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1/01 23:20
뭐 군인들은 주말 하루만 포기해서 544시간이 아니라 2년 내내 통으로 시간을 포기하니까...?
꽤나 대단한 메리트 아닌가요? 해당 종목에서 뛴다면 영리활동을 금지시키는것도 아니고.
18/11/01 23:22
1년이 52주니까 2년 10개월은 52 * (2 + 10/12) = 147.3주고, 544시간 / 147.3주 = 3.69시간/주네요.
18/11/01 23:23
정확하게는 병역특례 받을 때의 관련 특기를 활용한 봉사활동입니다. 축구 선수 같은 경우에는 학교에서 축구부 학생들을 지도해주면 그게 봉사활동이에요.
그래서 시즌 중에 조금씩 조금씩 하면서 비시즌에 팍 몰아서 해도 못할 거는 아닙니다.
18/11/01 23:34
(수정됨) 아이들 훈련캠프나 전지훈련 따라가서 같이 합숙하고 그러면 하루에 16시간까지 인정되니까 비시즌이나 a매치 휴식기정도에 2박3일 정도만해도 어렵지는 않다고 보네요.
해외파는 해외에서해도 인정해줄거 같기도 합니다.
18/11/02 00:08
(수정됨) 위에 다들 적어주셨지만 전혀 가혹하지 않습니다.
2년10개월이면 얼추 150주정도되는데 매주 3~4시간만하면되는겁니다. 그리고 비시즌에 시간날때 몰아서 좀 해놓으면 더 널널하겠네요. 2년간 매일 군대박혀있는 현역으로 가는것에 비하면 꿀of꿀 맞죠. 거기다 그 기간동안 현역으로 뛸 수 있는것도 엄청난 이득입니다.
18/11/02 00:09
생각보다 이지 합니다.
제가 한달에 한두번 5~6시간 봉사활동을 했었는데 vms 조회해보니 총 봉사시간이 200시간 넘더라구요. 544시간이면 그거 딱 두배만큼인데... 주 1회 정도의 약간의 투자만 2년하면 군대를 면제해주는데 엄청 쉬운거죠.
18/11/02 00:16
34개월에 544시간이면 한 달에 16시간이네요. 군면제라고 생각하면 긴 시간인데 사실 원래 군면제가 아닌만큼... 변화된 국민정서가 어느정도 반영된게 아닌가 싶네요.
18/11/02 01:08
(수정됨) 그럼 544시간 안하고 군대 가면 되겠네요...
비시즌에 몰아서 하면 별 문제 없습니다. 그것도 저 봉사활동은 생각보다 범주가 넓어요.. 무슨 보육원 가고 하는것만 봉사가 아닙니다.
18/11/02 01:15
544시간 봉사활동이 일반적인 봉사활동이 아닙니다.
체육업계쪽에 기여가 된다고 치면 다 봉사활동 취급됩니다. 프리시즌에 학생들상대로 축구교실열어도 봉사활동 됩니다.
18/11/02 01:20
비시즌을 계산하지 않아서 그런 거고요.
훈련소 훈련받은 다음에 후반기교육까지 받는 경우 대충 그 정도 시간 나옵니다. 비시즌이 세 번인데, 그 세 번도 그렇게 못채우나요. 비시즌은 쉬어야하는데 봉사활동을 다녀야하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러니까 '병역기간'인거죠. 징병제 자체를 폐지하지않고서야 겨우 그 정도 봉사활동이 가혹하다고하면 안되는 거죠. 징병제라는게 훨씬 가혹한 겁니다. 개인적으로 한국에서 남녀평등 아무리 이야기해도, 징병제 문제 해결 못하면 궁극적인 해결은 없다고 봐요. 남자란 이유로 감당해야하는 어마어마한 차별입니다. 어마어마한 차별을 받는 사람이 워낙 많아서, 정말 차별을 너무 흔하게 받고 있어서 그냥 넘어갈 뿐이예요.
18/11/02 01:27
접근을 달리하셔야 하는게
'병역을 면제' 시켜준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병역을 다른 형식으로 필' 하게 한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일주일에 하루 쉰다고 말씀하셨지만 (그 계산도 정확한 건 아니고요) 현역 군인들은 7일 24시간 복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선수들은 6일 8시간씩 복무 상태를 유지하는 겁니다.
18/11/02 01:38
그래서 연봉 받으면서 544시간 봉사활동이 나을까요, 아님 현역병 월급 요즘 얼마죠? 30~40만? 받으면서 현역병이 나을까요?
편의점 알바해도 현역병보다 월급 더 많이 받습니다.
18/11/02 01:57
군면제라고들 하니까 병역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것처럼 보이는데 그건 아니고 봉사활동을 해야하는데 그게 "생각보다 만만치는 않다" 이 정도겠죠.
그렇다고 "가혹하다, 대체복무 수준이다" 이러면 오바겠죠.
18/11/02 08:55
쉽지 않은건 맞는데, 애초에 한국인한테 주어진 병역 자체가 말도 안되는 수준으로 가혹하죠. 병역대신 봉사활동 544일이라도 하겠다는 사람 많겠네요.
18/11/02 09:20
적죠. 면제자들에게 544시간이 길다 어쩌다 하기에는 현역들이 가지는 짐이 너무 무거워보이네요. 그 면제자가 신체나 생활에 따른 거라면 가혹하다고 할 법하나 국가대표는 전혀 그렇지 않으니까요. 신체-생활 모두 오히려 압도적으로 상황이 낫죠.
18/11/02 09:37
군면제는 당연히 엄청난 특혜가 맞고요.
단순히 봉사활동 544시간이라는 숫자에 대한 질문이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봉사활동은 꽤 힘들고 시간도 채우기 어렵고 그런 느낌이어서.. 댓글들을 보니 하루 최대 16시간 까지도 가능하다는점 그리고 체육봉사활동이라는 점에서 크게 어려운일은 아닌가보네요. 답변들 감사합니다.
18/11/02 10:06
정말정말 대충 따져도 현역들은 8 * 700 = 5600시간인데, 거기 안에 갇혀서 자유 다 억압당하고 같이 살기 싫은 사람들이랑 살아야 되는 정신적 고통까지 합치면 실질 복무시간은 뭐 10000시간에 필적할 듯요.
18/11/02 10:20
군대 다녀오셨을거라 생각하고 쓰는데 군대 가면 휴일도 휴일이 아니고 새벽에 잠안자고 경계근무서서 하루에 세시간 자는일도 비일비재한데 저건 가혹이 아니라 엄청난 특례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