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9/14 03:40
그냥 용어 몇개 안다고 대화에 끼일수 있는건 아닐텐데요.
제대로 된 프로그래머라면 오히려 어설픈 지식으로 관련 용어 쓰는 사람들 싫어합니다.
18/09/14 03:50
어설프게 아는체 하면, 예전 대통령식으로 '내가 그거 해봐서 아는데..' 의 뉘앙스를 풍겨서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음, 차라리 전체 업무 흐름으로 대화에 끼는게 좋을 것 같은데. 이건 일머리 영역이라서 뭐라고 하기 힘드네요. 용어는 그때그때 찾아서 뜻만 알아놓아도 차라리 이 사람이 노력하는구나 정도의 뉘앙스를 풍길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18/09/14 04:39
무엇을 위하여 대화하는지가 중요할 것 같아요. PM, 디자이너 / 기술지원 분야시면 직접 프로그래밍을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텐데 개발자들끼리 대화할 때 끼어보는 것보다는 그냥 알아듣는 정도만 하셔도 좋을 것 같고요. 영업이나 고객접점으로서 개발자와 이야기한다면 그거는 개발자분이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게 잘 이야기 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다른 파트 사람들과 대화할 때마다 용어와 설명을 다르게 하는게 개발자의 능력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대화하는 상황이 1:1로 개발자분이 그렇게 못 알아듣게 대화하는거면 솔직히 개발자분이 좀 많이 무례한거고, 회의에서 개발자들끼리 이야기하는거면 그냥 대충 알아들을 수 있게만 공부하시고 서로 대화할 때는 끼지 마시고, 결론과 역할 분담, 일정 등을 정리하는 역할만 잘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개발자들이 그런거는 잘 못하거든요 크크
18/09/14 10:31
다른 파트 사람들과 대화할 때마다 용어와 설명을 다르게 하는게 개발자의 능력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 이 부분에 많이 공감합니다. 고전파님이 굳이 억지로 그 용어를 대화에 끼어보려고 배우실 필요는 없습니다. 서로 업무가 나눠져있다면 거기에 맞는 대화를 하면 된다 생각합니다.
18/09/14 11:12
위 답글들이 맞는 말이지만 질문에만 답하자면 열혈강의같은 코딩 입문서적을 죽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용어사전같은건 들어본적도 없지만 있다고 해도 도움이 별로 안될 것 같네요. 요즘엔 웹으로 연습할 수 있게 되어있는곳도 많으니 책 보면서 조금 따라해보시는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goorm.io/
18/09/14 12:01
직접 하셔서 내용을 알고 말하는게 아닌이상 1;1로 키워드 매칭이 안됩니다. 적당히 알고 대화하시면 진짜 이해안됩니다. 중국사람이 한국 유행어 외어서 말하면 차라리 중국말로 말해주곺내가 사전뒤지는거보다 몇재의 공수가 들어요
18/09/14 12:02
그리고 문돌이가 객체 변수에 대해서 말할일이 없을건데요 정상적안 프로젝트면 코드에 개입한다는건데 코딩을 전혀 모르는 상태서 코드개입하면 개발자가 프로젝트 나갈겁니다
18/09/14 12:32
일단 답변 다들 감사합니다. 대화에 끼어든다는게 알아들으려고 그런거고 제가 얘기할 일은 되물어보는 정도입니다^^; 다만 어떤 의도로 얘기하시는지는 알겠습니다. 어설프게 뭘 하려고 하면 안되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