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24 16:20:21
Name 솔지
Subject [질문] 취미로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래밍의 한계가 어딜까요? (수정됨)
전문가의 무보수 활동이 아니라 일반 개인이 배우고 만들수 있는.
일반적인 수준의 스마트폰 앱이나 윈도우 프로그램의 한계는 어느정도인가요?
혹시 직접 만드셨거나, 일상적으로 볼 수 있는 것 중 잘 만들었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예시로 들어주실 수 있을까요?

가끔 보면 생활 법전이나 수많은 타이머/시계 어플 처럼 개인이 만든 느낌이 드는 것도 있고,
알고보면 이것도 이름만 개인이지 사실상 프로의 부업일수도 있고...

그냥 매크로 익스프레스/AHK 같은 것만 조금 쓸 줄 알아도 사무활동이 참 편하던데,
프로그래밍도 배운만큼의 쓸모가 있는건지 아니면 일정 수준 넘기 전까진 써먹을데가 전혀 없는건지,
누군가 만들어놓은 결과물을 보면 조금이나마 짐작하고 희망이라도 가질 수 있지 않나 해서 찾아봐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밤톨이^^
18/08/24 16:28
수정 아이콘
서울버스 앱도 제작자가 고딩때 만들었다는데요..
페로몬아돌
18/08/24 16:32
수정 아이콘
앱은 아이디어 문제지.. 개인이 만들려면 다 만들죠. 시간과 돈도 문제
Supervenience
18/08/24 17:55
수정 아이콘
시간과 돈이 사실상 문제의 전부 아닙니까? 크크크크
18/08/24 16:32
수정 아이콘
인디 게임도 1인 제작이 꽤 있죠.
한때 인기있었던 드래곤플라이트도 처음엔 1인개발로 시작했었구요.
18/08/24 16:34
수정 아이콘
답변을 나름 달았는데 웹사이트가 아니라 어플이나 응용프로그램 관련 질문이였군요...크크
교자만두
18/08/24 17:01
수정 아이콘
웹사이트는 어떤가요? 궁금합니다..관심이많아서
18/08/25 12:55
수정 아이콘
약간의 지식만 있으면 손 쉽게 템플릿화 된 디자인 레이아웃을 바탕으로 만들 수 있는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흐흐
그 약간의 지식은 사이트가 돌아가는데에 있어서 관여있는 DB서버, FTP, 도메인, 호스팅 등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간단한 개념. 그리고 HTML,CSS. JAVASCRIPT가 어떻게 생긴 것이고 어떤 역할 하는지 정도에 대한 간단한 개념정도만 알면 될 것 같네요
18/08/24 16:38
수정 아이콘
맥용 글쓰기 앱인 scrivener 같은 경우도 만든 사람이 비개발자라고 알고 있습니다.
네파리안
18/08/24 17:24
수정 아이콘
요즘은 조금만 연습하면 쓸만한 앱이나 홈페이지 정도는 만드는것 같아요.
제가 국비교육으로 6개월 짜리 2개 과정을 해봤는데 전공자도 아니어도 이런 교육만으로 취직시키는게
요즘은 워낙 프레임워크가 잘되어있어서 간단한것들은 그냥 쓰면 되기 때문에 뭐 앱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이라던지 쇼핑몰 개발같은건 취미로도 충분히 만들지 않을까 싶내요.
18/08/24 18:19
수정 아이콘
Linux는 Linus Torvalds의 학창시절 취미/학업활동으로 시작된 OS입니다만.. Linux 외에도 apache 등 수많은 세계 제패급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특정인의 대학-대학원 시절 취미활동 내지 학업활동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아케이드
18/08/24 21:46
수정 아이콘
취미의 영역을 어디까지로 볼까에 달려있는데,
사실 현존 세계 최대의 OSS라고 불리우는 리눅스도 본업을 따로둔 토발즈 씨가 취미로 만들고 업그레이드하고 있는 것입니다.
리나시타
18/08/24 21:50
수정 아이콘
마법의 대륙이란 mmorpg게임이 있는데 1인 개발 게임으로 시작하긴 했었습니다
18/08/24 21:58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열린 분야인가 봐요,
초등학교 때 덧셈뺄셈만 하다 말아서 가시적인 성과는 프로나 가능한지 알았거든요.
게임부터 자주 쓰이는 생활 앱이나, 리눅스까지 다양하네요, 가장 체험(?)하기 쉬운 게임 먼저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흐흐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18/08/25 02:09
수정 아이콘
취미로 시작해서 성공하는 개발은 지식보다는 아이디어와 타이밍이라 생각합니다. 어디까지 가능한가는 결국 얼마나 시간을 투자하느냐이고, 일단 성공하는 길로 들어서기 시작하면 본인이 전문개발자가 되거나 전문가를 고용해야 그 프로그램이 쭉 좋은 길로 가는 것 같아요.
동네형
18/08/25 14:16
수정 아이콘
재능이 있느냐랑 본인이 취미의 영역을 어디까지 두냐가 사람마다 다르잔요
18/08/25 15:34
수정 아이콘
시간을 얼마나 투자할건지가 관건입니다. 흐흐
1llionaire
18/08/28 15:32
수정 아이콘
언더테일 같은 게임도 개발자가 아닌데 공부하면서 만든 게임이죠. 스타듀밸리도 혼자서 그래픽과 사운드, 프로그래밍까지 다 작업한 게임이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942 [질문] 취미로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래밍의 한계가 어딜까요? [17] 솔지2999 18/08/24 2999
123941 [질문] 아이콘 및 배너 구인 문의 드립니다. 그림속동화1248 18/08/24 1248
123940 [질문] SWOT분석같은 다른 기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요즘엔 어떤형태로 분석하나요? [6] Secundo4529 18/08/24 4529
123939 [질문] 새로 구매한 노트북에서 다중 디스플레이 설정이 안됩니다. FlyingBird4575 18/08/24 4575
123938 [질문] 아반떼 신차 vs 중고 중형가스차 뭐가나을까요? [16] 난나무가될꺼야3561 18/08/24 3561
123937 [질문] 비브람 신고 운동하기 어떤가요? [1] 카롱카롱1761 18/08/24 1761
123936 [질문] 세이코 시계 모델명이 궁금합니다. [4] 삭제됨2785 18/08/24 2785
123935 [질문] 정장 바지 수선 질문드려요 [5] 베르나르2405 18/08/24 2405
123934 [질문] 스위치 배터리 관련 질문입니다. [5] 도시의미학1832 18/08/24 1832
123933 [질문] 골프를 배우고 싶습니다. [10] 살려야한다2888 18/08/24 2888
123932 [질문] 원서를 주문하려는데 잘 모르는 게 있어서요. [2] 카페알파1588 18/08/24 1588
123931 [질문] 파이썬 커뮤니티 추천 부탁드립니다. [3] RyAn10197 18/08/24 10197
123930 [질문] 무중력의자 질문드립니다. [5] Syncnavy3160 18/08/24 3160
123929 [질문] 스위치 vs 플스4 [26] 비연회상5250 18/08/24 5250
123928 [질문] 네이버나 한메일 보호조치 기능 없애는 법 있나요? [2] 피스~2270 18/08/24 2270
123927 [질문] 프로듀스48 한연생 일연생 비율관련 [8] 루윈1898 18/08/24 1898
123926 [질문] 영화 신세계 및 경찰에 관한 몇가지 질문입니다. [3] 불굴의토스2520 18/08/24 2520
123925 [질문] 캐드 글꼴 질문 [2] 조폭블루2409 18/08/24 2409
123924 [질문] 네이버에서 지메일로 보낸 메일을 발송 취소 가능할까요? [7] 어빈4655 18/08/24 4655
123923 [질문] FM 2018 세일 아직 안하죠? [6] LG의심장박용택2254 18/08/24 2254
123922 [질문] 우리나라에 맥스98 신어볼수 있는 나이키 매장 있나요?? [1] 스윗앤솔티1790 18/08/24 1790
123921 [질문] 이번 태풍이 역대급 설레발이 된 이유가 무엇일까요? [52] purplejay5547 18/08/24 5547
123920 [질문] C# 도서 및 강의 추천부탁드립니다. [3] 고전파5033 18/08/24 50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