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3/31 23:20:35
Name 쎌라비
Subject [질문] 워3 역대 원탑은 누구 일까요?
후보로 거론될만한 선수가  그루비, 장재호, 영삼이, 스카이, 박준 등등 일텐데요.

저는 그래도 꾸준함에서 장재호 손을 들어주고 싶은데 커리어로는 다른 선수들도 못지 않더군요.

워3 오래보신 분들은 워3에서 역대 탑5를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alvatron
18/03/31 23:22
수정 아이콘
현재로는 딱히 누가 원탑이라 보긴 어렵고 충분히 워크판이 유지된다면 120이 원탑이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18/03/31 23: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탑을 꼽으면.. 인피죠. 솔직히 아무도 부정할수 없다고 생각해요 (물론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탑5라면

그루비 , 테드, 인피에 스카이 , 장회장님
Galvatron
18/03/31 23:29
수정 아이콘
전 인피보단 스카이쪽이.... 휴먼의 모든건 다 스카이에서 시작되는거라...
18/03/31 23:30
수정 아이콘
맞네요 스카이 뺴면 안되죠.. 120 취소, 스카이넣습니다

아 스카이를 잊고있었네.... 근데 그렇다 해도 저는 활동 기간이나 뭐나 원탑은 인피 가겠습니다..
18/03/31 23:28
수정 아이콘
인피건설이 원탑이라고 봐야되고..
밑에 그루비 회장님 테드 넣고 한자리가 어렵네요.
누구 넣어야 될지 모르겠다..
이호철
18/03/31 23:33
수정 아이콘
인피죠.
18/03/31 23:34
수정 아이콘
전성기 포스는 장회장님인데
역대면.. 스카이라고 생각하는데
인피에 역대전적은 어떤지 잘몰라서 저도 궁금하네요.
방과후티타임
18/03/31 23:57
수정 아이콘
요즘 생각해보면 120을 넣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이되는데, 사실 워3가 한창 전성기때 활동한 선수라고 보기 힘들어서
문, 스카이, 그루비, 인피......여기다 테드일까...박준일까...으음....
살다보니별일이
18/04/01 00:00
수정 아이콘
워3는 본적이 없지만 생각보다 강자들이 많았나보네요;; 원탑이 한명을 고르기 어려운걸 보면...

스타1은 되게 쉽게(?) 대답이 나오는 편인데
18/04/01 00:02
수정 아이콘
저도 그냥 스타1 원탑 고르라고 하면 고민없이 그냥 갓영호 뽑는데,

워3는 한국 게이머 중에서는 장재호를 고르겠는데 (다음으로는 박준이나 김성식)
중국에 스카이, 인피, 영삼이, 120 등등 워낙에 기라성같은 게이머들이 많아서;;
(게다가 네덜란드에 WCG 간판 손님 그루비도 있고 원탑 고르기가 좀 까다롭네요)
화이트데이
18/04/01 00:29
수정 아이콘
최고는 인피, 최강은 장재호.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18/04/01 00:32
수정 아이콘
2013년으로 끊으면 문, 그루비, 스카이, 린, 테드(언데드 종특+빌드)가 정석이었는데
현 시점으로 끊으면 린, 인피, 영삼이, 문, 그루비(?) 라고 봅니다.

영삼이가 과소평가되는 느낌인데 누적도 꽤 좋고(나름 10년째 S급) 임팩트(13영삼이)도 있어서
현 시점 기준이면 5위 안에는 무난하게 든다고 봅니다.
카서스
18/04/01 00:40
수정 아이콘
한명을 꼽기는 힘들고 문 린 인피 영삼이 테드 이 5명이 공동1등 같습니다.
18/04/01 00:44
수정 아이콘
원탑은 애매해서 워3 상금 랭킹 찾아보니
문>>>린>>>그루비>영삼이>인피(1~5)
스카이/플라이/리마인드/토드/유미코(6~10) 이네요.
이사무
18/04/01 00:48
수정 아이콘
상금이 과거에 비해서 몇 몇 시점 기준으로 대폭 줄어서 더 그럴 듯 싶습니다.
VrynsProgidy
18/04/01 00:59
수정 아이콘
최강은 TH000이고 최고는 장재호죠.
그 닉네임
18/04/01 01:09
수정 아이콘
최고면 장재호일듯요. 듣보종목에서 일등하는 것과 인기종목에서 일등하는게 천지차이가 나는데, 종목 인기의 척도가 대회상금이라고 생각하거든요.
ANTETOKOUNMPO
18/04/01 10:41
수정 아이콘
저는 당연히 문이겠거니 하고 들어왔는데, 역대로 따지는데 이견이 많은 것이 좀 의아할 정도네요...
물론 최근 몇년간 판도의 변화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앞 댓글에 누적 상금만 보아도 전성기 시절에 쌓아놓은 것만 해도 충분히 역대 탑을 유지할만 하다고 봅니다.
미카엘
18/04/01 01:57
수정 아이콘
장회장님 밀어봅니다.
이사무
18/04/01 02:52
수정 아이콘
위에도 댓글을 달았지만 사실 되게 애매한게...
2002년에 출시돼서 2003년에 프로즌 쓰론이 나왔고, 2008 년까진 국내-> 유럽 등에서 꽤 많은 프로선수들이
큰 대회에서 활동하였으나 국내는 그 이전에 온겜은 이미 리그를 없앴고, 엠겜은 조작 땜에 없앴죠.
2008년에 금융위기 오면서 유럽쪽 대회 및 팀들은 거진 다 사라졌고요.
(여기부턴 오래돼서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그 이후론 상금규모가 큰 대회는 많이 없어진거로 압니다.
사실 워3의 '프로게임 리그' 로서의 수명은 그 시점에서 향방이 갈렸다고 보고요.

그래서 상금 랭킹으로 보면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상금 규모가 크던 시절 우승자가 많던 시절의 탑게이머들이 유리한 것이고
꾸준함 이라고 말하기엔 대회 상금 규모도 줄고 대회도 적은데 실력을 유지할 이유가 없는 상황에서의 성적 또한 무조건 우선시 하긴 애매하죠.

전 스1은 마재윤 이후론 잘 모르지만, 이제동이 전적, 승률 모두 그리 대단했지만 대회 없어지고 아프리카 및 관련 대회에선 예전처럼 연습도 하지않고
성적도 안 나오는 거로 압니다. 본인도 이젠 동기부여가 안된다고 한 거로 알고요. 워3도 상금규모 무척 적고 신규프로게이머 수도 타 게임 (과거 LOL 최근 옵치나 배그)에 비해서 없다시피할 정도로 동기 부여가 안 되는 지가 몇 년이 넘어가는 지라 여기에 어느 정도 가중치를 둬야하는 지 모르겠습니다.
18/04/01 11:48
수정 아이콘
무조건 장재호라고 생각하고 들어왔는데... 이견이 많아서 신기하네요.

06~15년까지 워크 상당히 좋아했고, 지금까지도 간간히 챙겨보는 편인데... 1등은 무조건 장재호 아니었나요??;;;
페로몬아돌
18/04/01 16:47
수정 아이콘
일단 저도 장화장이라고 생각하는대 wcg 1위도 없고
스카이가 오랜기간 동안 강자를 유지해서 여러 의견이 나올만 하죠. 그루비도 wcg만 가면 잘했고
롯데자이언츠
18/04/02 09:29
수정 아이콘
스카이 영삼이 문 린 인피
이정도면 이견 없지 싶네요
18/04/02 23:13
수정 아이콘
그래도 장재호 아닐까요?
우승횟수에서 중국선수들이 넘었다 쳐도
솔직히 지금은 중국만의 게임이잖아요
장재호는 그래도 세계인이 즐기던 시절부터 잘하던 선수고요
그들만의 리그가 된 이후랑 국제적인 게임이던 시절이랑 같이 보면 안된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8051 [질문] 이런 사상이나 이념을 나타내는 용어가 뭘까요? [3] 그 닉네임1940 18/04/01 1940
118050 [질문] 이정도면 의심해볼만한 문자 대화인가요??(추가) [39] 삭제됨5318 18/04/01 5318
118049 [질문] 하스스톤 새 카드팩 지르는게 좋을까요? [5] Zelazny2354 18/04/01 2354
118048 [질문] 입문용 헤드폰 추천부탁드립니다. [2] 송해나2603 18/04/01 2603
118047 [질문] 경제학과생 진로 고민중인데 재무,회계(CPA,금공)랑 통계,경제(금공,계리사)중 어느 쪽으로 가는게 나을까요? [15] 세오유즈키5872 18/04/01 5872
118046 [질문]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안됩니다. [2] 랑맨2272 18/04/01 2272
118045 [질문] [약혐] 이 화장실에 출몰하는 벌레 이름 아시는 분? [8] 티티4363 18/04/01 4363
118044 [질문] 워3 역대 원탑은 누구 일까요? [24] 쎌라비4888 18/03/31 4888
118043 [질문] 중국의 여성차별 글? [2] petertomasi1902 18/03/31 1902
118042 [질문] 자동차를 구매하고 싶은 욕구가 생깁니다. 쿨럭. [21] 마제스티3878 18/03/31 3878
118041 [질문] 네덜란드님 왜 탈퇴 하신거죠? [3] Siestar4386 18/03/31 4386
118040 [질문] 인터넷으로 김치 사먹을려하는데요 메이커 추천! [8] Rebirth2740 18/03/31 2740
118039 [질문] 아침에 일어났더니 뒷머리 쪽이 갑자기 아픕니다. [4] LG우승1703 18/03/31 1703
118038 [질문] 저도 엑셀 질문 있습니다. [12] 이명헌2063 18/03/31 2063
118037 [질문] 전세집 둘 중 어떤 곳을 선택하는 것이 나을까요? [16] Harin2658 18/03/31 2658
118036 [질문] 파크라이5 질문드립니다. [6] 포도1771 18/03/31 1771
118035 [질문] 영화표 필요하신 분 계신가요? (오늘한정) [6] 여의2412 18/03/31 2412
118034 [질문] 엑셀 시간함수 질문좀드릴게요. [6] 푸른피1832 18/03/31 1832
118033 [질문] 핸드폰 변경 후, 금융앱 인증 진행이 안됩니다. [2] 현금이 왕이다1508 18/03/31 1508
118032 [질문] 논리배틀물/이능력배틀물 추천부탁드려요 [18] 펩시콜라5805 18/03/31 5805
118031 [질문] 4월7일날 진해 가면 꽃이 많이 펴있을까요? [6] 루루티아2382 18/03/31 2382
118030 [질문] 실무에서 쓸 기초적인 엑셀을 배우고 싶습니다 [5] 삭제됨2139 18/03/31 2139
118029 [질문] 마들렌, 바움쿠헨 등 보관 질문드려요. [4] 생선가게 고양이6517 18/03/31 65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