역이고
18/12/09 21:11
수정 아이콘
일단 그런건 들어봤네요

강남 엄마들이 아프리카에 학교 만들어서 12년간 학교 거기서 다니게하고 특별 전형으로 대학 입학시키는거
나이스후니
18/12/09 21:23
수정 아이콘
주변에 가끔 보는 부유층 자녀나 동기들을 보면 조금 차이가 있긴한데요. 특별히 더 관리를 하는것같은 느낌은 들지 않았습니다. 다만 공부하면서 외적으로 신경을 안써도 되는조건이나 가족간에 여유가 있다보니, 조금더 화목한경우가 많더군요. 그러한 차이들이 결과적으로 더 좋은 성과로 이어지는 거고요
캡틴아메리카
18/12/09 21:35
수정 아이콘
재벌 자제분들 정도가 아닌 이상은 다른 집과 큰 차이 없습니다. 단지 학원, 과외 등의 기회가 많을 뿐...

오히려 학교를 갔다온 후 잠들기 전까지 하루종일 과외학원학원과외로 정말 말그대로 공부로 학대당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이사무
18/12/09 21: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100~ 1천억 이상 정도 까지는 말씀하신 그런 건 전혀 못 봤습니다.
자녀 결혼도 그냥 하고싶은 데로 하고, 집안 끼리 경제력이 비슷하면 좋긴 한데 안 되면 속은 끓여도 그냥 하고 그렇더라구요.
뭐 사업하는 집이면 물려주는 경우도 많은데 자식이 싫다하면 그냥 안 하는 경우도 많고요.

요샌 돈 많은 집들은 조기 유학 안 보내는 추세가 된 지 꽤 됐습니다. 괜히 보내봤자 컨트롤도 안 되는지라
부모 국적이 외국이면 외국인 학교에 보내고, 그게 아니면 국제학교를 보내죠. 둘 다 학비는 엄청 비싸긴 하고요.
위 학교를 가면 뭐 고등학교 까진 이어지는 지라 그냥 다니는 거고, 요샌 예전처럼 대학교도 유학을 덜 보내는 추세긴 하다더라구요.
유학 가는 애들은 SAT 준비하는 거고, 아니면 똑같이 수능준비하고요.
완성형폭풍저그
18/12/09 21:52
수정 아이콘
부유층도 여러갈래로 나뉘는데요.
그냥 고액연봉자의 경우는 엘리트코스로 교육시켜서 고액연봉자로 키우는 편이고요.
고액연봉자 수준을 넘어서 자신의 사업체를 운영하는 집안에서는 엘리트코스로 교육시키려 하지만 그렇게 빡세게 시키진 않고, 어느 학부, 전공을 하던지 사업체를 물려주는 편입니다.
일정수준 이상규모의 사업체를 운영한다면 가장 빡세게 엘리트코스로 교육시키는 편인 것 같습니다.
18/12/09 23:36
수정 아이콘
애지간하면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완전 재벌쪽은 모르겠지만요
18/12/09 23:57
수정 아이콘
재벌가 아닌 이상에야.. 크게 다르지 않더라구요.
과외를 큰 부담없이 시킨다라든지, 공부못하면 해외로 도피유학보낸다던지 정도는 가능한거 같은데, 이거는 전문직 고소득자 정도만 되도 가능할거 같아서..
자산이 있으면 증여는 좀 체계적으로 하겠네요. 아무래도 세금이 무겁다보니..
그 외에는 거의 비슷할 거에요. 잘하면 잘하는거고 못하면 어쩔 수 없는거고
돈퍼니
18/12/10 00:07
수정 아이콘
고액과외정도는 시키더군요. 그거랑 집안결혼은 꼭 합니다!
18/12/10 13:35
수정 아이콘
부유층도 범주가 너무 넓어서..
이게 부유층인지는 모르겠는데 그냥 순자산 백억대 정도 되는 집안 기준으론..
교육은 남들이랑 크게 다를 것 없구요. 장성한 자녀가 있을 경우 보다 중요하게 보는게 세금 문제긴 합니다.
18/12/10 14:06
수정 아이콘
생각하시는 부유층이 어느정도 수준인지가 궁금하네요
글만 봐서는 "재벌"들 말하는것 같은데...
18/12/10 20:55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7923 [질문] 김치냉장고 멀티탭 사용가능할까요? [4] 도시의미학11375 18/12/09 11375
127922 [질문] 부유층은 자녀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요...? [13] nexon4226 18/12/09 4226
127921 [질문] 소개팅 후 질문드립니다 [21] ykssh4565 18/12/09 4565
127920 [질문] 연차문제로 질문드립니다. [14] 삭제됨2279 18/12/09 2279
127919 [질문] 부드럽게 닫히는 부엌 캐비넷 문이 세게 닫힐때 [2] happybirdday7282 18/12/09 7282
127918 [질문] 금니 치료후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을 먹을때 통증 [10] 콰트로치즈와퍼8047 18/12/09 8047
127917 [질문] 타이레놀이랑 알레르기약 같이먹어도 되나요? [3] 김첼시3336 18/12/09 3336
127916 [질문] 눈 깜빡이는 버릇이 생겼는데 어떻게 고칠까요? [8] 탈리스만4166 18/12/09 4166
127915 [질문] [로스트아크] 생활 뭐 올려야되요? [13] 렌야2580 18/12/09 2580
127914 [질문] [LOL] 설정해둔 룬들이 죄다 날아갔습니다. [4] 카발리에로2309 18/12/09 2309
127913 [질문] 노트북 어떻게 사야 합리적인건가요? [4] Genius2645 18/12/09 2645
127912 [질문] 종합부동산세 신고 질문드립니다. [8] Genius1750 18/12/09 1750
127911 [질문] 인터넷 광고 없애는법좀 알려주세요;;; [3] 깐딩2284 18/12/09 2284
127910 [질문] 애니메이션 브금 질문드립니다. [2] 오우거1077 18/12/09 1077
127909 [질문] 대전에 대방어-중방어 양심적으로 하는 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초비1757 18/12/09 1757
127908 [질문] 영화추천부탁드립니다. 매드맥스를 너무 재미있게봤습니다. [14] cs2568 18/12/09 2568
127907 [질문] 부모님과 식사하기 좋은 식당 추천받습니다. [8] 스님의주례사4758 18/12/09 4758
127906 [질문] [조온] 조온 장수/테크 추천 부탁드립니다.(보물 및 장수 현황추가) [13] Grundia2127 18/12/09 2127
127905 [질문] 혼자하는 뉴욕여행 숙소 추천해주실수있나요? [1] 괄하이드1960 18/12/09 1960
127904 [질문] 김윤중은 mpl 시즌2에 왜 참가 안하나요?? [13] 첸 스톰스타우트3321 18/12/09 3321
127903 [질문] 세컨폰(업무용) 구매 질문입니다. [3] 정체성없이정체된정체1930 18/12/09 1930
127902 [질문] 사찰이라는 게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 건가요? [6] 긴 하루의 끝에서2373 18/12/09 2373
127901 [질문] 컴퓨터 게임할때 이어폰 고민됩니다. [3] 2368 18/12/09 23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