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24 17:06:21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전근대 중국수학이 서양 수학에 밀린 이유??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8/24 17:20
수정 아이콘
논리학이 수학의 아버지인데
수학의 할아버지인 아리스토텔레스가 중국인이 아니라서 그런것 같아요
3.141592
18/08/24 17:27
수정 아이콘
애초에 동아시아에 수학이 학문으로서 성립된 적이 있기나 했나 의문인데요. 그냥 단발성 이벤트 몇개 말고 실질적으로 근대수학이 유입되기 전에 체계를 갖춘 학문으로서 인정받을만큼 쌓인적 자체가 없는데 어느시대 어디에 비교해서 못 미쳤다는게 문제가 아니고 왜 수학이 없었는지를 따져봐야 할 문제일듯합니다.
18/08/24 17:40
수정 아이콘
근데 서양 수학은 이슬람권에서 배워온겁니다. 대수학(algebra)이란 말 자체가 아랍어죠. 우리가 쓰는 숫자는 인도에서 만들었는데 유럽놈들이 아랍을 통해 배웠기 때문에 아라비아 숫자라고 부릅니다.
18/08/24 17:43
수정 아이콘
고대 그리스 수준에도 못미쳤다면

거대한 궁전같은 건축물들을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18/08/24 18:00
수정 아이콘
서양의 수학은 실용적인 목적과는 별개로 고도의 엄밀성과 추상성을 기반으로 발전했고, 그러한 수학적 기법들이 실생활이나 과학에서도 쓸모가 있더라 그런 접근이라면, 중국에서 수학(산수)는 철학적인 목적이 아니라 실용적인 목적으로서 접근하다보니 계산, 건축같은 그 당시 필요했던 수준정도로는 발전했을지 몰라도 지금 수학처럼 발전할 수 있는 포텐은 낮았다고 봐야겠죠.
다크템플러
18/08/24 19:45
수정 아이콘
수학을 뭘로 보냐의 문제죠.
연역적 증명을 토대로 한 논리측면만 본다면 부재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대수학, 특히 고차방정식 쪽으론 엄청나게 발전했습니다.
과학사학자들 중에선 유클리드기하학과 공리연역체계에만 중심을 두고보는건 너무 그리스중심적 사고라고 보기도 하더라구요.
연역적 추론을 왜 안했냐.. 뭐 할이야기는 많지만 중국과학사학계 거두인 네이선 시빈의 견해에 따르면(물론 설은 많습니다)
그리스 철학은 철학자들끼리 서로 논쟁펼치면서 대중들에게 호응받아내는과정에서 상대의 약점을 집요하게 파고드는게 발전하다보니, 절대 반박할 수 없는 방법인 공리로부터 연역해내는 유클리드 체계가 나온 반면
중국에선 철학자들이 자신의 주장을 펼치는 대상은 황제죠. 결국 상대 주장의 약점보다는 자신의 주장의 강점, 특히 국가를 위해 얼마나 실용적이고 무엇을 위해 쓰일 수 있는지 강조하는 측면으로 발전했다고 합디다.

켐라라는 중국수학사학자의 경우 중국 수학, 특히 중국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텍스트 중 하나인 구장산술과 그에 대한 주석에서 주로 관심을 갖던 것은 서양 수학이 그랬듯 Abstraction(추상화)이 아니라 Generality(일반화)에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현대적인 용어로 비교를 하자면, 서양수학에선 어떤 유제가 있을 때 그걸 증명하는 등 추상화시키면서 공리로부터 연역해내는걸 추구했고, 중국수학에선 마치 정석이나 개념원리처럼 예제에서 출발해 점점 넓고 다양한 문제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일반화시키는 느낌.. 이라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947 [질문] 주택구입자금대출 무주택자 요건에 관한 질문 changeable2179 18/08/24 2179
123946 [질문] 지니어스 베스트 3편을 꼽으면 뭐뭐가 있었을까요? [29] Secundo3285 18/08/24 3285
123945 [질문] 전근대 중국수학이 서양 수학에 밀린 이유?? [6] 삭제됨2976 18/08/24 2976
123943 [질문] 더 지니어스 시즌 3,4 볼만한가요? [23] 리들4984 18/08/24 4984
123942 [질문] 취미로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래밍의 한계가 어딜까요? [17] 솔지2997 18/08/24 2997
123941 [질문] 아이콘 및 배너 구인 문의 드립니다. 그림속동화1246 18/08/24 1246
123940 [질문] SWOT분석같은 다른 기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요즘엔 어떤형태로 분석하나요? [6] Secundo4529 18/08/24 4529
123939 [질문] 새로 구매한 노트북에서 다중 디스플레이 설정이 안됩니다. FlyingBird4570 18/08/24 4570
123938 [질문] 아반떼 신차 vs 중고 중형가스차 뭐가나을까요? [16] 난나무가될꺼야3557 18/08/24 3557
123937 [질문] 비브람 신고 운동하기 어떤가요? [1] 카롱카롱1760 18/08/24 1760
123936 [질문] 세이코 시계 모델명이 궁금합니다. [4] 삭제됨2782 18/08/24 2782
123935 [질문] 정장 바지 수선 질문드려요 [5] 베르나르2402 18/08/24 2402
123934 [질문] 스위치 배터리 관련 질문입니다. [5] 도시의미학1830 18/08/24 1830
123933 [질문] 골프를 배우고 싶습니다. [10] 살려야한다2885 18/08/24 2885
123932 [질문] 원서를 주문하려는데 잘 모르는 게 있어서요. [2] 카페알파1584 18/08/24 1584
123931 [질문] 파이썬 커뮤니티 추천 부탁드립니다. [3] RyAn10189 18/08/24 10189
123930 [질문] 무중력의자 질문드립니다. [5] Syncnavy3152 18/08/24 3152
123929 [질문] 스위치 vs 플스4 [26] 비연회상5236 18/08/24 5236
123928 [질문] 네이버나 한메일 보호조치 기능 없애는 법 있나요? [2] 피스~2263 18/08/24 2263
123927 [질문] 프로듀스48 한연생 일연생 비율관련 [8] 루윈1890 18/08/24 1890
123926 [질문] 영화 신세계 및 경찰에 관한 몇가지 질문입니다. [3] 불굴의토스2512 18/08/24 2512
123925 [질문] 캐드 글꼴 질문 [2] 조폭블루2401 18/08/24 2401
123924 [질문] 네이버에서 지메일로 보낸 메일을 발송 취소 가능할까요? [7] 어빈4653 18/08/24 46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