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4/19 10:48:45
Name 소린이
Subject [질문] 신입사원 자산관리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약간의 주절주절
안녕하십니까
이제 입사 6개월 넘어가는 신입사원입니다.

그전까지는 월급이 들어오면 들어오는대로 쓰고
나가면 나가는대로 쓰고 하면서
별 생각 없이 돈 관리를 했습니다, 아니 안 했습니다.

첫 월급 받을 때부터
월급의 대략 40% 정도를 2년짜리/3년짜리 하나씩 정기적금 붓는걸로
묶어둔 것이 전부입니다.

나머지 60%는 따로 뭐 한 게 없습니다.
아 주택청약계좌 10만원씩 붓는 거 있네요.

그 외에는 그냥 놀고 술먹고 월급계좌에 모셔놓는 게 전부입니다.
대장코인에 소액 넣었다가 뽀개진 이후로 코인도 GG쳤습니다.

60% 정도의 잔액을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지
사회생활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나이 먹고 민망하지만 아직 본가에 얹혀 살고 있고,
통신비 교통비 외식비 해봐야
한달에 30만원이면 뒤집어쓰기 때문에(회사에서 점심저녁밥을 줍니다)
뭐 돈 나갈 일은 노는 것 외에는 없습니다.

주식이나 투자 등에 대해서는 정~말 모릅니다.
아는 친구들 형님들은 무슨 주식 무슨 주식 이야기들 열심히 하시던데
저는 업무하기에도 바빠서 ㅜㅜ 그분들은 어느 시간에 주식장을 그렇게들 보시는지 미스테리 하네요 ㅜㅜ
(저도 지금 이 글 쓰며 월급루팡하긴 하지만, 오늘은 선임분들이 모두 사무실 비우신 희한한 날인지라;;;)


재테크 입문자 루트 소개해주시면 정말 감사히 경청하겠습니다.
오늘도 기분 좋은 일 가득한 하루 되십시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4/19 11:07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한 상황이신거 같네요.
저도 원래 저축하기로 한 금액 전부 잘 쪼개서 기간결로 나누어 적금하려고 했는데 (사실 돈을 모은다는 의미 자체로는 적금 이상으로 좋은게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지금 그중에 약 15%-20%정도 매달 원래 주식하던 친구에게 추천주를 받아(결과는 제가 알아서 감내하구요.) 살살 투자해보고 있습니다.

사실 재테크야, 본인이 자신있고 감내할수 있을정도로만 리스크를 감내한다고 생각해보시면 될 것같구요. (주식 어려워요..)

사실 더 중요한 것은 40% 적금 하고 남는거 월급 계좌에 모셔 놓는다고 하셨는데, 차라리 그부분을 먼저 대충 지난 6개월간의 소비패턴을 정리해보시고
필수적으로 나가는 부분, 노는데 쓴부분, 줄일수 있는 부분들로 나누셔서, 적당한 수준의 평균 월 사용패턴을 확정하시고, 나머지 부분을 자유적금( 혹은 추가적으로 적금하셔도 괜찮겠네요) 등으로 본인이 쓰시는 비용부터 딱 잘라서 정하시는게 제일 먼저 하실 일 같습니다.

얼마는 적금하니 나머지는 뭐 알아서 쓰겠지 하고 내비두다보면, 저는 다써버리게 되는 경향이 있더군요.

마지막으로 제가 재테크 관련책을 군대에서 읽을때 가장 감명깊게 본부분인데, 모든 제테크의 시작은 자본금을 모으는 것 부터가 시작이라고 했습니다. 적금 아주 잘 모으고 계시니, 너무 걱정하지마시고 주식이면 주식, 펀드면 펀드, 기타 재테크 수단이면 기타 재테크 수단 천천히 잘 공부하시면서, 나머지는 정기적금, 자유적금, 예금등으로 차곡차곡 잘 쌓으시면 될거 같아요.

월급루팡(2)였습니다.
소린이
18/04/19 11: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댓글 감사합니다. 사실 이 글 쓰게 된 계기가, 말씀하신 '소비패턴 정리' 해보다가 제가 이렇게 난장판으로 돈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계산해보기 전에는 몰랐는데 몇 달치 돈 나간거 정리하고 보니 생각보다 노는 데 어마어마하게 쓰더라고요......

리스크 감내할 만큼, 이라는 부분에서 배워갑니다. 저도 그냥 장 흐름 파악 이런 건 접어두고 속칭 존버 형태로 추천주 수소문해서 소액 넣어봐야겠네요. 떨어져도 멘탈 안깨지고 일상생활 가능할 만큼, 감내할 수 있을 만큼만 조금씩 넣어두는 연습 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쉽고 이해 잘 되게 도움글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내일만 버티면 주말입니다 아자아자~
김피곤씨
18/04/19 11:18
수정 아이콘
충분히 잘 하고 계신거 같습니다.
제 생각도 그렇고 자산관리에 공통적인 의견으로는 1~2년 정도는 혼자 써 버릇 해보는게 좋습니다.
내가 현재 회사를 다니면서 수입 대비 지출이 어느정도 인지 확인 해보고,
이게 고정 적으로 나가는지 변동 폭은 어느정도 인지 확인 해보시는게 중요합니다.
1~2년 정도 돈을 굴려보시면 월 최소 얼마정도는 고정적으로 가용 금액이 생긴다는 걸 확인 하실 수 있으실 건데요.
투자나 재테크는 그 다음에 생각하셔도 늦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소린이
18/04/19 11:2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정신차리고 가계부만 써 봐도 눈에 보이는 게 많은데 지금까지 너무 소홀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고정적으로 가용 금액이 생기는 것도 대충 '한달에 몇십만원 남겠지' 가 아니라 딱 구체화해서 명시해놓으면 투자에 돌릴 수 있는 금액이 뚜렷하게 나올 것 같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18/04/19 11:19
수정 아이콘
적금은 정말 가급적 하지 마시구요
차라리 코스피 인덱스 꾸준히 넣으세요 적금 붓는 기분으로
소린이
18/04/19 11:22
수정 아이콘
코스피 인덱스...... 메모장 메모장
주식처럼 사면 되는 상품인가보지요? 감사합니다
강미나
18/04/19 11:24
수정 아이콘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장기간의 꾸준한 고정수입이 보장된다면
빨리 집을 사서 저축하는 금액에 상응하는 이자+원금으로 상환하는 게 가장 좋은 재테크더군요.
소린이
18/04/19 11:29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 신입사원에 본가도 전세고 사는 곳도 드럽게 집값 비싼 지역인지라 슬프네요 OTL ......
장기간의 꾸준한 (고액의) 고정수입 아닌가요 ㅠㅠ
강미나
18/04/19 12:20
수정 아이콘
어렵다 어렵다 해도 강남3구 + 용산 + 영등포 목동 + 수도권 S급 정도 아닌 이상 25년 정도 만기하면 웬만한 집은 살 수 있긴 합니다.
문제는 [장기간] 이죠....
소린이
18/04/19 12:26
수정 아이콘
아 25년... 길게 봐야겠군요 ㅜㅜ
싸이유니
18/04/19 11:29
수정 아이콘
그냥 월급받으시면 60~70% 바로 적금넣으세요.
최소 3년은 그렇게 하고 난 뒤에 재테크 생각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소린이
18/04/19 11:30
수정 아이콘
예 간단하고 확실하겠네요. 적금액을 얼마나 늘릴지 각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위원장
18/04/19 11:30
수정 아이콘
적금은 돈벌기 위한 용도보다는 돈 못 쓰도록 하는 용도라 초반에 돈 모을때 좋습니다. 일정금액 쌓이시기 전까지는 적금 괜찮아요.
소린이
18/04/19 11:30
수정 아이콘
윗리플분 말씀처럼 3년은 적금에 묻어두고 목돈 쌓아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18/04/19 11:48
수정 아이콘
적금과 정기예금.
30대 초반 미혼이시면 언제 해지해도 원금손해는 없는 금융상품이 좋습니다.
정 투자를 하고 싶다 하시면 증권사 하나 가입하셔서 인덱스 하나 사시죠. 하지만 저는 무조건 예적금 강추입니다.
소린이
18/04/19 12:13
수정 아이콘
예. 적금 비중 늘리는 것을 생각해봐야겠네요.
18/04/19 12:44
수정 아이콘
지금 코인 좋아보이는데...
소린이
18/04/19 14:24
수정 아이콘
제겐 이미 죽은 카드라 잊기로 했습니다 ㅜㅜ
18/04/19 12:52
수정 아이콘
처음엔 적금이랑 예금으로 모으고, 약간의 목돈이 생긴 뒤로는 고위험군으로 넘어갔습니다. 은행에서 추천하는 노낙인(no knock-in, 원금보장에 유리한 상품이에요) ELS계열을 했고요, 지금은 목돈의 30프로정도 해외주식 장기투자합니다. 나머지는 어떻게 할지 고민 중이라 그냥 mmf 통장에 1프로 이자 정도로 들어 있네요.
소린이
18/04/19 14:24
수정 아이콘
잘 메모해두었다가 적금 타고 테크트리 업할 때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더리움 사세요
18/04/19 13:01
수정 아이콘
이오스 사세요
소린이
18/04/19 14:25
수정 아이콘
코인은 ... 으으으....
Fullhope
18/04/19 13:15
수정 아이콘
사회 초년생이시면 최우선 과제는 종자돈 모으기죠.
1차목표로 분양아파트 분양가의 10% 정도 목표로 적금등의 방법으로 차근차근 모으시기 바랍니다.
돈모으기책들 공통적으로 얘기하는 ETF투자 추천합니다. 돈 많이 모으세요~
소린이
18/04/19 14:26
수정 아이콘
동네 주변 아파트 시세를 목표로 삼을 수 있군요
사실 목돈의 구체적인 목표금액을 설정해두지 않았는데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잉차잉차
18/04/19 13: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 투자는 본인의 판단으로 하는 것입니다. 저는 조언만 해드리겠습니다.

사회초년생 분이 재테크에 관심갖는다는 것 자체가 절반의 성공입니다. 멋지십니다!

1. 재테크 최우선 순위
(대출을 잔뜩 땡겨서라도) 내집마련입니다. 물론 현실적으로는 매우 어렵겠지만 항상 염두에 두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단, (서울 기준) 역세권 소형 아파트가 아니면 집값은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바꿔말하면 1. 서울 2. 역세권 3. 소형아파트는 가격이 떨어지질 않습니다. (심지어는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때도)

혹시 서울이시면 청약통장은 당분간 쓸 일이 없겠지만 (투기과열지구(=서울) 내 소형평수 가점제 100%)
정부 정책이 언제 바뀔지 모르니 꾸준히 넣으시면 좋습니다.

2. 돈을 굴리는 방법
연 3%밖에 못 먹는 적금은 돈을 버리는 거라고 생각하고요, 안전하게 하시려면 차라리 코스피/코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를 추천드립니다.
주식처럼 1주 단위로 사실 수 있는 펀드라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보통 ETF 라고 말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개별주와는 다르게) 안전자산으로 분류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증시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우상향하였고, 각종 경제지표를 봐도 한국의 증시는 상당히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경상수지흑자 세계 6위 + 71개월 연속 흑자, 외환보유고 세계 10위, 남북관계 개선 등 각종 호재가 쌓여있습니다.
올해 내에 코스피 2700, 3~5년 내에 코스피 3000, 10년내에 5000 돌파도 불가능은 아니라고 봅니다.

3. 추천주
코스피 지수를 2배 추종하는(코스피 1% 오르면 가치 2%상승, 1% 떨어지면 2% 하락) <KODEX 레버리지>(=적금)와
코스닥 지수를 2배 추종하는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채권) 분산투자 추천드립니다.
(코스닥150이 현재 바이오주 위주로 편성되어 있어서 향후 바이오주 거품이 꺼지면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만,
문정부가 중소형기업에 대해 확실히 밀어주는 스탠스를 취하고 있어서 과히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매수시점 기준으로 코스피/코스닥이 5% 오르면 x2로 10% 먹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 들어가시면 올해 내에 최소 5% 이상은 수익이 날 것입니다.

4월에 대기업 1분기 실적발표 이후로 코스피 지수가 크게 상승할 것입니다. 실제로 요 며칠 사이에 꽤 올랐고요,
5~7월정도부터는 코스피 폭등에 대한 기사가 나올 것입니다.
특히 금일 바이오주 조정으로 코스닥 지수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오늘같은 날이 코스닥150 매수하기 좋습니다.

- 투자는 본인의 판단으로 하는 것입니다. 저는 조언만 해드렸습니다.
소린이
18/04/19 14:29
수정 아이콘
세상에 ... 이렇게 디테일하게... 조언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ETF 추천 잘 읽었습니다. 소액이라도 분산투자금 준비해보아야겠네요.
잉차잉차
18/04/19 16:41
수정 아이콘
조금 글을 덧붙이겠습니다. 피같은 돈을 들이는거니 조금이라도 걱정이 없어야지요.

ETF 추천 이유
"가장 안전합니다"
KODEX 레버리지 자체가 삼성전자,하이닉스,현대차 등 코스피 중요 기업에 나누어 분산투자하는 효과입니다. (실제 구성이 저렇습니다)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는 요새 핫한 바이오주 및 엔터, 게임주 등에 분산투자하는 효과입니다.
(그래서 바이오가 망해도 그럭저럭 살아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섹터의 개별기업이 날아갈 때(ex. 그동안의 바이오주, 금일 건설주) 지지부진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보면 가장 안정적인 투자 방식입니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삼성전자는 망할 수 있으나 코스피는 우리나라가 망하지 않는한 안 망합니다.

주식은 사는 시점에 이미 수익이 결정납니다. 바닥일 때 사면 언제 올라도 오르는거죠.
코스피는 향후 장기적으로 보면 '바로 지금'이 바닥입니다. 이제 오를 일만 남았습니다. 2018년도 연말에 보시면 아실겁니다.
고분자
18/04/19 15:09
수정 아이콘
시드머니가 최고죠
유늘보
18/04/19 16:34
수정 아이콘
요새 재테크를 하고 있는 입장에서.. 몇가지 더 조언드릴게요.

(1) 본인 성향을 파악하세요.

윗분들이 여러 재테크를 추천주셨는데, 이보다 중요한 건 본인 성향입니다.
코스피 인덱스가 물론 장기적으로 적금 수익률을 이긴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 변동성을 어디까지 견디실 수 있으신가요?
10년 장기투자의 결과로도 구간에 따라 -30%이상을 찍을 수 있는게 인덱스의 현실입니다.
물론 거기서 5년을 더 했다면 다시 +로 돌아오지만요.
전재산의 50%를 코스피에 넣고 출렁거리는 자산을 보고도 버틸 정도로 멘탈이 강하시다면 그리 하시면 됩니다.

(2) 레버리지는 장기투자용이 아니다

저도 같은 질문을 PGR에 썼었고, 답변 받은 후 좀더 공부해봤습니다.
한번 검색하시면 금방 이유를 아실 것 같네요.

(3) 자기가 언제 목돈을 써야하는지 고려하세요.

결혼을 별다른 일이 없으시다면 5년 전후로 하시지 않을까 하는데,
5년을 기준으로 한다면 반드시 시장이자율을 이길 수 있는 재테크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유늘보
18/04/19 16:36
수정 아이콘
나는 장기투자할 수 있고, 변동성이 낮으면서도 시장수익률을 이기고싶어라는 마인드시라면
Kodex200 미국채혼합 이라는 etf상품 추천드려요. 자세한건 검색하셔도 됩니다^^

가장 손쉬운 장기투자라고 생각합니다 :)
동네형
18/04/19 22:29
수정 아이콘
주식은 쉬운데 주식으로 부자될 재능(멘탈, 성격, 인내, 평정심, 여유) 를 타고나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직접 투자보단 etf 를 권하겠습니다. 매달사세요 매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8843 [질문] 신입사원 자산관리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약간의 주절주절 [31] 소린이4670 18/04/19 4670
118842 [질문] 지방 소개팅? 차량? 관련 질문입니다. [6] 알로에잎2645 18/04/19 2645
118841 [질문] 마이비데 써보신 분 있나요? 항문관련 조언좀 OTL [11] NCS7532 18/04/19 7532
118840 [질문] 일본 노래 하나 찾아주세요... [3] 비싼치킨1987 18/04/19 1987
118839 [질문] 외장하드 복구 업체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참된깨달음6071 18/04/19 6071
118838 [질문] 롤 내셔남작 측면, 후면에서 때리면 추가 데미지가 있나요? [12] 고무장이10765 18/04/19 10765
118837 [질문] 월급통장과 주거래은행이 다를때(적금관련) [9] MakeItCount4388 18/04/19 4388
118836 [질문] 한국음식을 먹지못하는 외국인들과 점심식사자리를 추천해주세요! [34] Techniker3338 18/04/19 3338
118835 [질문] 워크래프트3 래더입문하고싶습니다. [2] 홀리워터2233 18/04/19 2233
118834 [질문] 종이명부의 전화번호를 가장 빠르게 폰에 입력하는 방법이 뭘까요 [20] 프리지3440 18/04/19 3440
118833 [질문] 여기 나와있는 술잔 구매처를 알수 있을까요? [1] 메모장시인2955 18/04/18 2955
118832 [질문] 오렌지 잘 까먹는 방법이 있을지요...? [7] nexon4773 18/04/18 4773
118831 [질문] 복근을 만드는데 효율적인 운동이 뭘까요? [44] 태엽감는새6146 18/04/18 6146
118830 [질문] 현시점 저그 원탑은 조일장 아닌가요? [15] 성동구4225 18/04/18 4225
118828 [질문] 예능 전지적참견시점 질문이요 [3] 메티스2226 18/04/18 2226
118827 [질문] 동물) 늑대와 개는 언제쯤 완전히 갈라질까요? [7] fhbtyjs3135 18/04/18 3135
118826 [질문] 토플 vs 텝스 질문입니다. [8] 문정동김씨3016 18/04/18 3016
118825 [질문] 에버랜드 자유이용권 구매시 할인 관련 질문이요!! [1] 원스1990 18/04/18 1990
118824 [질문] 컴퓨터 파워 고장나면 새로 사야되는거죠? [7] 가가겨거2525 18/04/18 2525
118823 [질문] 서울에서 킹크랩이나 랍스타 포장 가능한곳 있나요? [1] 개구리농노2468 18/04/18 2468
118822 [질문] 30대 직장인 합정에서 소개팅 장소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6] 삭제됨13350 18/04/18 13350
118821 [질문] 코딩용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대빵큰오리3794 18/04/18 3794
118820 [질문] 층간소음관련 질문입니다. [5] 과연나는어떨까3373 18/04/18 33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