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5/31 14:16:51
Name 파핀폐인
Subject [질문] 수학 사고력에 대해 궁금합니다 (수정됨)
자게에 있는 글을 읽고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제 기준인 13학번으로 질문드리면 수능 수리영역 30문제중, 21번 그리고 29,30이 꽤 어려웠던걸로 기억하거든요.

기본적으로 괴상한 도형이 나오고 문제 지문도 길고 쉽게 풀리지 않는, 즉 변별력 문제라고 볼 수 있겠는데,

이런 문제들도 수학 못하는 학생들이 노력을 하면 결국 다 풀수 있나요?

제가 학창시절때 노력으론 안되는게 없다라는 주의여서 진짜 피나게 공부하는 타입이였는데, 결국 수리의 벽은 뚫지 못해서 답답해했었는데요..
저같은 경우는 전혀 풀이의 길이 보이지 않아 혼자 10분정도 고민하다가 답을 보면 전혀 생각지도 못한 방향으로 풀이가 되어있어 답을 보고도 "아..이건 절대 혼자 못 풀었겠다" 싶은 경우가 7할은 되었던 것 같아요..

보통 수학쪽으로 약한 친구들에게 어떠한 깨우침(?)을 주기 위해서 어떤식으로 가르치시는지, 혹은 학생들이 공부해야 하는지가 급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살려는드림
18/05/31 14:21
수정 아이콘
수학 못하는 학생의 범주가 정말 밑바닥이라면.. 저는 못풀지 않을까 해요
정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도 안되는 친구를 여럿 봤던 기억이 납니다
18/05/31 14: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문과기준이냐, 이과기준이냐에 따라 다를겁니다.
문과는 노력으로 가능 하다고보구요.. 100점은 몰라도 1등급까지는...
어느정도 학습능력이 된다고 할때, 뭐 다른과목들은 1-2등급 나오는데 수학만 4,5등급이라던가..
그런경우는 노력부족이라고 봐야하지않나 싶습니다..
지금 국어나 과탐도 사고력 없이는 고득점 절대 못받습니다... 과목수 줄면서 지옥이 되었거든요.
수학은 시간 내에라도 다 풀 수 있지... 과탐은.. 시간내에도 못풀정도입니다.

이과기준으로 가장 어려운문제도 어느정도 학습을 통해 개선이 된다고봅니다. 수능에서 무슨 독창성같은걸 요구하는건 절대 아니고,
새로운 문제라고해도 결국 기존 문제 풀이 틀 안에서 푸는 문제가 많아요. 단지 그걸 새로 포장해놔서 방법을 못찾을수가 있는것뿐이죠.
그래서 어려운문제 많이 풀고, 생각 많이 하고 하면 많이 개선이 된다고봅니다

단, 그것도 어느정도 재능이 받쳐줄경우 얘기고, 순수 노력만 가지고 1등급 받을 수 있다는건 거짓말이라봅니다.
이건 고액과외받고 학원 오래다니고 공부 오래한다고 해결되는문제는 아닌거같구요...

13년도도 이과생 수가 얼마 안될땐데 노력해도 결과가 안나오는건 어쩔수 없는거라봅니다.
시험은 상대평가인거고.. 표본집단 자체가 잘하는 학생들이 많이 몰려있고..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최상위권 제일 머리좋은학생들이 워낙 많아서...
그냥 하는데까지 노력해보는거지요.. 결과는 끝까지 모른다는 생각으로 해야하는것 아니겠습니까...
만년실버
18/05/31 15:56
수정 아이콘
노력으로 안되는건 없습니다. 다되요. 그럴려면 모든 유형을 알고있어야합니다. 사전에서 영어찾듯이 어려운문제를 풀때는
내가 아는 유형중에 어떤게 맞는지 맞출줄알아야되거든요.
그래서 먼저 모든유형을 익히고 그걸 문제에 적용시키는걸 연습하면되요.
세종머앟괴꺼솟
18/05/31 18:10
수정 아이콘
생각할 수 있는 패턴을 다 긁어모아서 익히면 노력으로도 되겠죠. 세상 문제들이 무한이 아닌 이상..
신공표
18/05/31 19:33
수정 아이콘
저는 노력으로는 안된다고 봅니다.
한 10년 전쯤이려나요. 수십년간 수학 강사 해오셨고 본인 학창시절에도 공부를 굉장히 잘했던
유명 수학강사 조차도(아마 박승동이었지 싶네요), 인생을 결정하는 시험장에서 뭐가 나올 지 모르는 상태로 고난이도 문제를 맞닥뜨려
주어진 시간 내에 100이면 100 풀어내는 건 본인 조차도 장담하기 어렵다고 한 적이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0705 [질문] 20년 가까이 된 아파트에서 부실시공이 발견되면 보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 [4] 톨기스3389 18/05/31 3389
120704 [질문] 최저임금 산입 관련 질문 [2] 삭제됨2605 18/05/31 2605
120703 [질문] 프라하 여행 질문 [10] Magicien2809 18/05/31 2809
120702 [질문] 노트북 분해 질문입니다. [3] 삭제됨2523 18/05/31 2523
120701 [질문] 사무실에서 쓸 무선 키보드/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탄산맨6681 18/05/31 6681
120700 [질문] 디아블로 스토리는 완결된건가요? [10] 감성이 용규어깨3401 18/05/31 3401
120699 [질문] 정수기 렌탈 하려고 하는데요~ [3] 파란샤프4148 18/05/31 4148
120698 [질문] 사이드 미러 접촉 사고 질문입니다. [5] 하카세4853 18/05/31 4853
120697 [질문] 경구용 약과 정맥주사용 약품은 다른건가요? [7] 블루레인코트2157 18/05/31 2157
120696 [질문] LCHF 관련 질문드립니다. (지방섭취량?) [8] Qtum2578 18/05/31 2578
120695 [질문] 허리/무릎이 아픕니다... [10] Aquaris2800 18/05/31 2800
120694 [질문]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축구하기 [1] BISANG2760 18/05/31 2760
120693 [질문] [여행] 남자 혼자 여행가기 좋은 곳 추천 부탁드려요! [5] 파란토마토5138 18/05/31 5138
120692 [질문] 수학 사고력에 대해 궁금합니다 [5] 파핀폐인2496 18/05/31 2496
120691 [질문] 자바 스윙 패스워드필드를 넣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될까요?? [8] Unknown Verses2681 18/05/31 2681
120690 [질문] kt 무제한 요금제 데이터쉐어링 관련 궁금합니다. [1] 귀여운호랑이2454 18/05/31 2454
120689 [질문] 양양 서핑 질문입니다. [2] 한량기질2247 18/05/31 2247
120688 [질문] 택배비 환불관련 질문입니다. [5] Ha.록2155 18/05/31 2155
120687 [질문] 차량용품을 사야할거 같은데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질문 [12] 지수2926 18/05/31 2926
120686 [질문] 타이어 렌탈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후왕2757 18/05/31 2757
120685 [삭제예정] 유부남 선배님들 조언부탁드립니다.(내용추가) [31] 원스6847 18/05/31 6847
120684 [질문] 시계 가죽줄에서 메탈줄 교환해보신분 있으신가요? [2] vigorian 2126 18/05/31 2126
120683 [질문] 알뜰폰에서 알뜰폰 변경이 가능한가요? [4] 동네꼬마2178 18/05/31 21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