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8/22 09:29:58
Name 김소현
Subject [질문] 직장생활 이럴경우 어찌 하세요? (수정됨)
현재 업무분장이 잘 되어있기도 하고
전부 몇년씩 그 일을 해온 상태니 무난히 굴러가는중입니다.
근데 갑자기 한 명을 다른 부서로 뺀다합니다.
인력충원없이...
그 사람이 하던 일을 배분해서 하라는데
배분할 만큼 실무를 안하는 사람은 팀장 뿐입니다.
팀장에 불만도 없습니다. 본인이 결제한거에 대해서 책임지고 수습하고, 저희가 처리하기 까다로운 것은 본인이 해결하거든요
결국 저보고 하라는 건데 제 일과 같이 하기에는 무리입니다.
일단 제 생각은 그 사람이 받던 급여의 절반 이상을 더 올려주지 않는 이상 퇴사할 생각입니다
잠깐은 저렇게 해서라도 다닐 생각은 있는데
결국 인력충원 안해주면 돈이고 뭐고 퇴사할 생각입니다
의견 부탁드립니다

부연) 상황을 말씀해달라 하셔서 상황추가합니다.
현재 인원으로 근3년간 아무 사고없이 잘 굴러가는중입니다. 그 전에는 인원이 더 많았는데도 매일 야근을 했다 하는데, 현재 인원 자리잡힌 후에는 야근 거의 없습니다.
인원 재배치결정은 임원들끼리 했으며, 정말인지는 모르겠지만 팀장도 처음 듣는 이야기라 하는데 이 회사 의사결정이 항상 임원들끼리 회의해서 통보만 하는 식이라 몰랐을 것 같습니다.
예전부터 임원들 등쌀에 나갈 생각이었는데 마땅한 집근처 직장이 없어서 그냥 다니는 중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우두유두
18/08/22 09:32
수정 아이콘
퇴사하시더라도 나갈길은 확보하고 움직이시길바래요
18/08/22 09:35
수정 아이콘
지금부터 남는 시간에 직무내용 정리해서 이직할 자료 만들면 되겠네요
18/08/22 09:35
수정 아이콘
음 본문을 보니 이미 강하게 퇴사 결심을 하신 거 같은데요? 퇴사 각오가 되있으시면 윗선에 모 아니면 도 식으로 강하게 어필하시면 될 듯 합니다. 저는 회사 나가면 더 좋은 회사 갈 자신이 없어서 그냥 감내하다보니 또 되긴 됩니다? 크크
도토루
18/08/22 09:37
수정 아이콘
충원은 안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보통 다른팀으로 전배시키면 전배시 충원 이야기가 나오죠)
업무를 다 받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어필하시고, 안되면 조용히 나갈 준비하시는게 맞겠네요
18/08/22 09:47
수정 아이콘
저는 그냥 업무 다 받고 티를 꽤나 내고 고평을 계속 받았습니다.
그런 형태의 보상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얼른 이직 준비하시길.
Maiev Shadowsong
18/08/22 09:57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에 한표
도토루
18/08/22 10:30
수정 아이콘
인정합니다.
티내는게 세상 제일 중요합니다.
18/08/22 10:08
수정 아이콘
답이란게 정해지지 않은 것이라서 시스템적인 제도에서, 결원이 발생하면 충원이 발생한다는걸 빼놓고 회사의 업무는 그 케이스가 한도 없이 많습니다.
인원의 나이, 학력, 경력, 성격, 성향 및 회사 내 기타 평판 등까지 전부 다 제각각이라 같은 케이스를 찾아낼 수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정답도 없고 답도 없습니다.

최근에 일 옮기면서 제일 고민했던 부분이 주/부의 전환수준으로 업무가 뒤바뀌면 그건 답이 없다였는데 그정도로 업무량이 뒤집히시는게 아니면 강하게 어필하셔도 큰 반향이 오기 어려울수도 있습니다.

기존 인원의 퇴사로 인해서 충원을 해야 할 상황에서 나간다고 이야기 하면 가지마 그러지마 나오는데, 현 상황에서 이런상황이면 나 갈랍니다 라고 하시면 부서배속 하셨던분 원위치로 다시 인사발령내고, 글쓴분 일을 나누는 형태로 전환할 수도 있습니다. 어차피 새로 일배워 키워야 할 직원이면 그 부서에서 신규채용하는 형태로 돌릴 확률이 더 크지 싶구요.

못하겠다 퇴사하겠다 말이 나왔을때 잡아야 한다 그만큼의 대우를 해줘야 한다라는 판단으로 가게 하려면 잃을게 없는 상황정도는 나와야 하는데 고용주가 아닌 고용인의 입장에선 잃을게 없는 상황 나오기가 참 어려운지라... 고민 잘 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라면 20%정도의 연봉인상을 고려해서 이야기는 꺼내볼수도 있겠지만 쉽사리 입을 열기는 어렵다고 생각되구요. 일단 2-3달정도 업무 받아서 해보고 난 뒤에 진짜 이게 아니다라는 상황이 나와야 이야기를 꺼내볼듯 합니다.
Suomi KP/-31
18/08/22 10:09
수정 아이콘
이미 스스로는 퇴사각 잡힌거 같은데... 다른 곳 미리 알아보시고 확정된 후에 이직하세요.
Bluelight
18/08/22 10:10
수정 아이콘
이직 준비를 마쳐둬야 윗선에 어필할때도 자신있게 강하게 말할 수 있을 거 같네요. 안되면 이직하면 되니까요.
18/08/22 10:20
수정 아이콘
1. 일단 원래 하던 일 (이하 일A) + 추가 되는 일 (이하 일B)을 두개 다 하면 힘들다고 생색부터 내며 팀장님과 상부에게 꼭 어필합니다. 괜히 눈치 보여서 팀장님한테만 말하고 상부한테는 얘기 안 하고 그러면 안 되요
2. 일단은 회사가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일 B를 받아서 하긴 하겠습니다라고 하세요. 이래야 행여나 이직을 하게 되어도 책임감 없이 튄다는 욕 안 먹습니다.
3. 대신에 딱 잘라 얘기 해야 되요. 받아서 하긴 하되 하루하루 일A + 일B를 100% 다 소화해서 처리하기는 어렵다.
원래는 하루하루 업무 진척이 일A 100%였다면 일A 50%, 일B 50%를 하겠다. 혹은 7:3 비율이 됐던 무슨 비율이 되었던 10 안에서 해결할 것이고
물리적인 추가근무는 하지 않겠다고 딱 잘라 얘기하세요
4. 여기서 회사의 대응을 보시면 됩니다.
아 그렇게 업무 부담이 커지는구나 1명 인원 충원해줄게 or 그사람 다시 복귀 시켜줄게 or 일B하기는 해줘 그러나 110% 이상의 업무처리를 요구하진 않을게 등의 긍정적인 대응이면 일단 생각해보시고
일을 한참 배워야 될 놈이 뭘 객기를 부려? 야근을 해서라도 해야지 or 원래 회사일이 그런거지 너만 생각하냐? 다른 사람은 안 힘든 줄 알아? 이런식으로 꼰대 멘트나 야부리 터는 멘트로 반박하면서 일A+일B를 110~120% 이상 소화하는 걸 요구하는 그런 부정적 대응이 나오면 이직 준비를 하셔야죠
파란무테
18/08/22 10:33
수정 아이콘
저는 16명이 일하는 부서에서.. 지금 4명나갔는데 인력충원이 없습니다......................
어떻게든 분배해서 일하고 있는데..... 이게 또 어떻게든 되니까... 난감하네요. ;;
페이가 좋아서 그냥 일하고 있습니다. 저는.
크림샴푸
18/08/22 10:41
수정 아이콘
몇가지 정보가 더 있었다면 확실하게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알려드리기 쉬웠을 텐데
단편적인 정보 뿐이어서 정확하진 않지만 작성자분께서 간과하시면 안되는 부분만 짚어 드리겠습니다.

회사의 대략적인 월이든 년이든 총매출액 순이익율 회사전체인원 을 안다면 지금 발생한 일이 우발적인지 계획적인지
앞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일인지 등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데 주신 정보로는 알수가 없네요.

다만 절대 팀장은 지금과 같은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서 모르지 않았습니다
절대로요. 본인이 아무리 아니라도 한다고 해도 말이 안됩니다. 무조건 팀장의 동의하에 그리고 심지어 팀장이 자신감을 표출 했기에
진행된 일임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단, 회사 직원이 20명이하라거나 연매출이 10억이하라거나 등의 사유라면
팀장이라는 사람도 모를 수 있습니다.

어쨌거나 어느정도 규모있는 회사일거라는 가정하에
팀장의 올해 성과는 뭘로 판단하겠습니까 아랫것들 얼마나 잘 쥐어짰느냐 입니다. 실적공유 영업조직 이 아닌다음에야
대표의 눈에 들게 얼마나 알뜰살뜰하게 저비용고효율 퍼포먼스를 잘냈느냐 인데 허수아비팀장이 아닌 다음에야
자기팀원을 아무런 댓가 보상도 없이 딴팀에 덜컥 뺐기면 인건비 감소로 효율성이야 높아지겠지만 벅찬 업무량으로 실적이 감소할수도 있고
리스크가 있는 선택일 수 있는데 저런 결정이 내려졌다..

팀장은 이런 결정이 위에서 내려올 것이라는 거를 100% 알고 있었고, 본인 또한 적극적으로 어필했을 확률 50% 이상일 것이다에 한표 던지고
1. 사람의 적응의 동물이라고 한계치까지 쪼다 보면 점점 한계치가 확장된다는 전통적인 꼰대마인드의 윗선이 그득한 직장환경
2. 글쓴 분 이외에 윗대가리들한테는 이번 일로 인력조정이 수월하게 진행된다면 확실한 보상을 약속받았다.
or 팀장 혹은 윗선도 니들이 할래, 아래 시킬래 협받을 당했다. 왜, 걍 갈구면 엥간하면 안나가고 하더라 가 이미 철저히 학습된 꼰대대표기 때문
3. 이런 일이 발생하리라는 것을, 직원들이 이런 불만과 불안감을 가질 것이라는 걸 모르면 그게 병신인데, 근데도 이런짓을 저질렀다.
과감히 말씀드리고 싶네요. 다니시는 곳이 100대 기업이 아니시라면 걍 퇴사하세요. 미래 없습니다.
사전에 이런 부분을 상담도 안하고, 의견도 안 묻고, 생각할 시간도 안주고, 결정적으로 보상에 대한 이야기가 일언 반구도 없고
그냥 사람 을 사람으로 안보는 조직입니다. 사람 = 생산설비 와 동일한 마인드를 가진 조직입니다.
10억넘는 생산설비의 오작동으로 직원이 다쳤고 다치면서 기계가 고장나서 새로 사야하는 일이 발생한다면 기계값을 더 아까워할 회사입니다.

도저히 포기할 수 없는 대단한 가치의 무언가가가 회사에 없다면
걍 다 수용하시고 당분간 힘드시겠지만 이직준비 서두르셔서 3개월안에 탈출 하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뭐 윗분들이 협상이네 어필이네 말씀해주셨지만
그렇게 해서 개선이 될거 였으면 애초에 아무런 전조없이 저런 결정을 하지 않습니다.
여지를 두지요. 구멍가게가 아니니까요. 아니면 팀장이 철저히 속였던지요.
아무것도 안해줄거니까 저런식으로 처리한 겁니다. 어떤 조치를 취하더라두요.
오래다닐 곳이 아니라고 과감히 말씀드리고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984 [질문] 조립PC 견적 메인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라울2494 18/08/26 2494
123983 [질문] 스포 안당하고 롤 아시안 게임 볼 방법이 있을까요? [2] 펠릭스-30세 무직2309 18/08/26 2309
123982 [질문] 꾸준히 검진받을 안과 추천 부탁드립니다 [4] lilyofthevalley1645 18/08/26 1645
123981 [질문] 아는 동생이 군대에서 30만원만 보내달라는데요... [48] char6126 18/08/25 6126
123979 [질문] 팬싸인회 가는 법이 궁금합니다. [7] 프로취미러8575 18/08/25 8575
123978 [질문] 정장구두는 원래 바닥이 딱딱한 것인지요...? [7] nexon4259 18/08/25 4259
123977 [질문] [프듀48] 한표를 가장 잘 쳐주는(?) 연습생은 누구인가요 [5] 유재석2094 18/08/25 2094
123976 [질문] 프듀 투표... 하루에 두번도 가능한가요? [3] 최석준1872 18/08/25 1872
123975 [질문] 집안에 둘 방향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5] 바보탱이3309 18/08/25 3309
123974 [질문] 동영상에 레이어를 추가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2] 산양1512 18/08/25 1512
123973 [질문] 롤 아시안게임 중계 어디 보실건가요? [18] 이비군3146 18/08/25 3146
123972 [질문] 유튜버가 쓴 안경테를 찾습니다. 어센틱1871 18/08/25 1871
123971 [질문] 2400g에 오래된 그래픽카드 달지말지 고민입니다. [7] azure.144342 18/08/25 4342
123970 [질문] 핸드폰 기기 변경후 카톡 대화가 날아갔습니다. [4] En Taro6027 18/08/25 6027
123969 [질문] 다량의 종이 없애는법 [3] 따루라라랑2447 18/08/25 2447
123968 [질문] 워드프레스 테마 관련 정보 얻을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3] 츤코레이더1187 18/08/25 1187
123967 [질문] 윈도우즈10 하드디스크 설치 방법 질문입니다. [4] 여명의설원1380 18/08/25 1380
123966 [질문] 해외여행 잘알러 분들에게 질문드립니다. [9] Mindow2428 18/08/25 2428
123965 [질문] 묘수풀이 연구소 초토화-3 드란 4/5 질문입니다 [3] 3.1415923007 18/08/25 3007
123964 [질문] [연애] 돌직구를 어떻게 던져요?? [24] 이명헌4926 18/08/25 4926
123963 [질문] 이런 경우는 주휴수당이 지급 되나요? [7] 플래너1851 18/08/25 1851
123962 [질문] 1050 중 그래픽카드 제조사 추천 부탁 드립니다 [6] 모나크모나크3420 18/08/25 3420
123961 [질문] 운동 루틴 및 식단 조언 부탁 드립니다. [4] deadbody1881 18/08/25 18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