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0/28 23:02
음 2700x가기에는 제가 그래픽까지 맞춰야되서 빠듯할것 같아서 그렇습니다.
아마 램이랑 ssd랑 그래픽을 블프때 살것 같은데 그렇게 해도 최대 130만원 아래로 맞춰야되서요. 힘들것 같은데...
18/10/28 23:40
보드 10 글카 25 스스디 10 램 +파워 20 하드 10 대충해도 여유잇어요 글카는 http://www.g9.co.kr/Display/VIP/Index/1511057180 어크오딧세이줍니다 시푸 2700 x고고
18/10/28 23:52
음 글카는 요번에 나온 1060 6g GDDR5 노리고 있긴한데...
580대는 아무래도 채굴 라인이라 신뢰도 그렇고 라데온계열 글카는 신뢰성이 없어서요.
18/10/28 23:17
과거: amd가 좋아지긴 했는데 굳이 인텔 말고 딴거 쓸 필요가 있나?
지금: 인텔이 게임성능 좋은건 맞는데 굳이 amd 말고 인텔 쓸 필요가 있나? 드래곤 마운틴에 계신 분들이 장난질을 그렇게 치신다고...
18/10/28 23:33
음 위엣분은 2700x를 추천하시는데 최대 130만원인 제 사정에 가능할까요?
위에도 적었지만 10년된 컴이라 본체는 싹 다 바꿀꺼라서요.
18/10/28 23:38
국내에서 인텔이 정상가였다면 인텔을 추천해드리겠는데 지금 가격도 상황이 아니고
물론 불량이 잘 없긴합니다만은 완전히 초기불량이 없다라고는 이야기 못하는 상황에서 새컴을 전부 새로 맞추는데 해외구매는 솔직히 비추천입니다. 그냥 업그레이드 용도로 그래픽카드 구매나 cpu단품구매 주변기기 이런쪽이라면 추천해드리지만요
18/10/28 23:53
블프 맞춰도 국내에선 별 할인이 없을걸로 예상합니다.
컴퓨터지식이 매우 많은 분이시고 컴퓨터를 빠른시간내에 맞추는게 아니고 여유가 있으시면은 뭐 블프 보시고 조금이라도 더 저렴한 가격에 살수있으니까 매우 좋습니다. 그런데 본인이 생각하시기에 지식이 좀 부족하고 빠른시일 내에 컴퓨터가 필요하며 고장이난후 월드워런티를 기다릴 인내심이 없으시다면은 부품 해외 구매 및 블프 거래는 추천해 드리지 않습니다.
18/10/28 23:57
(수정됨) 음 ssd나 글카정도는 해외직구로 살려고 했는데 그런문제가 있군요...
고민이네요. 완전 빠른 시일까지는 아닌데 그래도 요번년 내에는 사야할정도로 컴퓨터가 간당간당해서요... 고민이 많아지네요. 혹시 그래픽은 역시 gtx1060 노리는게 맞을려나요? 위에 라데온 580 추천하시는 분도 계시긴한데 라데온 글카는 영 신뢰가 안가서요...
18/10/29 00:01
음 좀 길게 쓰긴했는데 결국 as문제나 다른 기타 불편한점을 참고 기다릴수 있느냐 아니냐입니다.
사실 해외 직구가 이런 문제점을 다 감수할수있느냐가 출발점이라서
18/10/29 00:03
음 결국은 예산이내에서 최고의 성능가진 그래픽카드을 뽑는건데 다른 견적이 있어야 판별이 가능하겠지욥.
뭐 1060이 동가격대에서 가장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는건 사실입니다. 옵션타협해서 게임도 여유있게 돌릴정도는 되고요.
18/10/29 00:06
결론은 업그레이드 수준이 아닌 아예 새로 맞추는 수준에서 해외 구매는 리스크가 크다는 말씀이시로군요.
결국 일단 짜서 와야겠습니다. 죄송한데 마지막으로 여쭙겠습니다. ssd m.2와 m.2 아닌것 어느정도 차이가 날까요?
18/10/29 00:08
m.2가 빠르기는합니다. 문제는 ssd간의 성능차이를 체감할정도냐라고 하면은 글씨요라고 생각하거든요
hdd->ssd로 넘어가는거면 체감이 어마어마한데 일반 ssd -> m.2 ssd는 일반사용자가 체감하기는 쉽지않습니다. 물론 성능적이나 기타 컴퓨터의 공간 활용적인 측면에서 m.2쪽이 더 좋은것만은 사실입니다.
18/10/29 00:10
키토 님// 음 그렇다면 제가 hdd인데 그냥 m.2로 넘어가는게 괜찮을려나요.
ssd는 보니까 국내 가격도 예전에 비해서 많이 내려간 상태라서 국내 구매도 말씀하신대로 생각중입니다.
18/10/28 23:46
뭐 일단 다나와나 컴퓨존에서 본인이 원하시는 견적을 맞춰보시면서 cpu를 결정하셔야 할거 같네요.
블프때 직구로 사면 가격은 조금 싼 대신 A/S를 받으려면 글로벌 워런티가 아닌 이상 다시 해외로 보내야합니다. 특히 글카와 SSD는 언제나 A/S를 고려해야 하니까 직구가 복불복이 되죠.
18/10/29 00:06
1. 현재는 AMD외의 인텔로 갈 상황이 아닙니다. 현재 인텔 CPU가격은 내년 1/4분기 까지도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2. 블랙프라이데이 노리시는 것 보다는 국내도 SSD 가격 많이 싸졌습니다. CPU / 메모리 / SSD가 A/S가 잘 안난다고 하지만 생각보다 데이는 경우가 또 적지는 않습니다. 국내에서 사세요. 3. 그래픽카드야 말로 지금 사기가 참 애매한데, 사용하시는 용도에 따라서 선택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어떤 게임을 하실지, 아니면 어떤 작업을 하실지에 따라 전혀 다릅니다.
18/10/29 00:09
1. 현재 이야기듣고서 AMD쪽으로 마음을 굳힌 상태입니다. 2600x 냐 .2700x냐의 결정정도 남았네요.
2.음 ssd는 굳이 기다리지 않고 11월달에 사는게 날까요? 다음 월급 받고 살 예정이라서... 3. 글카가 지금 애매한건 알고 있습니다. 단순 단품 업그레이드 용이라면 중고도 고려해볼만 했지만 지금 아예 10년만에 새컴을 맞출 생각이라서요. 현재 생각은 요번에 나오는 GTX1060 GDDDR5 제품 노려보고 있긴합니다. 아니면 단순 1060 6g도 생각중이고요.
18/10/29 00:14
130이라는 예산이 절대 부족한 예산이 아닙니다, 어떤 작업을 하실지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충분하다고 보입니다만.
더불어서 1060 6G 신형은 그닥 기대할 제품이 아닙니다.
18/10/29 00:40
CPU - AMD 라이젠 5 2600 (피나클 릿지) 정품 ₩199,300
메인보드 - GIGABYTE B450 AORUS ELITE 피씨디렉트 ₩128,210 메모리 - 삼성전자 DDR4 8G PC4-21300 정품 X 2 ₩160,460 그래픽카드 - MSI 지포스 GTX1070 아머 OC D5 8GB ₩540,000 SSD - Western Digital WD Black 3D M.2 2280 250GB ₩96,020 케이스 - DAVEN GT303 FS 강화유리 블랙 ₩49,230 파워 -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600W +12V Single Rail 85+ ₩53,500 다나와 최저가 기준 1,226,760 나오니 실구매가는 130언더로 충분히 가능합니다. CPU의 경우에는 굳이 2600X 쓸 필요가 없습니다. 2600 혹은 2700X 쓰는게 맞고요. 전같으면 2600과 2600X 가격차가 얼마 안나서 권해드렸겠는데 지금은 제법 나는군요. 어차피 오버클럭 좀 해서 쓴다고 생각하면 차이가 없지요.
18/10/29 01:36
1060 6g에 ssd를 삼성 860 evo 250g로 낮추면 대충 23만원정도 세이브 되실겁니다. 이거면 2700x로 가셔도 충분하죠.
18/10/29 02:16
의미 없습니다. 차라리 그래픽카드에 투자하는게 맞고요.
현재 SSD의 경우에는 WD BLACK M.2 혹은 970 M.2 시리즈로 가는게 정답입니다. 컴퓨터 하드웨어에 있어서 돈을 아낄부분과 아닌 부분이 있습니다, 8코어 이상 사용하는 게임이나 렌더링 아닌 이상에는 2600이나 2700X나 큰 차이 없습니다.
18/10/29 00:27
제가 렘이랑 ssd까지 윈도우 빼고 풀로 맞춰야되서
가겍이 나올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최대 가용이130 인거지 왠만하면 110-120쯤으로 맞출 생각입니다.
18/10/29 00:53
스2는 인텔이 나을텐데요... 하스는 저사양이니 논할 필요가 없고 블쟈겜이 아무래도 친인텔이죠
게임하면서 블루스택 이런거 돌리시는거 아니면 저라면 i5 8500 갑니다.
18/10/29 00:58
스2는 협동전만 해서 주게임이 아닙니다. 주게임 히오스 하스고 디아도 좀 합니다.
위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스팀쪽게임도 좀할거라서요.
18/10/29 02:17
예전얘기죠, 라이젠이나 8500이나 그 엔진들에서 프레임 못뽑는 CPU들도 아니고 애초에 그 엔진 자체 나온지 10년 되어갑니다.
지금은 차라리 그래픽카드 잘 고르는게 훨씬 낫습니다. 인텔 CPU에 1060 3GB 쓰느니 라이젠에 1070쓰는게 진리입니다.
18/10/29 02:34
http://m.ruliweb.com/pc/board/300006/read/2168204?page=5
파판 관련 댓글 보시면 아시겠지만 게임따라 한체급 위 그래픽카드 써도 못따라가는 일이 제법 있습니다. 스2 히오스는 그런류 게임의 대표적인 예인데요... 스팀게임이라고 2700이 i5 누르는것도 아니고 비슷하거나 인텔이 살짝 좋은데요...
18/10/29 13:43
근거없이 이야기하지 마시고 벤치라도 들고와보세요. https://youtu.be/C93XWVAH_dk
스2 봐도 분명히 차이 큽니다. 히오스는 동일엔진이라 특성 비슷하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