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7/16 09:26:24
Name WOGUS88
Subject [질문] 산재처리 기준 방법 질문입니다.
저번달에 쇄골이 부러져 철심박고 현재는 팔보호대를 하며 근근히 회사에 나오고 있는데요.

다치게 된 이유는  출퇴근을 제가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데, 자전거로 퇴근 중에 길에서 넘어져 쇄골이 부러졌단 판정을 받았습니다.

저는 이게 산재라고는 생각을 안해봤는데 집에서나 주변에서나 출퇴근중에 발생한 일이니 산재처리 하라고 하는데요. 정말 이게 확실한지 의문이라서요.

괜히 확실하지도 않은데 알아봤다가 회사에서 한소리 듣겠다 싶기도 하고, 여튼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도들도들
18/07/16 09:42
수정 아이콘
산재 맞습니다. 올해부터 출퇴근재해도 산재 인정됩니다.
그런데 자동차 출퇴근 사고는 대체로 자동차보험이 커버해줘서, 실질적으로 혜택받게 된 영역 가운데 하나가 자전거 출퇴근 사고입니다.
산재신청에 사업주 동의 요건도 삭제된 것으로 알고 있으니, 신청서를 작성해서 보상절차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산재전문변호사의 도움이 필요하시면 쪽지 주시구요(아내가 산재전문변호사..).
18/07/16 09:4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신청서 작성하고 도움이 필요할 일이 생긴다면 따로 쪽지 드리겠습니다.
18/07/16 09: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회사에 묻기 전에 근로복지공단 대표번호로 문의하시거나 관할 근로복지공단에 먼저 상담 받아보세요.
회사에 산재 해 달라고 요청해도 근로복지공단에서 거절하면 그만이며, 산재 신청은 회사의 동의와 상관없이 직접 할 수도 있습니다. 회사에서 거절한다해도 본인이나 병원에서 산재 신청이 가능하며 근로복지공단에서 산재 해당 여부를 판단해 처리합니다.
저도 출퇴근 시 다칠 경우에도 산재 인정된다고 본 것 같긴한데, 확실한 건 근로복지공단 문의가 확실합니다.
그리고 산재 처리를 할 경우에는 아무래도 회사에서는 껄끄러워 할겁니다. 사업장내에서 업무 수행하다가 다쳐도 산재 처리보다는 공상 유도를 많이하며 산재는 정말 후유증이나 장애가 남는 등 1회 공상 처리로는 근로자와 합의가 도저히 불가할 경우에 산재 처리를 울며 겨자먹기로 합니다.
글쓴분 사고 같은 건은 회사 입장에서 굉장히 난감해 하고 글쓴분을 앞으로 껄끄럽게 대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계속해서 재직 하시려면 잘 판단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18/07/16 10:25
수정 아이콘
아 감사합니다. 회사에 묻기보단 저도 근로복지공단에 문의했었습니다. 가능하다는 답변도 받았구요.
다만 말씀하신대로 회사에서 좋게 보진 않을 것 같아 고민이 좀 되네요. 이쪽 업계가 좁기도 하고..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2401 [질문] 이번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어떻게 보세요? [21] 마르키아르2413 18/07/16 2413
122400 [질문] 연말 연초에 자동차 구매 프로모션 할인 폭이 큰가요? [4] wiggle3451 18/07/16 3451
122399 [질문] 외국 프로그램 중에 한국 여행하는 프로그램 [14] Part.33134 18/07/16 3134
122398 [질문] 워터밤 가보신분 계신가요? [2] LG우승1927 18/07/16 1927
122397 [질문] 서울 인근 찜질방(불가마) 추천 부탁드립니다. [1] Dr.덴마2536 18/07/16 2536
122396 [질문] 고정상여금액 최저임금 산입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오버액션토끼1684 18/07/16 1684
122395 [질문] 팔란티어: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 재미있나요? [36] 그리움 그 뒤3239 18/07/16 3239
122394 [질문] 아스콘 양생 기간이 얼마나 되죠? [5] Red Key9976 18/07/16 9976
122393 [질문] 산재처리 기준 방법 질문입니다. [4] WOGUS883599 18/07/16 3599
122392 [질문] 핸드폰을 주웠는데 어디로 갔다줘야하나요..? [8] 아기상어2924 18/07/16 2924
122391 [질문] 월드컵 결승전 다시보기 할 수 있는곳 질문입니다 [2] 0013619 18/07/16 3619
122390 [질문] 맥OS / 기계식 키보드와 호환문제가 있나요? [5] MaruNT3764 18/07/16 3764
122389 [질문] 이게 절도죄가 성립이되나요? [11] 정공법3726 18/07/16 3726
122388 [질문] 이럴 때도 역전골이라는 말을 쓸 수 있나요? [18] 본좌3415 18/07/16 3415
122387 [질문] iTunes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ㅠㅠ [2] Enigma1343 18/07/16 1343
122386 [질문] 명예훼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5] 삭제됨1862 18/07/16 1862
122385 [질문] 무선 충전기는 그냥 아무거나 사도 다 호환되는건가요? [4] Googlo3072 18/07/15 3072
122384 [질문] 쌩초보가 혼자 해외여행할만한곳? 있을까요?... [37] 콤바3722 18/07/15 3722
122383 [질문] 가평 15명이 갈 만한 펜션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낙화2554 18/07/15 2554
122382 [질문] 추억의 쯔꾸르 게임 하나를 찾고 있습니다. [4] 화이트데이2231 18/07/15 2231
122381 [질문] 스타1에서 종족 고르기 질문입니다 [2] 틀림과 다름2383 18/07/15 2383
122380 [질문] 괜찮은 사람이 연애를 오래 안하고 있다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43] 미라클신화12661 18/07/15 12661
122379 [질문] 빠빠오 세대와 선라이트 세대...? [9] 비싼치킨3155 18/07/15 315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