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6/04 16:18
질문의 의도를 잘 모르겠지만...전환량과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기술은 수도없이 많습니다. 당장 전기분해만 시켜도 수소와 산소가 되죠
18/06/04 16:28
과학적 지식이 전무해서 정확한 의도의 질문을 못 던졌네요. 문송합니다.ㅜㅜ
해수면 상승 시 25퍼의 생물이 생존의 위협을 받고 도쿄, 뉴욕이 침수 된다는 글을 보고나니 단순히 방법이 없나 싶어서 궁금했습니다. 의도적으로 조절하면 또 다른 문제가 일어나긴 하겠지만 그래도 일단 잠기는 것보딘 낫지 않나 싶은 단순한 호기심입니다.
18/06/04 16:55
기온상승>>바다수위 상승이라.. 바닷물 양을 줄이면 기온 상승이 더 높아질 것 같은 느낌인데요. 물양이 적으니 더 빨리 끓어오를태고..
18/06/04 17:02
저도 그렇다고 생각은 하지만 막상 주요 시설이 다 있는 도시들이 다 침수 된다면 과연 기온 상승이 무서워서 인류가 바라만 봐야하나 싶은 생각도 들어서 질문했습니다. 또 그런 부분들은 덮어두고 대기의 순환이 안 이루어지면서 대량의 물을 해결할 방법들이 무엇이 있는지도 궁금했어요.
18/06/04 17:25
바닷물을 냉각시켜요. 그러면 해수면이 내려갈걸요. 그 양이 무지막지하지만 바닷물을 어딘가에 버리든 분해하든 그 양도 어마마하니 비슷한 에너지가 들어갈듯
18/06/04 22:03
네. 그러니까 바닷물도 고체화시 부피가 늘지 않나요? 제가 유진바보님의 답변에 이해를 하지 못해서.. 냉각 시킬 시 해수면이 내려가나요?
18/06/04 23:03
물이 얼면서 늘어나는 부피만큼 해수면 위로 솟아나기 떄문에 결국 해수면에 변화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 얼음덩어리를 고체상태로 유지시키며 육지로 올리면 해수면을 내릴 수 있겠지요. 당연히 해수면을 내릴 수 있을 정도의 유의미한 양이 되려면 엄청난 양이 되겠지요. 그걸 어떻게 하느냐와 가능하겠느냐는... 아시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