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3/27 03:55:27
Name 배반포
Subject [질문] 수면 패턴이 밤낮 바뀌고, 불규칙적입니다. 고치고싶어요... (수정됨)
고등학교 졸업하고 스무살 대학에 입학한 시점부터 군대-휴학-복학후 지금 이 시점까지 수면패턴이 매우 불규칙하고
주로 밤낮이 바뀐 생활을 하고 있는데 고치려고 해봐도 잘 안되고 몸이 거부하는 느낌이네요

학교를 다니는데 어떻게 밤낮이 바뀌냐 그렇게 생각하실거 같은데

예를 들어서, 수면패턴이 어쩌다보니 정상으로 한번 돌아온 시점을 가정해보면
월요일 - 오전 8시기상후 등교 / 17시 하교 / 아침 일찍 일어났던것 떄문에 오후 18시에 취침(...) /  다음날 새볔 4시 기상
이런 식으로 너무 일찍 잠들거나 아니면 정 반대로 새볔까지 잠을 못자거나...
또 잠을 어느날은 12시간씩 자고 그렇게 자고난 다음날은 또 잠이 안오고...  
주말 되면 오전에 일어날일이 없으니 더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고  그러다보면 또 수면 리듬이 깨지고...

그냥 햇빛보고 운동하고 스마트폰 줄이고 주말에도 일찍자고 일찍일어날려고 하고
그런게 답이란건 아는데 실천하기가 너무 힘드네요. 수면일지,식사일지는 쓰고 있거든요.
혹시 저같은 불규칙한 수면 패턴을 가지신 분들 중에 그런것을 고쳐본 경험이 있으신분이 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잠깐만요
18/03/27 04:22
수정 아이콘
수면 패턴은 무조건 일어나는 시간에 맞춘다고 생각하세요.
아침 7시에일어나고 싶으면 어떻게든 11시~12시까지 참았다가 자면 됩니다.
한 이틀 정도 낮잠 안 자고 그렇게 자면 패턴이 맞춰져요.
중간에 안 자는 게 중요.
신공표
18/03/27 04:26
수정 아이콘
그렇게 꾹 참고 안 자고 밤 10시에 잤는데 새벽 2시 30분에 깨더라구요.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잠깐만요
18/03/27 04: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최대한 빨리 다시 잠들었다가 다시 시도해야죠.
ex) 2시 30분 눈떠짐 -> 가벼운 야식 먹거나 2시간 후 취침시도 -> 11시 ~ 12시 기상 -> 낮잠 안 자고 자정 ~ 오전 1시 취침 시도 -> 7시 기상
아침에 일어나고 싶은 시간을 확실하게 정해서 그 시간에 일어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18/03/27 05:05
수정 아이콘
밤낮을 돌리려면 자는시간이 중요하더라고요. 밤낮을 한번 돌려도 중간에 낮에 낮잠을자면 말짱 꽝이더라고요. 무조건 밤에 자는게 중요한거 같습니다.
이디어트
18/03/27 06:10
수정 아이콘
저도 대학생때 말씀하신거랑 비슷했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저 패턴의 가장 큰 문제는 폭잠인데
8시간이상 안자게하는게 중요합니다
8시간 넘는 순간 잠이 아니고 일이되서 잘수록 피곤해지고 잠이 잠을 불러 새벽에 잠들었는데 해질때 다되서 깨는 이상한 수면이 생기게 되더라고요(15시간씩자서 일어나면 허리가 아플지경)
즉 아무리 피곤해도 저녁9시는 넘어야 잠을 자고, 하루밤샘 까더라도 담날 참고 저녁에자서 8시간을 맞춘다거나 하는게 중요했던거 같아요 밤샛다고 18시간씩자는건 크리스마스 하루로 충분합니다.
그리고 또 하나, 저도 글쓰신분 생활패턴으로 살아서 나중에 회사 어떻게 다니지 걱정많이 했는데, 회사다니면 다 해결됩니다. 강제로 늦게 자게되고 강제로 일찍일어나게 되고 돈주니 안할수 없고..ㅜ
Biemann Integral
18/03/27 07:10
수정 아이콘
왜 고치시려는거죠? 자고 싶을 때 자는게 얼마나 축복인데요.흐흐
나중에 일을 시작하거나 적응해야 할 땐 몸이 알아서 적응 할겁니다.
모모이 하루코
18/03/27 07:41
수정 아이콘
정 안되신다 싶으시면 수험생 대상으로 하는 수면클리닉에라도 가보세요
힘든일상
18/03/27 07:54
수정 아이콘
의학 도움 받으세요.
인터넷이나 주변에서 얻는 정보는 오류투성이입니다.
18/03/27 09:09
수정 아이콘
저처럼 12시 이전에 잠들면 새벽 일찍 일어나시는 타입이네요. 무조건 12시 이후까진 버티는 방법밖에 없더군요.
18/03/27 09:49
수정 아이콘
실천하기가 힘들다는 게 핵심 포인트네요. 저는 고딩때부터 대학생때까지 매일 새벽 2-4시에 자고 늦게 일어나는게 너무 스트레스라 상담도 받았는데, 스트레스 덜 받고 마음은 편해졌지만 결국 고쳐지진 않았어요. 언제 그게 해결됐냐면.. 회사 입사하고 나니 새벽 여섯시 반에 일어나서 출근해야 되니까 강제 기상이고, 늦게 자면 담날 피곤해서 괴로우니까 12시엔 무조건 자게 돼요.
그러니까, 수면패턴 조절을 못하는 게 아니고 몸이 기존 습관에 익숙해서 강제되지 않으면 안하는 거예요. 최소 일주일 정도 힘겹더라도 스스로 이기고 꾸준히 습관을 들이는 방법 밖에 없어요.
18/03/27 10:05
수정 아이콘
출근해야되면 강제로 고쳐집니다. 그전까진 그냥 내키는대로 사세요 ㅠㅠㅠ
엔타이어
18/03/27 10:14
수정 아이콘
약국에서 멜라토닌 구해서 먹으면 잠이 안오는거는 고칠수 있긴 합니다.
자야겠다 싶은 시간에 멜라토닌 먹으면 잠이 거의 바로 와요.
한국에서는 시판을 안하고 있긴 하지만 왠만한 약국에서는 구해달라고 하면 며칠정도 후에 가면 받을수 있을겁니다.
손연재
18/03/27 10:34
수정 아이콘
지금 누리세요.. 나중엔 야근해야 해서 잠도 못 잡니다
블랙핑크지수
18/03/28 01:49
수정 아이콘
저도 저런패턴인데...하루2~4시간 자게되면 자연스럽게 돌아옵니다
18/03/27 10:44
수정 아이콘
저도 취직 전까지 거진 10년간 그런 삶을 살았는데, 취직하니까 고쳐지더군요. 그냥 내키는데로 주무세요. 나중에 아침 기상이 강제되면 어떻게든 고쳐집니다.
비마이셀프
18/03/27 16:29
수정 아이콘
핸드폰 조절 앱?을 설치해서 저녁 10시반부터 인터넷 안 되게 막아놨습니다.
배반포
18/03/27 23:42
수정 아이콘
모두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7937 [질문] 화장실 앉아쏴 하시는분들께 질문 [23] NCS3203 18/03/29 3203
117936 [질문] 교수님 선물 뭐가 좋을까요?! [18] 맛난스콘4935 18/03/29 4935
117935 [질문] [오사카]일본 여행 2박3일 여행 일정좀 봐주세요. [8] 초키초킥2262 18/03/29 2262
117933 [질문] 푸쉬업바 질문입니다. [2] 어빈3154 18/03/29 3154
117932 [질문] 가습기+공기청정기 -> 가습 공기청정기는 어떤가요? [7] Timeless2568 18/03/29 2568
117931 [질문] 일반인이 초등학교 들어가면 안되나요? [10] Jon Snow6417 18/03/29 6417
117930 [질문] 에버랜드 입장권 자유이용권이 따로 구입해야하나요? [5] Han Ji Min3558 18/03/29 3558
117929 [질문] 세무공무원, 은행원, 경찰은 개인정보(주민등록증)를 악용할 수 있을까요? [11] 여의2989 18/03/29 2989
117928 [질문] 길음역 - 종암경찰서 주변 맛집있나요? (+ 성신여대) [8] 잉차잉차2702 18/03/29 2702
117927 [질문] 최근 발표한 아이패드 어떤가요? [5] 포이리에3248 18/03/29 3248
117926 [질문] 새끼 5마리 낳은 어미 고양이 밥양.. [10] 희원토끼3471 18/03/29 3471
117925 [질문] 안검하수관련해서 궁금증이 있습니다.(사진 有) [6] 토우2080 18/03/28 2080
117924 [질문] [나의 아저씨 3화 스포] 채권 양도 관련 질문... [6] 차라리꽉눌러붙을2397 18/03/28 2397
117923 [질문] 독일 회사로 이직할듯 합니다. [23] 잉크부스4554 18/03/28 4554
117922 [질문] [긴급] 부산 경성대 주변 업무적으로 식사할 수 있는 곳 찾습니다! [2] 설탕가루인형1882 18/03/28 1882
117921 [질문] 동원훈련 연기 가능한 시험 질문입니다. [3] 헛발질3760 18/03/28 3760
117920 [질문] 보험수리 질문입니다 1441 18/03/28 1441
117919 [질문] 어머니가 쓰실 중고폰(노트5 vs S7) 어떤게 좋을까요? [11] 유니꽃2053 18/03/28 2053
117918 [질문] 피규어 도색은 생산시에 수작업으로 다 칠하는건가요? [2] 고통은없나4078 18/03/28 4078
117917 [질문] 동영상 화면이상 유정연꺼2081 18/03/28 2081
117916 [질문] 손이 편한 기계식 키보드가 있나요? [26] 망탕12080 18/03/28 12080
117915 [질문] 이 사양으로 배그 144Hz 돌아갈까요? [8] 멋진인기4492 18/03/28 4492
117913 [질문] [신용카드] 카드사마다 한도가 별도로 설정되어 있나요? [9] 꾸꾸4235 18/03/28 42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