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0/11 15:14:28
Name 랜슬롯
Subject [질문] 토탈워 아틸라: 서로마 제국, 이거 어찌합니까?
장장 20시간동안 도전을 했는데 아직도 감을 못잡겠네요 -_-;


제가 토탈워시리즈는 미디블 토탈워1 부터 했고, 토탈워2는 정말 수천시간정도 했다고 자부하고,

하드코어팩션인 독일이나 덴마크로도 쉽게 통일하구요.


엠파이어/나폴레옹은 취향이 아니라 건너뛰고


쇼군토탈워2도 나름 몇십시간 이상했습니다.



근데 아틸라는... 이건 진짜, 어찌해야할지 잘모르겠군요.

물론 이게 단순히 난이도가 어렵다는걸 떠나서, 너무 추가된 시스템이 많다고 해야할까요 바뀐게 많다고해야할까요

제가 롬토를 안해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장수를 8명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고, 병력 또한 장수 휘하아래에서만 유지가능.

도시내에서 자체적으로 병력 생산하는 미디블&토탈워식 방어병력 운영은 불가능.

장수들에게 충성도 시스템이 매우 커져서 반란 일으킬 가능성이 높음.

도시내 건물을 짓지 않으면 병력 생산은 극히제한적 (1~2종뿐)


이런 차이점들이 게임을 어렵게 하는것같은데..

문제는 지켜야할 지점이 너무 심각하게 많다는 것같습니다.

아니, 이게 청야작전으로 영국/프랑스/북아프리카 지역/발칸반도 싹다 지우고 시작을 해보니까

좀 더 버티긴했는데 결국 무너지기직전이 되는게...

스페인/이탈리아 반도조차도 내부 반란을 막아야하고 동시에 이민족의 침략을 막아야하는데

내부 반란을 막기 위해서 군단을 투입하니까 후방쪽 (도시죠 정확히는) 이 비어서 이민족이 냅다 쳐들어와서 들어앉고

내부 반란을 안막고 후방을 지키자니 내부반란군이 로마까지 공략을 하는 진퇴양난의 상황으로 몰아버리네요.


단순히 이민족이 계속 쳐들어오는거면 야전으로 승부를 보면되는데

내부에서 일어나는 반란 이게 로마 장군들이 충성도 떨여져서 일으키는 반란과, 지역내 에를 들어서 스페인 반도에서는

Hispanic Rebellion 이라는 반란군이 또 있더군요.

이 두가지 반란 + 북에서 남으로 내려오는 이민족군단 + 치안유지불가능

이 세가지가 동시에 도니까 훈족 얼굴 구경도 못하고 망했네요.



저는 내부 반란군은 장군들/혹은 도시 치안도가 낮아서 일어나는 반란만 있는 줄알고 세금 최하로 낮춰서 안심하고 있는데

그래도 내부반란군 일어나는거 보고 뻥쪘네요.


이거 내부 반란군 안일어나는 방법있나요?

그리고 이거 병력 유지할 수 있는 장수수가 8군단이 최대인것같은데 8군단가지고 그 넓은 지역 방어가 다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장수가 없는 도시는 방어할 수 있는 수단이 도시에서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도시 민병대를 제외하면 없는지도요.


마지막으로 서로마제국 도시 유지하면서 깨보신 분 혹시 계십니까? 어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0/11 15:35
수정 아이콘
괜히 토탈워 역사상 유일무이한 레전더리 팩션이 아니죠. 저도 아틸라 입문했을 때 '서로마 제국은 멸망의 기로에 섰습니다.'라는 임팩트있는 문장을 보고 호기롭게 시작했으나 멘탈이 나갈 정도로 탈탈 털려버린... 웃긴 건 지금 서로마도 버프를 상당히 많이 받은 상태라는 겁니다. 아틸라 초기에는 청야전술을 안 쓰고는 진행이 거의 불가능했죠. 현재는 청야를 하지 않더라도 시기적절한 병력 운용으로 막을 수 있는데 공략은 아래 링크로 갈음합니다. 타사이트에서 최근에 올라온 연재글인데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ttwar&s_type=search_name&s_keyword=%EB%94%94%EB%94%94%EB%94%94%EB%8C%80%EB%A7%88%EC%99%95
류지나
18/10/11 16:45
수정 아이콘
저도 서로마 제국 플레이 하던 초기 아틸라 시절에는 이베리아 반도와 이탈리아 반도를 제외한 모든 땅을 싸그리 태워버리고 방어전을 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이베리아 반도가 정말 개꿀땅.
류지나
18/10/11 16:41
수정 아이콘
다음 토탈워 사이트 가보시면 서로마 제국 레전더리 -_- 난이도 노청야작전 연재본도 있을 겁니다.

약간 다른 이야기로, 건너뛰신 엠파이어/나폴레옹 토탈워와 쇼군2 토탈워 사이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었습니다.

로마 토탈워, 엠파이어 토탈워, 나폴레옹 까지는 장군 없이 병력만 뽑아서 도시 방어군에 투입시키는 것이 가능했으나
쇼군2 토탈워부터는 군단 시스템이 생기고 장군 없는 병사만의 수비대 조직이 불가능해졌지요.
따라서 쇼군2 이후의 토탈워는 대략 이런 시스템입니다.

"주력 부대는 공격 부대로서 운영하고, 방어 부대를 하나 편성해 놓고 도시마다 성벽을 건설한 후 적이 공성전 하느라 턴을 소모하는 사이에 방어 부대가 방어하기 위해 달려간다"

아틸라 토탈워의 서로마제국처럼 개노답 땅넓이 같은 경우에는 별 수 없습니다. 모든 도시에 방어군 증강/성벽 설치 되는 건물을 지은 다음에 화려한 컨트롤....로 도시 수비대로 적 군단을 격파하는 것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2781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5782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5733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8827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0997
181662 [질문] 아이폰17 프로맥스 어떻게 사는기 최선인가요? Nothing Phone(1)362 25/09/12 362
181661 [질문] 아기와 개를 같이 두는건 위험한가요? [11] 알파고1046 25/09/11 1046
181660 [질문] 통신사 어디가 좋을까요? [3] Be quiet863 25/09/11 863
181659 [질문] 그랑콜레오스는 괜찮나요 좀 아닌가요 [3] 오타니쇼헤이1105 25/09/11 1105
181658 [삭제예정] 피부과에서 남자 어떤 시술? 관리? 받아야 될까요 [8] 시은2080 25/09/11 2080
181657 [질문] 아이패드와 애플펜슬 연결 문제 [3] 장헌이도1355 25/09/11 1355
181656 [질문] 할로우 나이트 길찾기 가이드 같은게 있을까요? [11] 카오루1292 25/09/11 1292
181655 [질문] iOS 베타 26을 정식으로 돌리기 질문입니다. [4] 제논1173 25/09/11 1173
181654 [질문] 중고차구매 질문 드립니다 [8] 쉬군1767 25/09/11 1767
181653 [질문] 파이브가이즈 메뉴 추천부탁드립니다. [27] kogang20011689 25/09/11 1689
181652 [질문] 이직조건에 대해 고민이 있습니다.(수정) [32] 삭제됨3297 25/09/10 3297
181651 [질문] PGR21 글씨체가 바뀐 건가요? [6] 223.322738 25/09/10 2738
181650 [질문] 아기 초기이유식 설사 어떻게 해야 할까요? [7] 옥동이2571 25/09/10 2571
181649 [질문] 현관문 자동으로 닫히는 기능이 고장났습니다. [4] 다이어트2878 25/09/10 2878
181648 [질문] 중국어 번역용 AI 질문입니다 [8] Kusi2300 25/09/10 2300
181647 [질문] 야구장 가는 법에 대해서 야구장 초보가 질문드립니다! [13] 성북구강챙이1470 25/09/10 1470
181646 [질문] 36개월 아기는 보통 몇시간이나 수면하나요? [19] 윈터1930 25/09/10 1930
181645 [질문] 70-80년대 한국영화는 진짜 애마부인류가 전부인가요? [15] 헤나투1973 25/09/10 19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