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4/25 19:44:06
Name 설사왕
Subject [질문] 양도소득세 관련

안녕하세요.

양도소득세 관련 질문이 좀 있어서요.
제가 2006년에 부모님으로부터 주택(서울)을 증여받았습니다.(약 6억)
2017년 말에 그 집을 팔고 현재 부모님 집(경기도)에 같이 살고 있습니다.

전 서울집에 주소지가 있다고 생각을 해서 당연히 1세대 1주택의 비과세 혜택을 받을거라고 생각을 했는데요,
최근에 알고 보니 제 주소지가 2010년 이후로 부모님집으로 되어 있는 겁니다.(부모님 집은 아버지가 세대주로 되어 있음)
알고 보니 2010년에 서울의 제 주소지를 어머니께서 부모님집으로 바꾼것 같습니다.
어머님은 그 이유는 커녕 바꾼 것 자체를 기억을 못 하시더군요.(그런데 바꿀 만한 사람이 어머니밖에 없습니다)

이러면 1세대 2주택이 되어서 비과세 혜택을 못 받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부모님이 워낙 연세가 많고(80세 이상) 아픈 데가 많아서 (아버님은 휠체어로만 이동 가능하며 오전 도우미 사용, 어머님도 오래 못 걸음)
제가 몇 년동안(4, 5년 정도) 1주일 기준으로 서울집에 1,2일 부모님집에 5,6일 정도 머물면서 부모님 병간호를 했습니다.(저녁만)

그런데 알아 보니 노부모 봉양의 경우 1세대 2주택임에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문제는 노부모 봉양 후 5년 이내로 주택을 매매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부모님을 봉양했다는 것과 봉양의 시작점을 어떻게 증빙해야 하는지요?

찝찝한 건 제가 2010년에 부모님집으로 주소지 이전이 되어 있어서 마치 2010년에 부모님 봉양건이 발생한 것처럼 보인다는 겁니다.
이러면 5년 이후에 집을 팔았기 때문에 비과세 혜택을 못 받을 것 같아서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4/25 23:11
수정 아이콘
혼자서 해결하려 하지말고 세무사를 찾아가시는 걸 권합니다.
세법은 세세한 부분에서 매년 변경되고 또 비슷한 사안도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법적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지금 사안은 세무사와 상담하시고 절세방안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설사왕
18/04/25 23:14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안 그래도 세무사를 찾아 뵐건데 그 전에 혹시나 해서 올렸네요.
18/04/26 00:33
수정 아이콘
일단 제시된 글내용만 가지고 판단하자면, 실제 사실관계가 어떠하든 2010년에 질문자분의 주소지가 부모님 댁으로 이전된 시점부터 동거봉양을 한 것으로 보는 것이 원칙이므로, 소득세법 시행령 제155조 제4항에 따라 직계존속과 세대를 합친 날부터 5년 이내에 양도하는 주택은 이를 1세대 1주택으로 보게 됩니다. (2017년 말에 서울 집을 양도하셨다고 하였으므로 당시 시행되고 있던 소득세법 시행령을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2010년부터 동거봉양을 한 것으로 계산하면 7년 이상이 경과한 후에 서울 집을 양도하였으므로 1세대 1주택으로 인정받지 못할 것입니다. 다만, 2010년에 발생한 질문자분의 주민등록 이전이 본인 의사가 아님을 다투거나 혹은 주민등록만 이전되었을 뿐 실질적인 동거봉양은 2013년 이후부터임을 주장하고(물론 증명도 해야함) 조세쟁송을 할 여지는 있다고 보여집니다.

이상 저의 의견이었고, 구체적인 사항은 세무사와 상의해보시기 바랍니다.
18/04/26 00:39
수정 아이콘
서울집을 좀 늦게 팔아서 최근에 개정된 소득세법 시행령을 적용받았다면 동거봉양 시작 후 10년까지 1세대 1주택 효과를 받을 수 있었을 텐데 불과 며칠 일찍 파는 바람에 양도소득세를 많이 부담해야 할 수 있는 상황에 빠져서 안타깝네요. 그래서 양도/상속/증여 등은 항상 세무 전문가와 사전상담을 해보셔야 합니다.
18/04/26 01: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거래 전에 상담 하셨으면 좋았을텐데 복잡하게 되셨네요. 가령 주소는 양도일 현재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거래 전에만 다시 변경하셨어도 1세대 1주택 요건에 해당하셨을 거에요. 올해부턴 직계존속 동거봉양은 세대를 합친 날부터 10년 이내 먼저 양도로 바뀌었기 때문에, 기간 면에서도 넉넉하셨을 것 같고요. 둘 다 소급 적용은 안되기 때문에 이미 지나간 일이네요.

다만 조세불복을 통해 배우자 여부, 독립된 세대 유지가 가능한 일정 수준의 소득, 실제 거소 사실 등으로 그 생계를 달리 했다는 점 등을 증명하시면, 1세대 요건이 성립할 거 같은데 이 방향으로 문의해보세요. 동거봉양 역시 이전에 각각 1세대 요건이 성립해야 합칠 수 있는 것이니, 1세대를 증명하는 것이 선행되야 할 거 같아요. 자세한건 근처 세무사 분을 찾아가셔서 상담받으시는게 좋겠네요.
설사왕
18/04/26 01:29
수정 아이콘
의견들 감사합니다. 일단 주소지 확인을 못한 저한테 책임이 있겠지요.
조세불복을 하면 가능성이 있을까요? 일단 말씀하신대로 세무사와 상담해 보려구요.
18/04/26 17: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1세대의 구성 요건은 배우자 존재를 첫번째 요건으로 하고, 배우자가 없더라도 연령이 30세 이상에 최저생계비 이상의 소득과 소유하고 있는 주택 토지가 있고, 독립된 생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증명하면 인용되는 경우가 많네요. 국세법령정보시스템에서 질의/판례의 양도소득세 란에 심사/심판청구에서 1세대로 검색하셔서, 인용/기각으로 구분해서 보시면 현실적으로 어떤지 금방 보이세요. 기각 사례 보면 20대부터, 보유/거주기간까지 터무니 없는 경우가 수두룩 해서요. 아직 공부하는 입장에서도 가능해 보이는거 보면, 세무사 입장에선 당연히 불복을 권유하지 싶네요.

이의신청은 처분을 안 날(고지서 받으신 날)로부터 90일 이내까지 제기하셔야 하기 때문에, 너무 늦기 전에 가보세요. 법리 문제가 없고 자료 증빙만 하면 되서 아마 빠른 결과는 얻으실 수 있을거에요. 혹시 상담 결과가 나오면 과정과 결과가 저도 궁금하네요.
설사왕
18/05/02 03:41
수정 아이콘
늦게 확인했네요. 감사합니다.
정말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일단 세무사 상담은 받았습니다. 어떻게 될 지 모르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9147 [질문] 엑셀 이런 기능도 가능한지 질문입니다. [12] 김철(33세,무적)3261 18/04/26 3261
119146 [질문] 영어 동요 제목 좀 알려주세요 [2] 비싼치킨4843 18/04/26 4843
119145 [질문] 윈도우에 prores 코덱 어떻게 깔아야하나요? [6] 신전부수기6799 18/04/26 6799
119144 [질문] 제주도 오토바이 렌탈후 여행 질문 [9] 수정2894 18/04/26 2894
119143 [질문] 노트북 트리플 모니터를 구성하려면 듀얼 디스플레이 컨버터가 있어야 하나요? [2] TheLasid4748 18/04/26 4748
119142 [질문] 게임게시판의 말머리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4] 흐름을잡다1927 18/04/26 1927
119141 [질문] [스포] 인피니티워 노래 질문 드립니다. [2] 네오바람3891 18/04/26 3891
119140 [질문] [스포주의]마블세계관&어벤져스영화관련 질문있습니다! 첫줄부터스포 [4] Neoguri3296 18/04/26 3296
119139 [질문] 인피니티 워 보려면 꼭 봐야할 전작이 뭐가있나요? [13] 홉스로크루소4783 18/04/26 4783
119137 [질문] [스포] 인피니티워 보고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5] 개미2391 18/04/26 2391
119136 [질문] 극장 상영중인 영화 제목스포, 댓글스포 등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jjohny=쿠마4932 18/04/26 4932
119135 [질문] 국제 원자재 가격을 알아볼수 있는 사이트가있나요? [3] 노엘갤러거1843 18/04/26 1843
119134 [질문] [스포] 인피니티 워 보고 궁금한게 있습니다. [5] 바카스2382 18/04/26 2382
119133 [질문] 이직할때 자기소개서 작성 [2] 뽀롱뽀로롱2461 18/04/26 2461
119132 [질문] 마블(디즈니) 본사는 박지훈 번역가가 깽판치는거 알고는 있나요? [5] 삭제됨4326 18/04/26 4326
119131 [질문] 어벤져스 보기전에 블랙팬서 알아야 할까요? [14] 블루데이3447 18/04/26 3447
119130 [질문] 키보드배열 설정에 관하여 [3] Galvatron2113 18/04/26 2113
119129 [질문] 짤막한 카툰을 찾습니다(부모님의 마음..) [2] EY1617 18/04/26 1617
119128 [질문] 자기 인성이 안좋은건 어떻게 해야하나요 [24] 진솔사랑6317 18/04/26 6317
119127 [질문] 알바생은 예비군으로 그날 빠지면 유급으로 쳐주나요? [10] 생선맛있네요8447 18/04/26 8447
119126 [질문] 윈7 기본프로그램에 대한 질문입니다. [3] 좋은마음2105 18/04/25 2105
119125 [질문] 인피니티 워 2D / IMAX? [8] 미카엘4309 18/04/25 4309
119124 [질문] 국민연금 질문입니다. [6] Red Key2149 18/04/25 21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