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6/18 14:40:08
Name Part.3
Subject [질문] 대기권 밖으로 물건을 날려버리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
무슨 구글 입사시험문제같은 질문이지만
오유에서 '우주장' 이라는 짤을 봐서 급궁금해져버렸네요
- 유골함을 소형 캡슐에 담아서 쏘아올려서 지구주위를 돌게 만드는 장례식?

1. 아무튼간 작은 물체를(예를들면 축구공 무게정도?) 지구주위를 뱅뱅 돌게만드는게 목표일 경우 가장 돈이 적게들고 개인이 실현 가능한 방법이 무엇일까요? (열기구라던지.. 열기구라던지..;)
2. 개인이 심심해서 우주에다 자꾸 물건던지고 저러는거(가능하다면) 불법인가요? 위법이라면 어디에 허가를 받아야 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18/06/18 14:44
수정 아이콘
그냥 위로 올라갔다가 내려오는게 아니라 일정시간 이상 지구 주위를 제대로 돌게하려면 로켓을 사용하지않는한 불가능하죠.
https://ko.wikipedia.org/wiki/%ED%83%88%EC%B6%9C_%EC%86%8D%EB%8F%84
18/06/18 14:48
수정 아이콘
음 그럼 로켓을 가장 경제적으로 만드는 방법?이라고 질문을 다시해야겠네요;
세츠나
18/06/18 14:53
수정 아이콘
음...탈출속도 또는 우주속도 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이 속도에 도달하지 못하면 모든 물체는 결국 중력 때문에 추락합니다.
열기구는 천천히 계속 상승하니까 어쩌면...? 하고 상상하신 그 이유는 짐작이 갑니다만 아무리 열기구를 데워도 진공보다는 무겁죠.
공기도 중력의 영향으로 지구에 붙어있는거라 위로 갈수록 희박해지다가 결국 진공에 가까워지거든요. 결국 속도가 필요합니다.
18/06/18 15: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탈출 속도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추력이 존재하고 꾸준히 물체를 밀어올려준다면 추락하지 않고 우주로 갈 수 있습니다.

저도 탈출 속도에 대해 [탈출 속도에 도달하지 못하면 지구를 벗어나지 못하는거구나!] 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어서, 우와, 그럼 로켓이 1초에 11.2킬로미터나 갈 수 있는건가? 정말 빠르구나..!! 라고 생각한 적이 있지만 지금은 그게 현대 과학 기술력으로는 불가능한 속도라고만 알고 있어요.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전투기가 1초에 약 3.3km를 가더라구요. 지구 탈출 속도인 11.2km/s는 현재로선 불가능..
세츠나
18/06/18 16:22
수정 아이콘
저도 써놓고보니 좀 찝찝했는데 이 말씀이 맞네요.
Lord Be Goja
18/06/18 17: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런데 전투기는 원래 대륙간 탄도미사일같은거에 비하면 많이 느릴거에요.전투기의 마하 3정도는 애프커버너와 중력을 이용할때만 나오는데(오래못감) icbm은 순항중 초속 7키로이상이더군요
18/06/18 17:31
수정 아이콘
아 그렇죠! 무인을 가정하면 더 빠를수도 있겠네요! 애초에 ICBM도 로켓 기반이고... 왜 유인만 생각했지(..)
.
.
.
순항중인 초속 7km 찍는 ICBM에 타고 있는 사람은 어떤 기분일까요?
프로피씨아
18/06/18 17:33
수정 아이콘
이미 가속시점에 기절해서 생각 없겠죠(...)
Lord Be Goja
18/06/18 17:38
수정 아이콘
재돌입중에 초속 9에서 11키로 정도 찍는다는걸 상상할때 이미 자살했다고합니다
지나가다...
18/06/18 15:01
수정 아이콘
대기권 밖으로 나가려면 중력을 벗어나야 하기 때문에 딱히 경제적인 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로켓 만들어야 해요.
정지연
18/06/18 15:09
수정 아이콘
XTM의 F학점 공대형에 나온 공대형이 개인 인공위성 띄운걸로 알려진 사람인데 1억인가 들었다고 하더라고요..
그렇구만
18/06/18 16:42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 생각했을땐 이 방법이 제일 경제적이죠. 다른 로켓위성에 꼽사리 끼기..
NoGainNoPain
18/06/18 15:37
수정 아이콘
요즘 발사체는 위성 하나만 쏘는게 아니라 여러 개를 우주공간에 올리기 때문에 거기다가 돈내고 맡기는게 젤 쌀 겁니다.
말년행보관
18/06/18 15:42
수정 아이콘
https://en.wikipedia.org/wiki/Skyhook_(structure) 쥐불놀이 하고있는 저고도 위성(돌아가는 갈고리)하나 만드는 아이디어까지 나왔어요.
앙겔루스 노부스
18/06/18 16:19
수정 아이콘
지구에서는 매스 드라이버 사용 못하나요. 옛날 후세인이 생전에 바빌론 포로 포격으로 인공위성 올릴 생각도 하고 그랬다던디.

정교하게 계산하여 위치시켜야 하는 게 아니라면, 포격으로도 가능할 거 같은데 말이죠
앙겔루스 노부스
18/06/18 16:20
수정 아이콘
분명한건 롸킷이 되었든 포격이 되었든 개인차원에서 가능한 방법은 지금 단계에선 분명히 없을 듯.
18/06/18 16:37
수정 아이콘
아 UFO는 쉽게쉽게 가던뎅
https://blog.naver.com/jjy0501/100088902512
좀 된 블로근데, 로켓 없이 우주가는 다양한 방법이 자세하게 적혀있네요!
간바레
18/06/18 17:31
수정 아이콘
로켓 날릴때 몰래 들어가서 3m 테이프로 붙이면 됩니다!
회전목마
18/06/18 22:33
수정 아이콘
3m는 좀 짧지 않나요?
프로피씨아
18/06/18 17:32
수정 아이콘
쥘 베른의 지구에서 달까지를 보면 땅을 파서 포신을 만들고 거대한 대포로 포탄을 날리는 내용이 있는데... 로켓이 쌀 것 같은 느낌이 들긴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354 [질문] 티비 수신기 사야 하나요?? [5] La La Land2042 18/06/18 2042
121353 [질문] 동사무소 직원 조치 안되나여 [29] 삭제됨5321 18/06/18 5321
121352 [질문] led등 색깔교체는 어떻게 해야되나요?? [3] 씨케이2742 18/06/18 2742
121351 [질문] 학색용 오토캐드가 활성화가 안됩니다.. [2] 사는게젤힘드러1940 18/06/18 1940
121350 [질문] 와우 wow 날탈 질문입니다. [6] 혼돈과카오스2563 18/06/18 2563
121348 [질문] 미국 두달 출장가는데.. 특히 가져갈만하거나 알아둘점 있을까요? [14] 삭제됨3041 18/06/18 3041
121347 [질문] 대기권 밖으로 물건을 날려버리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 [22] Part.33838 18/06/18 3838
121346 [질문] 고프로 히어로 2018 어떤가요?!+샤오미 4k [1] Practice2659 18/06/18 2659
121345 [질문] 크레용팝의 "빠빠빠" vs 모모랜드의 "뿜뿜" [19] possible3840 18/06/18 3840
121344 [질문] 강남쪽에 월드컵 시청할수있는곳이있을까요? [2] 큐브큐브1977 18/06/18 1977
121343 [질문] 엔화 어떤가요? 오를까요? [8] 링크의전설2462 18/06/18 2462
121342 [질문] 젠더권력이라는게 진짜 있을까요? [37] 슈로더5413 18/06/18 5413
121341 [질문] 남자 얼굴에 미백효과 있는 괜찮은 제품 있을까요? [15] 레너블4097 18/06/18 4097
121340 [질문] 이순신 해전 연구의 대가? [2] 오토나시 쿄코1929 18/06/18 1929
121338 [질문] 인스타그램 본문 내용에 링크주소 남기기 [1] Part.32818 18/06/18 2818
121337 [질문] 티셔츠 종류 많은 오프라인 매장? [6] 세츠나2528 18/06/18 2528
121336 [질문] 48개월 이하 어린이 극장 무료 관람에 관한 문의드립니다 [31] 설탕가루인형형3774 18/06/18 3774
121335 [질문] 컴퓨터 조립 견적 체크 부탁드립니다 [8] 지포스23151 18/06/18 3151
121334 [질문] 미국에서 월드컵 시청방법 질문입니다 [7] 세인트루이스3372 18/06/18 3372
121333 [질문] 보풀 잘 일어나는 여름 폴로,카라티 피하는 법? [8] Rebirth3700 18/06/18 3700
121331 [질문] net framework 오류? 질문입니다. [5] MaGatzz9316 18/06/18 9316
121330 [질문] 다큐멘터리 보며 생긴 의문입니다. [1] fhbtyjs1945 18/06/18 1945
121329 [질문] 라이프 온 마스 고아성 연기.. [3] 유리한4084 18/06/17 40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