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6/17 21:48:23
Name 로고프스키
Subject [질문] 빙하기에도 인류는 이젠 충분히 버틸 수 있지 않나요?
프로스트 펑크라고 갑작스런 추위로 인해 문명이 무너지고 소수 인구가 살아남기 위해

애쓰는 아포칼립스 게임을 보고 문득 든 생각인데요.

현대 인류 과학 수준이면 이젠 설국열차나 프로스트 펑크 같은 초빙하기가 도래해도

원자력 발전도 있고 식량도 배양육이라던가, 수직형 농장 등으로 충분히 생산 가능해서

물론 많이 죽기야하겠지만 문명이 무너지는 수준으로까지 망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6/17 21:58
수정 아이콘
전문적인 답변이야 제가 깜냥이 안되서 힘들고 단순히 느낌적인 느낌의 개인생각입니다.

전 '갑자기' 재난이 찾아오는 조건이라면 문명이 퇴보할 가능성도 상당하다고 봅니다.
현대문명이라는게 일정시기부터 '적' 이라던지 '고난'이라던지 하는걸 상정을 안 한상태에서 최고효율을 뽑고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실제로 지구적인 단위로 보면 외부적인 요인이 큰 변수가 된 적도 오랫동안 없었고

그래서 증권시장이라던지, 세계의 물류나 경제 등 모든면에서 위험할정도로 촘촘하고 세밀하게 연결되어있다고 느껴요. 어느 한쪽이 무너지면 반대쪽도 무너지는..물론 지금까지 그렇게 해도 무너지지 않을만큼 변수가 없었기에 그게 가장 효율적이었던거지만, 실제로 그런 변인이 발생했을때 우리가 느끼는 재난의 정도에 비해서 실제로 지구적인 영향력은 더 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네요. 위에서 말한 빙하기에 맞는 효율적인 식량생산체제등도 당연히 현대문명은 이를 구현할 능력이 있지만, 갑자기 찾아온 재난으로 지구적인 시스템이 마비되었을때도 그게 가능한가? 하면 잘 모르겠네요. 시스템 자체가 폭삭 가라앉을수도 있다고 봐요.
바카스
18/06/18 00:13
수정 아이콘
당장 지구 연평균 기온이 1도만 올라도 요동치고 그로 인해 영향 받는게 얼마나 많은데, 급빙하기라면 대부분의 전자기기들부터 먹통이 걸릴 겁니다만, 부유층은 영향 없겠죠.
18/06/18 10:41
수정 아이콘
아뇨...몇도 낮아지면 확 쇠퇴할거고 거기서 더 낮아지면 멸종걱정해야할거 같은데요.
브라이언
18/06/18 11:32
수정 아이콘
전기, 수도물부터 끊길텐데... 생존 걱정해야될꺼 같은데요
물론 힘있는 상류층은 다를수 있겠지요
18/06/18 13:01
수정 아이콘
문명의 규모를 어느정도로 잡고 말하느냐하면.... 지역에 따라 없어지는 문명은 분명 생길 것이구요.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의 총량이 비슷하다면, 공부하고 즐기고 발전하는데 쓸 수 있던 에너지를 생존하는데 써야하니 문명의 발전 속도는 느려지겠지요.
ioi(아이오아이)
18/06/18 13:22
수정 아이콘
빙하기를 지금 문명을 유지하면서 버티는 거는 당연히 불가능하구요

설국열차나 프로스트 펑크 수준으로 유지하는 건 가능하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1341 [질문] 남자 얼굴에 미백효과 있는 괜찮은 제품 있을까요? [15] 레너블4185 18/06/18 4185
121340 [질문] 이순신 해전 연구의 대가? [2] 오토나시 쿄코1957 18/06/18 1957
121338 [질문] 인스타그램 본문 내용에 링크주소 남기기 [1] Part.32915 18/06/18 2915
121337 [질문] 티셔츠 종류 많은 오프라인 매장? [6] 세츠나2569 18/06/18 2569
121336 [질문] 48개월 이하 어린이 극장 무료 관람에 관한 문의드립니다 [31] 설탕가루인형형3877 18/06/18 3877
121335 [질문] 컴퓨터 조립 견적 체크 부탁드립니다 [8] 지포스23198 18/06/18 3198
121334 [질문] 미국에서 월드컵 시청방법 질문입니다 [7] 세인트루이스3483 18/06/18 3483
121333 [질문] 보풀 잘 일어나는 여름 폴로,카라티 피하는 법? [8] Rebirth3752 18/06/18 3752
121331 [질문] net framework 오류? 질문입니다. [5] MaGatzz9363 18/06/18 9363
121330 [질문] 다큐멘터리 보며 생긴 의문입니다. [1] fhbtyjs1970 18/06/18 1970
121329 [질문] 라이프 온 마스 고아성 연기.. [3] 유리한4099 18/06/17 4099
121328 [질문] 직장인 토익 500점.... [10] mourinjun6527 18/06/17 6527
121327 [질문] 롤챔스 등장했던 챔프들 정리해놓은 사이트 있나요? [2] johann2066 18/06/17 2066
121326 [질문] 안녕하세요, 개 행동 질문입니다 [3] 등산매니아1516 18/06/17 1516
121325 [질문] 여자친구가 남자사람친구를 만나러 가는 것이 너무 싫습니다. [55] 삭제됨14575 18/06/17 14575
121324 [질문] 독일뮌헨쪽 투숙할만한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Lancer1336 18/06/17 1336
121323 [질문] 빙하기에도 인류는 이젠 충분히 버틸 수 있지 않나요? [6] 로고프스키2892 18/06/17 2892
121322 [질문] 왜 suv는 디젤이 가솔린보다 인기가 좋은건가요??? [9] 光海3555 18/06/17 3555
121321 [질문] 아이폰8+ 와 갤럭시s9+평가가 어떤가요? [14] DUCATI2779 18/06/17 2779
121320 [질문] lchf관련 질문드립니다. 지방 섭취량에 대해서 [6] 바알키리1808 18/06/17 1808
121319 [질문] 해외에서 국내 인터넷뱅킹 질문입니다. 교자만두1760 18/06/17 1760
121318 [질문] 요새 수입맥주 4캔 행사 마트나 편의점 비슷하나요?? [6] 히페리온2782 18/06/17 2782
121317 [질문] 스타리마스터 관련 질문입니다. [1] 고피디1876 18/06/17 18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