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0/26 19:24:30
Name oh!
Subject [질문] 김치가 짜서 못먹을 정도에요
와이프가 처음으로 김치를 담궜는데
소금을 너무 많이 넣어서 도저히 먹을 수가 없게 되었어요.

1. 쉴때까지 놔뒀다가 찌개를 하건 뭘하건 요리로 만들까
2. 물에 담궈서 자연스레 물김치가 되게 할까 생각중인데

2번이 그나마 살릴 가능성이 더 높을 것 같은데 더 좋은 방법 있나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oMbI COLa
18/10/26 19:26
수정 아이콘
소금을 많이 넣은게 양념이면, 가능한 빨리 씻어내서 백김치 형태로 만드는게 낫습니다. 만약에 절일 때 소금을 많이 사용했다면 푹 익힌다음 찌개나 국에 넣으면 그나마 나은데, 그것도 정도를 넘어서면 못 먹을 음식이 되더군요.
18/10/26 20:0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일단 양념을 버리는걸로 해볼게요
음주갈매기
18/10/26 19:31
수정 아이콘
배추김치인가요?

그럼 1번이요

2번은 더이상한 작품이 나올거 같네요.

잘익혀서 드실때는 물에 씻어서 요리하는방법을 찾아보세요.
18/10/26 20:0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배추김치구요 그렇게 해볼게요
Lord Be Goja
18/10/26 19:35
수정 아이콘
짠김치는 라면에 스프 조금 덜 넣고 넣어먹으면 김치 없는 라면 다음으로 맛있더군요
18/10/26 20:0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샤르트뢰즈
18/10/26 19:35
수정 아이콘
김치를 물에 담그는게 물김치가 아니에요(ㅠㅠ)
생무를 좀 잘라서 넣어주시면 어느정도 간이 심심해지는데요, 이걸로 못살리면 1로 하세요..
18/10/26 20:0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집에 갈때 생무 하나 사서 양념 버리고 넣어 봐야겠어요
최초의인간
18/10/26 19:37
수정 아이콘
돼지고기김치찜을 해주겠다는 핑계로 반쯤 버리고, 나머지는 물에 엄청 씻어서 넣어 보세요.
18/10/26 20:06
수정 아이콘
오!!아주 좋은 아이디어군요!!
명란이
18/10/26 19:55
수정 아이콘
잘씻어서 양념을 좀 심심하게 해서 다시하면 괜찮지 않을까요?
18/10/26 20:0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양념, 배추 모두 다 짜서 일단 양념을 버려 보게요!!
티모대위
18/10/26 21:01
수정 아이콘
그 김치 제가 필요합니다..
볶음밥에 쓸 김치가 있으면 좋겠는데 ㅠ 딱일것 같아요
18/10/28 14:21
수정 아이콘
먹을 수준이 아니에요...ㅠㅠ
일단 양념 버리고 물로 씨어 그냥 놔뒀어요
감사합니다.
캐모마일
18/10/26 21:24
수정 아이콘
콩나물해장국이나 잔치국수 해 드세요
김치씻어서 넣어도 되요
18/10/28 14:21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미카엘
18/10/26 23:25
수정 아이콘
김치찌개 전용으로 쓰시는 건 어떠실지요
18/10/28 14:22
수정 아이콘
너무 짜서 찌개에도 안될 것 같아 양념 버리고 물로 씻어 놨어요
감사합니다.
크림샴푸
18/10/27 10:21
수정 아이콘
아.... 제가 글을 늦게 봤네요... 이미 손을 대셨을텐데..
당연히 맹물을 부으면 맛이 싱거워만 지지 맛이 없어지니 안좋은거야 상식이라면 상식인데
이게 육수면 달라집니다.

시원한 느낌을 좋아하신다면 해산물을
묵직한 감칠맛을 좋아하신다면 육류를 사용한 육수를 부으세요.

소금을 제외한 고추가루 마늘 등은 더 넣으시면 좋구요.

우선 기존 담그신 김치들이 두통이라면 빈통을 두개 더 준비하셔서 4개로 분리하시고
큰 무 3개정도 준비하셔서 1개는 채썰고 1개는 깍둑썰고 1개는 큼직큼직하게 썰으셔서
각통마다 골고루 넣어주세요.

그리고 양지머리에 청주 정도 넣고 끓여 차게 식힌 육수를 각통마다 500미리 정도씩 부어주세요.

애써만든 비싼 양념을 버리는것보단
그대로 떠서 김치말이 국수를 해먹을 수 있게 만드는게 이득입니다.

무만 1개 채썰어 넣으셔도 짠맛은 바로 중화 됩니다.

단 맛이 없죠. 그래서 고춧가루 마늘 파 생강 액젓 조금 은 좀 넣어주시는게 좋습니다.
왜 짜도 깊은맛이 없는 음식이 있고
싱거워도 깊고 은은함이 있는게 있잖아요.
18/10/28 14:23
수정 아이콘
이미 양념은 버렸고 물에 씻어 놔뒀어요
다음에 또 이런 사태가 발생하면 그땐 물김치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6327 [질문] 오늘 롤드컵4강 티켓 현장에서 구매할수있나요? [3] Honestly1703 18/10/27 1703
126326 [질문] 부모님 모시고 오사카 3박4일 관광 예정입니다. 담배상품권1752 18/10/27 1752
126325 [삭제예정] PT 면접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1] 고전파2185 18/10/27 2185
126324 [질문] 도쿄여행 숙소를 긴자로 잡아도 될까요? [6] 스프레차투라2094 18/10/27 2094
126323 [질문] 엑셀 질문 하나 드립니다 [5] 그린티미스트1576 18/10/27 1576
126322 [질문] 각종 고지서나 통지서를 메일로 받는 분 많으신지요...? [2] nexon1861 18/10/27 1861
126321 [질문] 니코동은 아이즈원 관련 영상이 막혀 있나요? [4] 10년째도피중2118 18/10/27 2118
126320 [질문] 말이 행동을 만든다 vs 나 공부 하나도 안했어 [23] 니나노나2790 18/10/27 2790
126319 [질문] 오이도 횟집 혹은 맛집 추천드립니다. [3] 야광별1805 18/10/27 1805
126318 [질문] kbs와 관련된 최근 큰 이슈같은게 있을까요? [2] 틈새시장1624 18/10/27 1624
126317 [질문] 차량 교체 질문입니다 [3] 시지프스1394 18/10/27 1394
126315 [질문] 노가다 기술 배우는 중인데 임금미지급으로 신고할려고 하는데 자세히 아시는 분 있나요? [9] 삭제됨4798 18/10/27 4798
126314 [질문] 서울에 찐~한 베트남쌀국수 추천해주세요 [6] 코돈빈1956 18/10/27 1956
126313 [질문] LOL 크래시 덤프 관련 [2] Eulbsyar4532 18/10/27 4532
126312 [질문] 자동차 도색 관련 [6] 싸울아비1854 18/10/26 1854
126311 [질문] 라이젠 램오버는 필수인가요? [7] This-Plus2324 18/10/26 2324
126310 [질문] 라우터에 대한 질문입니다. 좋은마음1119 18/10/26 1119
126309 [질문] vga hd7770을 쓰고 있는데 사망한듯 싶어요.. [8] Siestar1739 18/10/26 1739
126308 [질문] lck팀들 연습과정중 내부스크림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나요? [6] 삭제됨2242 18/10/26 2242
126307 [질문] 요즘 플스 구입 어떻게 하면 잘 살까요?? [1] 삭제됨1775 18/10/26 1775
126306 [질문] 모니터를 블랙 프라이데이때 사는게 좋을까요? [4] 기억의파편3740 18/10/26 3740
126305 [질문]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스크린x로 보는게 좋을까요? [3] ooWniM2081 18/10/26 2081
126304 [질문] 요새 워3 방송/대회 채널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2] 안초비1635 18/10/26 16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