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4/10 04:42:41
Name 펩시콜라
Subject [질문] 대한민국의 공권력은 강한편인가요?
지인들과 한국의 치안이 엄청 좋다는 얘기를 하다보니 그러고보니 한국의 공권력이 강한편인가? 라는 궁금증이 생기네요.
사전적 의미의 공권력을 의미한다기 보다는, 경찰의 치안유지력(?) 이라는 말이 더 맞는거 같네요.

사실 각종 사건/사고들을 보면 어떤 사건에선 경찰이 저렇게 할 수 있는게 없다니 쯧쯧 싶기도 하고,
또 어떤 사건에서는 저게 경찰이면 다야? 혹은 저것도 경찰이라고 쯧쯧 경찰 답 없네. 뭐 이런 생각이 드는 경우도 있었던거 같네요.

한국의 치안이 좋은건 경찰과 관련이 있는지, 혹은 다른 외부적 요인이 큰 건지, 경찰과 관련이 있다면 현실적으로 경찰의 공권력(?)은
어떤 레벨인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4/10 04:55
수정 아이콘
사실상 섬나라에 국민 모두가 같은 메신저 앱을 쓰고 통신사 협조도 쉽게 받아내고
주민등록번호와 지문이 데이터베이스 되있는 나라가 세계에 봐도 몇 없습니다.
산양사육사
18/04/10 04:56
수정 아이콘
인권 생각하면 미국처럼 흑인라고 바로 쏘고 이러는 공권력이 정상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다만 한국도 무장탈영이나 그에 준하는 상황이 (민간인이 총을 훔쳤다던지) 일어나면 바로 군대가 출동하기 때문에
공권력이 약하다고는 할 수 없죠.
그 닉네임
18/04/10 05:04
수정 아이콘
보통 치안으로 인해 공권력이 바뀌지, 공권력따라 치안이 바뀌지는 않죠.
윗 분들이 말씀해주신 특수한 상황때문에 치안이 좋아서 공권력이 강할 필요가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피식인
18/04/10 07:19
수정 아이콘
말씀하시는 치안 유지력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강한편이라고 봅니다. 몽둥이로 때려잡고 총쏘고 그런 집행 능력이 강해서 치안 유지력이 강한게 아니라, 사회를 감시하고 범죄를 색출해 내는 측면에서요. 범인을 강경하게 진압하느냐 유하게 대하느냐 이런건 치안을 좋게 하고 나쁘게 하고의 원인이라기 보단, 이미 치안이 좋은 사회인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오는 차이라고 봅니다. 한국 사회가 치안이 좋은 이유는 교육, 경제, 사회 감시 능력(CCTV 등) 등이 원인으로 작용해 복합적으로 형성된거라고 봅니다.
나무위키
18/04/10 07:32
수정 아이콘
공권력이 센 편은 아닌거 같은데 더 강화할 필요도 딱히 없는 수준인 것 같습니다.
yangjyess
18/04/10 07:49
수정 아이콘
취객들에게 쩔쩔매는 경찰관들 보면 너무 약해요.
18/04/10 08:05
수정 아이콘
대체로 큰 불만은 없는데 취객들 상대하는 경찰들에게는 좀 더 권한이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kartagra
18/04/10 08:08
수정 아이콘
일반인 입장에서는 뭔가 호구스러운 느낌이 강한데, 범죄집단 입장에서는 사신급이죠. 괜히 범죄집단이 힘을 못쓰는게 아닙니다. 게다가 총기의 총자만 나와도 단순 강력계가 아니라 광수대에 본청, 대검찰청, 헌병에 국정원까지 나설 수 있는지라..결코 약하다고 볼수는 없죠. 심지어 사제총기 만들어서 싸웠다 조직 자체가 와해당한 경우도 있으니까요.

그리고 일선 경찰들은 취객들에게 당하고 민원에 치이고 불쌍해 보이는 경우가 많긴 한데, 대한민국 공권력의 상징급인 검찰 쪽으로 넘어가면 파워가 엄청난 편이죠. 물론 뭐 일반인 입장에서는 범죄라도 저지르지 않는 이상 만날 일이 없어서 체감하긴 힘들긴 합니다만...
18/04/10 09:16
수정 아이콘
[일반인 입장에서는 뭔가 호구스러운 느낌이 강한데, 범죄집단 입장에서는 사신급이죠.]
문득 이거 굉장히 바람직한 경찰상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헛스윙어
18/04/10 08:19
수정 아이콘
엄청강한거 같은데요... 윗분 말씀대로 경찰이 통신사 기록같은거.. 제가 사는곳에서는 한평생입니다. 살인 사건같은거라도 엄청 스텝이 많아요...
그리고 주민번호로 한번에 체크되고...
뭐 취객상대하고 같은면에서 힘든부분도 분명히 있지만 전체적으로 경찰 힘은 세죠....
송하나
18/04/10 08:36
수정 아이콘
군부시절 국민을 가축처럼 장악하려던게 소뒷걸음질 치듯이 지금의 치안을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중앙경찰제의 힘도 있고 4면이 막혀있어 도망치려면 꽤 힘든 점도 있고 여러요인이 결합되지 않았나 싶네요.
키무도도
18/04/10 09: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공권력이랑 치안은 별개입니다.

그 나라의 치안이 좋은것은 법치주의가 제대로 작동하고있다는 것이고, 이 법치주의란 일반 시민뿐만 아니라 공권력에게도 적용이 됩니다. 공권력이 법치주의를 잃는다면 공권력이 아무리 강해도 비리가 판을치고 치안은 불안정할 수밖에 없는데, 사회전체에 법치주의가 제대로 작동한다는것은 그간 시민의 노력이 있어왔고, 그 일환으로 더 좋은 사회시스템을 구축함과 시민들의 의식수준이 높아져 치안이 좋아지는 것이지요. (이점 때문에 국가의 치안을 높히려면 국민들에 대한 공권력을 강화하는것이 아닌, 되려 공권력에게 높은잣대의 법치주의를 확대시키고 공권력과 사권력 견제하며 사회시스템의 불만사항을 호소할 수있는 시민사회를 만들어 가야합니다.)

요즘따라 많이 불리는 국제시장 시대라고 불리우는 60~80년대와 현재과 비교하면 국민의식이 남다릅니다. 지금도 유튜브에서 우리나라의 70~80년대 뉴스를 보면 저게 우리나라가 맞나. 무법지대 아니야? 하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듭니다. 하지만 공권력 행사는 그때보다 오히려 지금이 덜하죠.
Lord Be Goja
18/04/10 09:35
수정 아이콘
공권력이 쌘거랑 치안유지력을 별개로 볼수도 있겠죠.글쓴분이 느낀걸 그대로 적으면 공권력은 쌘데 효율적으로 못써서 가끔 허술해보이는거겠네요.
18/04/10 11:37
수정 아이콘
상당히 강력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 강력한 공권력이 꽤 합리적인 수준과 방식으로
작동중이라고 봐요. 일반 시민들이 딱히 불법을 저지르지 않는한 공권력이 부당하게 사용되지는 않죠. 공권력에 피해를 입는다해도 각종 합법적인 수단을 동원하여 대항할 수 있고.
솔로13년차
18/04/10 12:48
수정 아이콘
국민들이 총이 없는데, 공권력은 총기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공권력이 어마어마하게 강하죠.
전 치안이 좋아진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cctv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과학수사도 발달했지만, CCTV와 자동차 블랙박스가 어마어마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슈드비
18/04/11 08:43
수정 아이콘
공권력이 강해도 치안은 좋을 수도 나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공권력이 약하다면 나쁜 치안을 좋게 만들 수는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8495 [질문] 회사 인사평가 방식에 대해... [7] possible4001 18/04/11 4001
118494 [질문] 퇴사를 해야할까요? [8] 신묘3761 18/04/11 3761
118493 [질문] 잠을 좀 못자고 피곤해서 그런지 오늘 아침부터 옆구리가 쿡쿡쑤십니다 [4] Chandler2106 18/04/11 2106
118492 [질문] 코스트코 가시면 무엇을 사시나요? [29] 나비아스톡스5842 18/04/11 5842
118490 [질문] 윈도우 10 업데이트 [1] Love.of.Tears.2552 18/04/11 2552
118489 [질문] 운동효과가 있는 게임 머 없을까요?? [10] Syncnavy3825 18/04/11 3825
118488 [질문] 회사와 아주 가깝게 사시는분 계신가요? [32] dfjiaoefse8456 18/04/11 8456
118487 [질문] [질문] IT 용어 및 직무 가장 기초적으로 배울 책 있을까요? [3] 소주2343 18/04/11 2343
118486 [질문] [fm] 시디키즈에서 FM 시리즈 사보신분 계신가요? [7] 본좌3563 18/04/11 3563
118485 [질문] 왜 리버풀을 좋아하시나요? 왜 한국에 리버풀 팬들이 많은 걸까요? [39] 세인트루이스4725 18/04/11 4725
118484 [질문] ssd에 윈도우 10 설치 질문입니다. [11] StondColdSaidSo2334 18/04/11 2334
118483 [질문] 블루투스 이어폰 연결이 자꾸 끊깁니다. [6] 스윗앤솔티3582 18/04/11 3582
118482 [질문] 외국인이 한국내 SIM카드 이용 문의 [6] Soviet March5623 18/04/11 5623
118481 [질문] 에그 사용의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10] eedd4791 18/04/11 4791
118480 [질문] K스포츠, 미르재단과 평창올림픽에 대기업이 돈을 낸 것은 동급이다? [20] AirQuick3192 18/04/11 3192
118479 [질문] 어깨 관련 질문입니다. [1] 향티1707 18/04/11 1707
118477 [질문] 건조하고 하드보일드한 만화, 애니메이션 [36] 레몬커피6122 18/04/11 6122
118476 [질문] 실제 현실 연애를 잘 담아낸 영화는 뭐가 있을까요? [30] 트와이스정연4854 18/04/11 4854
118475 [질문] 공유기 관련 질문드립니다. [4] 하얀사신1912 18/04/11 1912
118474 [질문] LCHF 및 영양학 참고서적 오쇼 라즈니쉬2059 18/04/11 2059
118473 [질문] 왕복 70km 자차로 출퇴근 - 가능할까요? [30] 프리템포17788 18/04/10 17788
118472 [질문] 행정법, 행정학 60점 맞기! 어떻게 공부할까요... [4] 삭제됨3800 18/04/10 3800
118471 [질문] 윈도우 디펜더가 갑자기 미친 것 같습니다 [4] 리나시타4224 18/04/10 42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