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5/04 09:40
상식인가는 모르겠지만 일단 저는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무슨 동물인지 머릿속으로 똘기떵이 하면서 무슨 동물이었는지 생각합니다...
18/05/04 09:58
상식의 영역은 아니지만, 꾸러기 수비대를 본 세대면 대부분 똘기 떵이~로는 외워두고 있어서...
(이 세대의 특징 - 꾸러기 수비대 오프닝 가사를 안 읊으면 매치를 못시킴;;) 꾸러기 수비대 영상-가사 정도는 기억을 해두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18/05/04 10:05
똘기 떵이... 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모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그냥 쥐 소 호랑이 토끼... 이런 식으로 외우는 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저도 꾸러기 수비대 아니었으면 못 외웠을 듯..
18/05/04 10:05
상식은 아니지만, 관련한 컨탠츠가 꽤 많지 않나요? 모르면 아쉬울 듯 한데.
사실 외워두면 12지보다 10간이 더 유용합니다. 12지는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이고, 10간은 갑을병정무 기경신임계인데요. 10간을 외울 때 저 순서가 아니라 [신임계갑을 병정무기경]으로 외워두는 거죠. 그럼 연도이름이 붙은 역사적 사건이 있던 연도의 '끝자리'는 알게 됩니다. 예를들어, 임진왜란은 XXX2년, 정유재란은 XXX7년인거죠. 이것만 알아도, 임진왜란 5년 후에 정유재란이 있었다는 걸 알 수 있게 됩니다. [신임계갑을 병정무기경] 외워두세요. 은근 유용합니다. 사실 전 [신임계 갑을병정 무기경]으로 외우기는 합니다. 갑을병정이 워낙 유명하다보니.
18/05/04 10:16
요즘처럼 스마트폰만 있으면 15초정도면 다 검색되는 세상에서 상식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자기 전문분야의 문제해결에는 암기와 숙련이 필요하지 12간지같은거 몰라도 된다 봅니다 어른들이야 나이물어볼때 띠가 어떻게되시나 묻기도하지만 요즘세대는 점점 나이물어보는 자체가 실례처럼 여겨지기도하고 쓸데없는것같아요
18/05/04 12:14
개인적으로 상식의 범주를 넓게 잡는 편인데, 이건 모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에토레인저 KBS 방영 안했으면 못 외우는 사람이 더 많았을 거라고 봐요. 비슷한 예로 60갑자의 나머지 축인 갑을병정의 경우 계까지 다 기억하는 사람이 적을 테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