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9/15 06:26
원글에 저도 댓글을 달았는데요
1. 그런 경우, 우선 순위는 직진차로의 주행 차량에 있기 때문에 합류 차량은 주행 차량의 안전한 운행에 방해가 안 되는 선에서 진입해야 합니다. 내가 끼어들테니 속도 줄여서 오세요가 아니죠. 따라서 우깜이 맞습니다 2. 주행 차량 입장에서는 이면도로에 정차되어 있던 차량이 움직여서 합류할 예정인지 아닌지 판단이 어렵습니다. 특히 밤에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합류할 방향인 좌측으로 좌깜 켜는게 맞고 이 경우에도 주행 차량에 우선 순위가 있으니 합류 차량이 조심해서 합류해야 합니다. 다만 좌깜을 켬으로써 주행차량이 양보 의사가 있다면 속도를 줄여주겠죠.
18/09/15 06:33
다시 정리하면
우선 순위가 낮은 차량은 자신의 차가 진행하려는 방향으로 깜빡이를 켠다는 것만 기억하시면 안 헷갈리실 거예요. 주유소에 빠져 나갈 때는 주행 차량에 비해 우선 순위가 낮고 본인 차량 기준으로 직진하다가 우회전 합류해야 하니 우깜이 됩니다.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빠져 나갈 때는 직진하다가 좌측으로 합류해야 하고 우선 순위가 낮기 때문에 좌깜이 됩니다.
18/09/15 07:42
이런게 논란이 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신기한데, 방향지시등은 문자 그대로 자기가 향후 진행하려고 하는 방향을 다른 차량에게 미리 보여주기 위해 (실제로 핸들을 돌려 차선을 넘어가기 전에) 켜는 겁니다. 우회전은 당연히 우깜빡이를 커는 것이고, 고속도로 합류 등은 좌측으로 차선을 변경하면서 합류하는 것이니 당연히 좌깜빡이입니다.
우회전 후 즉시 좌측으로 차선을 변경할 예정이라면(혹은 -원래 이렇게 하면 안 되지만- 우회전하면서 바로 최우측차선보다 좌측차선으로 들어가려는 경우), 우회전 시작 전까지는 우깜빡이를 켜고 있다가, 우회전에 돌입하면서(즉 우회전 한다는 것을 다른 차량이 그냥 봐도 알 수 있게 된 상태에서) 좌깜빡이로 바꿔야 합니다(그게 우회전 후 진행하고자하는 방향이므로). 처음부터 좌깜빡이를 켜고 있으면 아예 거기서 바로 좌측으로 진행하겠다는(좌회전, 유턴 등) 의사표시가 됩니다. 다만 자기 뒤에 차가 전혀 없는 경우(예를 들어 인도쪽에 있다가 차도로 우회전 해서 나가는 경우, 자기 집 마당에서 도로로 우회전해서 나가는 경우, 그냥 길인데 뒤에 차가 전혀 없는 경우 등), 어차피 우깜빡이를 켜봤자 그걸 볼 사람이 없으니 그냥 가만히 있다가 우회전 시작 후 좌깜빡이를 켤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처음부터 좌깜빡이를 켜고 있는건 거기서 바로 좌회전 하겠다는 이야기가 됩니다(물론 좌회전 등이 여건상 불가능한 도로에서 좌깜빡이를 켜고 있으면 직진 주행 차량의 운전자가 '우회전 후 즉시 좌측으로 차선변경을 할 예정이군' 혹은 '처음부터 크게 밀고 들어올 예정이군' 같은 식으로 알아서 선해해주는 경우가 많긴 합니다만). 일반적으로는 앞으로 핸들을 돌리려는 방향과 깜빡이 방향은 거의 항상 일치하고, 향후 오른쪽으로 핸들을 돌릴 예정인데 좌깜빡이를 켜야 하는 상황은 회전교차로 앞 밖에 없습니다. 회전교차로의 경우 진입해서 첫번째 갈림길에서 바로 나가려는 차량은 교차로 앞에서 우깜빡이를 켜고 대기하고, 두번째 갈림길 혹은 그 이후 갈림길에서 나가려는 차는 전부 좌깜빡이를 켜고 대기합니다. 좌깜빡이 차량은 진입 후에도 계속 좌깜빡이를 유지하다, 자기가 나가려고 하는 갈림길 바로 전 갈림길을 통과한 직후에 우깜빡이로 바꾸죠. 이렇게 하는 이유는 회전교차로 진입차로에서는 할 수 있는 선택지가 '회전차로 진입' 하나 밖에 없어서 자기 뒤에 대기하는 차에게는 향후 진행할 방향을 미리 알려줄 필요가 없는데(단순 우코너에서 우깜빡이를 켜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 이유로), 회전교차로 내에서 돌고있는 차량이나 다른 방향의 진입차로에서 대기하는 차량에게는 자기가 어느 방향으로 진행할지 미리 알려줄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특히 다차선 회전교차로의 경우).
18/09/15 09:08
약속 되어 있는 법규인데 그걸 자꾸 상황따라 다르다는 식으로 얘기하는 건 좀 아니라고 봅니다. 본인이야 좋은 의도일 수 있지만 보는 사람들은 헷갈리죠. 극단적으로 보면 직진 차량이 좌깜 키고 들어오는 차를 보면 놀라서 브레이크를 밟게 될 수도 있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