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10/04 16:08:52
Name 곰비
Subject [질문] 미리 전입신고 하는 것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세자금대출을 받기 위해 미리 전입신고를 해서 세대주가 되어 진행하려고 하는데요.

현재 이사가려고 하는 곳에 세입자가 있는 상태고 10월 11일에 잔금치루고 새집에 들어가는 것으로 계약되어 있습니다.

내일쯤 가서 미리 전입신고를 하려고 하는데, 이렇게 미리 전입신고를 하는 경우 문제가 될만한 게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전입신고를 해서 세대주가 되면 한 세대에 세대주가 2명?이 되는거 같아서 뭔가 영 찜찜합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수정비
18/10/04 16:10
수정 아이콘
이사하려는 곳이 주택이고, 집주인이 동의한 상태면 전입 신고 가능합니다.
아파트라면 불가능합니다.
NoGainNoPain
18/10/04 16:39
수정 아이콘
전세자금대출은 보통 확정일자가 찍힌 계약서를 요구할 겁니다.
전입신고가 필수인지 아닌지 한번 더 확인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18/10/04 16:42
수정 아이콘
전입신고 하시고 확정일자 받으시는게 핵심이실거고 은행에서 요구하는 사항일건데
확정일자는 전세자금대출금이 은행에서 지급되는 일자랑 아마 같은날짜 요구할거라, 10월 11일에 확정일자 찍히셔야 할거 같은데요.

은행에 문의해보시는게.. 세대주 아니어도 전세자금대출은 가능합니다.
네파리안
18/10/04 16:51
수정 아이콘
동에서 공익했던 경험에 의하면(전입담당자 까지 해봣습니다.) 일단 전입세대 열람을 하고나서 기존 세대에 전입한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고 나서 전입을 해주기 때문에 하고싶어도 2세대 전입은 힘들고 위장전입이 아닌바에야 구지 우겨서 전입할 필요가 없죠.
보통 주택은 1세대여도 2개 세놨다는 억지를 부려서 위장전입이 충분히 가능한데 아파트는 그게 불가능해서 원칙적으로는 2세대 전입이 안되고 주택도 앵간히 억지 안부리면 담당자가 안해주려고 합니다.
난 위장전입이 아니고 곧 이사나간다 하면 가끔 미리 전입해주시는 착한분도 있으신데 가서 공무원이랑 이러쿵 저러쿵 하는것 보단 인터넷으로 전입신청을 먼저해서 가능한지 확인하고(이미 전에 살던 사람이 전입신고해서 나갔을수도 있습니다.) 기존에 사는 사람이 있어 불가능 하다 하면 주인에게 연락해서 나가실분에게 빨리 이사갈곳으로 전입이 가능한지 애기해 보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제가 대출을 안해봐서 그런데 만약 대출하는데 전입세대 열람이 필요하다면 이건 무조건 기존에 살던사람 나가야 대출 됩니다.
소린이
18/10/04 19:04
수정 아이콘
헉 제 고민 덜어주는 질문과 답변이라니 다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5447 [질문] (해결완료)남자 옷판매 사이트 여쭤봐요 [5] 착한아이2837 18/10/05 2837
125446 [질문] [LOL] 오늘까지의 롤드컵 경기 중 추천해주실 경기 있나요? [6] SevenStar2425 18/10/05 2425
125445 [질문] 책상용 의자 질문입니다 [2] Naked Star2082 18/10/05 2082
125444 [질문] 성인남성 얼굴 지방이식 질문입니다 [2] 청산콜라1938 18/10/05 1938
125443 [삭제예정] 음악 곡을 찾습니다.(오페라) 소피스트1552 18/10/05 1552
125442 [질문] 할로윈 관련 의상 질문드려요~ [1] 좌절금지1354 18/10/04 1354
125441 [질문] 독일로 3달 일하러 가는데 챙겨갈 것들과 그 후 여행코스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삭제됨1681 18/10/04 1681
125440 [질문] [LOL] 미드말고 다른 라인이 다 터졌을때 아리 로밍에 대해.. [5] YAN3107 18/10/04 3107
125439 [질문] 하....가성비 이어폰 추천부탁드립니다 [34] 현직백수3664 18/10/04 3664
125438 [질문] 아기있는집 전기난방기구 추천부탁드립니다 [8] 밥잘먹는남자2736 18/10/04 2736
125436 [질문] ssd랑 hdd 케이스 추천해주세요 눈부신생물2222 18/10/04 2222
125435 [질문] 목적에 맞는 노트북 추천부탁드립니다. [2] 삭제됨1511 18/10/04 1511
125434 [질문] 컴퓨터 부팅중 메인보드 로고에서 멈춤증상 [2] lizfahvusa7353 18/10/04 7353
125433 [질문] 신용카드와 카카오/네이버 페이 상관관계 [7] 빛돌v1889 18/10/04 1889
125432 [질문] 런던여행 질문입니다. [7] 미다스2070 18/10/04 2070
125430 [질문] 컴퓨터 케이스 추천 [5] 까우까우으르렁3474 18/10/04 3474
125429 [질문] 알파스캔 TV 괜찮나요? [1] 파랑파랑2240 18/10/04 2240
125428 [질문] 미리 전입신고 하는 것에 대한 질문입니다. [5] 곰비9522 18/10/04 9522
125427 [질문] V30 디스플레이 이거 불량인가요? [1] 삭제됨2008 18/10/04 2008
125426 [질문] PGR 단축키가 뭐뭐 있는지요? [4] 솔지2508 18/10/04 2508
125425 [질문] LPL은 LCK를 앞섰을까요? [45] The Special One4250 18/10/04 4250
125424 [질문] [vs배틀]일식 평생 공짜 vs 중식 평생 공짜 무엇을 택하시겠나요? [99] 마재4862 18/10/04 4862
125423 [질문] 키보드 직구 할라고 하는데 150불 이하면 면세인가욥? [12] 키토1927 18/10/04 19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