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3/26 15:07:37
Name 빛날배
Subject [질문] 개발자로 일하고 계신분들 하루 업무량이 어느정도 되나요?
제가 코딩능력이 느린편인지 빠른편인지 알고싶어서 여쭙습니다. it기업에 근무하시는분들 하루 업무량이 어느정도 되시나요? 당연히! 케바케 회사마다 개인실력마다 다르겠지만 여러분 개인의 경험으로 어느정도가 주어지는지 알고싶습니다(ex. 웹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구현 등)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알카드
18/03/26 15:11
수정 아이콘
안드로이드 개발자구요. 업무시간 이내에만 코딩합니다. 그리고 일하는 성격에 따라 작성하는 코드의 수가 달라집니다. 성숙된 프로덕트 팀에 있을 때에는 크래시는 아예 없어야 하고 버그도 거의 다 잡은 체로 + 기존의 코드 구조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코딩을 해야해서 코드 라인 수 자체는 적구요. 빠르게 앱 개발해서 출시하는 팀에 있을 때에는 같은 시간 일하긴 하지만 작성하는 코드 라인 수가 상대적으로 훨씬 많구요.
빛날배
18/03/26 15:38
수정 아이콘
보통 몇라인정도 하시나요? 그리고 구현상 어려운 알고리즘이 있으면 코드가 짧아도 오래걸리지 않나요? 이런경우는 팀에서 고려를 해주나요?
알카드
18/03/26 15:44
수정 아이콘
피쳐 하나당 1000 line 안되는 것 같아요 보통. 그리고 어려운 경우엔 코드가 짧아도 고민했던 걸 커뮤니케이션 잘 하면 별 문제 없더라고요. 일반 회사면 단순 결과물이 적어서 뭐라할 수도 있는데 IT 회사다 보니까 개발자들이 다들 잘 이해해줘요.
18/03/26 15:54
수정 아이콘
라인수로 업무량을 파악하는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라 생각합니다.
남들이 100라인에 구현할걸 버그없이 더좋은 알고리짐으로 더적은 라인으로 구현한다면 이또한 능력이니까요.
포도사과
18/03/26 15:17
수정 아이콘
특정 기능 구현에 유닛테스트가 포함되면 업무량이 엄청나게 불어나지 않나요?
그래도 유닛 테스트는 해야하니까...

1시간짜리 구현도 유닛테스트 붙으면 2시간 3시간 되는건 기본인 것 같아요
빛날배
18/03/26 15:37
수정 아이콘
아 실무에서는 유닛테스트가 자주쓰이나요? 이부분은 생각도 안해봤는데;;
포도사과
18/03/26 16:16
수정 아이콘
회사마다 다를 것 같은데요,
가급적 하는 편이고 하는게 좋아요.
유닛테스트를 빡빡하게 짤수록 추후에 수정되었을 때 버그찾기도 편하구요
포도사과
18/03/26 16:20
수정 아이콘
추가로 말씀드리면 데모성 성격 작업에는 유닛테스트 아예 안넣었습니다(일정상의 문제도 있어서)

그게 아니라 돌아가고 있는 프로젝트(서비스 중이거나 서비스예정) 이라면 무엇인가를 빠르게 만드는 것보다
무엇인가를 안정적으로 만드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그런 의미로) 작업 시간이 긴건 이해가 가능한 부분인 것 같구요.
18/03/26 15: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회원가입구현이 디비 테이블은 구현되어 있어 입력받아야하는 항목이 모두 정의 되어 있고 정리된 상태라면 너무 단순한 기능 같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의 작업 환경인 프론트엔드 angular+bootstrap으로 퍼블리셔가 후작업을 해줄것을 감안해서 기능 구현에 주력하고
백엔드 저장 api는 스프링부트로한다면 개발엔 1-2시간이면 가능할것같습니다. 단위테스트도1-2시간으로 예상해서
실제로 투자하는 시간은 3-4시간정도이겟지만 월급루팡 + 혹시모를 이슈등을 생각해서 하루동안 작업햇다고 쓸것같습니다.

#추가로 말씀하신대로 개개인의 능력이 다르기때문에 업무량을 설명하긴 쉽지 않아보입니다..
다만 팀의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개개인의 능력을 파악해서 실력이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수준에서 시간을 투자하게 하여 가능하면 야근을 적게하고(비슷하게 하고) 실력이 좋아 남들보다 좋은 퍼프먼스를 낸 인력에게는 연봉이나 인센티브등의 다른 혜택을 주는게 좋은 팀장인거 같다는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7819 [질문] 여름에 규슈지방 (후쿠오카, 나가사키) 여행 어떤가요..?? [18] 스윗앤솔티3945 18/03/26 3945
117818 [질문] 개발자로 일하고 계신분들 하루 업무량이 어느정도 되나요? [9] 빛날배3336 18/03/26 3336
117817 [질문] [육아]11개월 아기 육아 질문드립니다. [13] 봄春2514 18/03/26 2514
117816 [질문] 단체 식중독 대처 방법 문의 [1] empty1447 18/03/26 1447
117815 [질문] 자동차 보험처리 질문(자차처리) [1] Great Wave2000 18/03/26 2000
117814 [질문] 회비 제때 안내는 사람들은 무슨 마인드인지 궁금합니다. [16] 아스날5147 18/03/26 5147
117813 [질문] 혼자 부산여행 어디가 좋을까요 [7] 솜브라2529 18/03/26 2529
117812 [질문] 병원 무슨과에 가야될까요? (헛구역질, 가슴통증, 잦은 기침) [11] linux6603 18/03/26 6603
117811 [질문] 일반인 혈당이 50~60대이면 큰 문제 없는건가요? [8] 저글링앞다리4454 18/03/26 4454
117810 [질문] 웹호스팅 or 클라우드 or 집에서NAS ... [8] 1llionaire2238 18/03/26 2238
117809 [질문] 운전 하시는 분들 각종 위반 자주 하시나요??ㅠㅠ [36] 삭제됨3205 18/03/26 3205
117808 [질문] 이거 스팸문자 인가요 [5] 언니네 이발관2464 18/03/26 2464
117807 [질문] 이런 상황이라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실것 같으세요? [8] 캣리스2335 18/03/26 2335
117806 [질문] 광명 이케아 푸드코트에서 맛난 메뉴 추천 부탁 드립니다. [21] 원스3416 18/03/26 3416
117805 [질문] 하스스톤 친선퀘 도와주실분 계신가요?? [3] 보영1477 18/03/26 1477
117804 [질문] 요즘같은 날씨에 아이봉이 좋은 효과를 발휘할까요? [2] PROPOSITION1849 18/03/26 1849
117803 [질문] 금속노조 질문입니다 [11] 깐딩2379 18/03/26 2379
117802 [질문] 날라간 문자 받을 방법 없나요? 다이어트1647 18/03/26 1647
117801 [질문] 자동차 무보험 기간 [6] 삭제됨2853 18/03/26 2853
117800 [질문] 부산에 실용음악학원 추천 부탁드려요. 비오는거리1514 18/03/26 1514
117799 [질문] 여자들이 좋아하는 샤넬?구찌? 백 종류는 대략 가격대가 어느정도인가요? [27] 光海4918 18/03/26 4918
117798 [질문] [하스스톤] 하스스톤 까마귀의 해 이벤트 당첨되신분 있으신가요 ? [15] 수정1890 18/03/26 1890
117797 [질문] 전세집 이사를 했는데 집에 문제가 있습니다. [11] 휘안3872 18/03/26 38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