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0/26 16:03:16
Name 긴 하루의 끝에서
Subject [질문] 기준금리가 기준금리로서 역할하게 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무엇인가요?
기본적으로 금리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금리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연동이 되어 있고, 각 금리가 결정되는 데 있어 기준점으로 역할하는 것이 바로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기준금리라고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야기 되는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인하 결정과 관련된 금리 역시 바로 이 기준금리이고요. 또한 기준금리는 보통 콜금리 또는 RP금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구체적으로 왜 기준금리, 즉 콜금리 또는 RP금리가 금융시장 전반에 걸쳐 기준점으로 역할하게 되는 것인지, 혹은 역할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즉 콜금리 또는 RP금리가 여러 금리들 중 기능 또는 상징면에서 어떠한 특성 또는 중요성을 유별나게 갖길래 말입니다.

또한 기준금리라는 것은 중앙은행이 자체적인 판단 하에 일방적, 인위적으로 결정하는 금리일 뿐인데, 물론 중앙은행이 아무렇게나 금리를 결정하지는 않겠지만, 실제로 시장에서 활동하는 각 금융주체들이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곧이곧대로 중앙은행이 결정한 바에 따라 자신들의 개별 금융활동에 적용되는 각 금리들을 온전히 변동시키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기준금리가 여타 금리 결정에 있어 법적 구속력 또는 강제력을 갖는 것인가요? 아니면 기준금리는 현 경제 상황에 비추어 중앙은행이 판단한 적정금리로서 국가 경제 전반을 관장하는 중앙은행이기에 그저 그 판단에 각 금융주체들이 신뢰를 갖고 따를 뿐인 건가요?

마지막으로 별도의 구속력이나 강제력이 있는 건 아니라면 결국 기준금리는 중앙은행이 시장에 제시하는 금리 또는 경제 환경에 대한 일종의 가이드 라인 정도로 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그렇다면 각 금융주체들이 이를 따르지 않고 오로지 개별 판단 하에만 움직이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어떠한 상황이 펼쳐지고 있는 것, 펼쳐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악군
18/10/26 16: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주 거칠게 이해하기쉽게 요약하면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은행들에게 돈을 빌려주는 금리..같은 개념입니다. 그래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가지고 하는 거래가 있기 때문에 그것이 시장 ㅡ 시중은행들에게 바로 영향력이 있는 셈이죠. (정확한 요약은 아님..)
긴 하루의 끝에서
18/10/26 16:44
수정 아이콘
1.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일이 시중은행의 수익에 막대한 영향을 끼쳐 여타 금리들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으로 작용할 정도로 규모도 크고 자주 있나요?

2. 시장 내 각종 금리를 결정하는 주체는 비단 시중은행뿐만이 아니라 증권사, 보험사, 심지어 각 기업들 등 금융시장 내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또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김뮤즈
18/10/26 17:21
수정 아이콘
http://www.bok.or.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289
http://www.bok.or.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294

참조하시고, RP금리는 시중은행이랑 한국은행이랑 환매조건부로 채권을 사고 팔때 적용되는 금리고 통상 7일짜리입니다. 초단기금리 상승이 장기적으로 장기금리 상승을 일으킬수밖에 없는 이유는 아실거같으니 생략..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6324 [질문] 도쿄여행 숙소를 긴자로 잡아도 될까요? [6] 스프레차투라2094 18/10/27 2094
126323 [질문] 엑셀 질문 하나 드립니다 [5] 그린티미스트1575 18/10/27 1575
126322 [질문] 각종 고지서나 통지서를 메일로 받는 분 많으신지요...? [2] nexon1860 18/10/27 1860
126321 [질문] 니코동은 아이즈원 관련 영상이 막혀 있나요? [4] 10년째도피중2118 18/10/27 2118
126320 [질문] 말이 행동을 만든다 vs 나 공부 하나도 안했어 [23] 니나노나2790 18/10/27 2790
126319 [질문] 오이도 횟집 혹은 맛집 추천드립니다. [3] 야광별1805 18/10/27 1805
126318 [질문] kbs와 관련된 최근 큰 이슈같은게 있을까요? [2] 틈새시장1623 18/10/27 1623
126317 [질문] 차량 교체 질문입니다 [3] 시지프스1394 18/10/27 1394
126315 [질문] 노가다 기술 배우는 중인데 임금미지급으로 신고할려고 하는데 자세히 아시는 분 있나요? [9] 삭제됨4797 18/10/27 4797
126314 [질문] 서울에 찐~한 베트남쌀국수 추천해주세요 [6] 코돈빈1956 18/10/27 1956
126313 [질문] LOL 크래시 덤프 관련 [2] Eulbsyar4531 18/10/27 4531
126312 [질문] 자동차 도색 관련 [6] 싸울아비1853 18/10/26 1853
126311 [질문] 라이젠 램오버는 필수인가요? [7] This-Plus2324 18/10/26 2324
126310 [질문] 라우터에 대한 질문입니다. 좋은마음1118 18/10/26 1118
126309 [질문] vga hd7770을 쓰고 있는데 사망한듯 싶어요.. [8] Siestar1738 18/10/26 1738
126308 [질문] lck팀들 연습과정중 내부스크림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나요? [6] 삭제됨2241 18/10/26 2241
126307 [질문] 요즘 플스 구입 어떻게 하면 잘 살까요?? [1] 삭제됨1773 18/10/26 1773
126306 [질문] 모니터를 블랙 프라이데이때 사는게 좋을까요? [4] 기억의파편3739 18/10/26 3739
126305 [질문]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스크린x로 보는게 좋을까요? [3] ooWniM2080 18/10/26 2080
126304 [질문] 요새 워3 방송/대회 채널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 안초비1635 18/10/26 1635
126303 [질문] 편안한 블로퍼 있을까요? [1] WraPPin1334 18/10/26 1334
126302 [질문] 스타1 옛날 리플레이 볼 수 있나요? [2] 갓뽀식2113 18/10/26 2113
126301 [질문] 김치가 짜서 못먹을 정도에요 [20] oh!2849 18/10/26 28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