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3/08 21:11:56
Name bigname
Subject [질문] 왜 유럽 선진국들은 영국빼면 대중문화산업이 다른 중진국들보다도 발달하지 못했을까요?
간혹 영화나 드라마만 해도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은 말할 필요도 없고 다른나라들도

인도 발리우드, 터키 드라마, 중남미 텔레노벨라, 태국의 영화와 드라마 등등이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게 많은데

유럽은 영국 제외하면 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스웨덴, 네덜란드 이런나라들은 저런게 발달해있다는 정보를 접하지 못한거같네요.

음악이나 애니메이션만 해도 저 유럽 국가들에서 한국 케이팝이나 뽀로로, 라바급의 작품이 나왔다는 소식을 본적이 없는듯.

유럽이 정말 왠만한 중진국들보다도 대중문화가 발달하지 못했을까요 그렇다면 그 이유는 뭘까요?

아니면 제가 좀 잘못알고 있는 것인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프링글스할라피뇨
18/03/08 21:18
수정 아이콘
다른데는 몰라도 프랑스는 영화산업이 엄청나죠.
돈에서 할리우드에 밀리다보니까 근래들어 문제가 있긴합니다만.
좋은 작품, 배우, 감독이 많이 나옵니다.
18/03/08 21:26
수정 아이콘
일단 영미권 국가와 문화적으로 가깝다 보니 자국 문화산업 내 헐리우드 영화나 영미팝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점도 있을거고요.
그렇다 하더라도 프랑스나 독일 정도 되는 국가는 우리가 몰라서 그렇지 무시할만한 규모는 아닙니다.
음악시장 같은 경우도 우리나라보다 두 세배는 크구요.
軽巡神通
18/03/08 21:26
수정 아이콘
프랑스 : ???
키무도도
18/03/08 21:28
수정 아이콘
영국이랑 프랑스는 우리나라, 일본보다도 큽니다.
태고의 태양
18/03/08 21:29
수정 아이콘
edm은 유럽이 주도하는 것 같은데 아닌가요? 프랑스 네덜란드 스웨덴 출신 dj 많이 들어봤는데...
18/03/08 21:33
수정 아이콘
근데 그분들의 음악은 보통 처음부터 끝까지 영어로 불러지는 노래라서 그나라들의 음악이 아니라 영미권 음악이라고 치지 않나요?
그 닉네임
18/03/08 21:44
수정 아이콘
언어만 영어지 영미권 팝음악들이랑은 조금 달라요. 가사 없는 노래도 많고
young026
18/03/08 21:34
수정 아이콘
유로팝이 케이팝보다 못할까요?-_-;
18/03/08 21:34
수정 아이콘
abba 어리둥절..... 북유럽쪽은 pop이나 메탈에서도 알아주지 않나요?
18/03/08 21:36
수정 아이콘
짧게 근 20년만 돌아봐도 질문자체가 틀렸다고 생각되실겁니다 ^^;
My Poor Brain
18/03/08 21:47
수정 아이콘
드라마는 모르겠는데 영화 메탈 포스트락 이런 거 생각하면 글쎄요? 군대 IPTV만 돌려봐도 유럽 3대 영화제에서 나온 띵작 영화 넘치던데. 학교 영상 예술 수업에서도 유럽 영화랑 할리우드랑 동일한 비중으로 다뤘습니다.
그 닉네임
18/03/08 21:48
수정 아이콘
케이팝은 몰라도...
예를들어 독일에서 뽀로로급 애니가 나왔다고 치면, 그걸 우리나라 언론에서 독일 언급을 할까요?
마찬가지로 쟤네들도 뽀로로가 한국에서 만들었는지 모르는 사람 태반일껄요?
Skatterbrain
18/03/08 21:50
수정 아이콘
유럽이 케이팝 같은 음악을 안하니까요. 대중음악의 중요한 갈래인 메탈 락 계열에서 유럽권은 영국 미국 바로 다음입니다.
18/03/08 22:06
수정 아이콘
정보를 얼마나 알아보신건지?
국내에서 찾으셨다면 당연히 그렇게 느끼실만도..
도연초
18/03/08 22:50
수정 아이콘
질문에서도 말씀하셨듯이, 그냥 bigname 님이 정보를 접하지 못하셨거나,
대중문화산업이라는 카테고리 분류를 너무 좁게 정의하고 계신 것 같네요.
예로 드신 국가들 가운데 네덜란드, 스웨덴에 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러시아 같이 한때나마 세계를 주름잡았던 국가들의 문화적 축적은,
요 몇 년 반짝하고있다고 해서 K-Pop이나 한류가 비벼볼 수준이 아니예요.
18/03/08 23:42
수정 아이콘
군맹무상
18/03/08 23:56
수정 아이콘
다펑, 저스티스, 스트라토바리우스, 에드가이 등등 의문의 쓰레기통행
18/03/09 00:05
수정 아이콘
그리고 유럽권에서 팝스타로 성장할 재목은 미국으로 가죠.
맛난스콘
18/03/09 11:23
수정 아이콘
유럽을 너무 과소평가하셨... 다만 영국에서 영화관 갔던 경험만 비추어보면, 느낌이 뭐랄까.. 영화는 오페라 뮤지컬 연극 등에 비해 하위문화로 취급받는 느낌이랄까요. 우리는 영국축구에 열광하지만, 클래스 높은네들은 또 관심없더군요. 향유하는 문화의 ‘클래스’ 가 구분되어있다는 느낌이 들었고 노인네들은 그런 얘기를 공공연히 하더군요. 오히려 서점에서 여는 책낭독회 같은 듣기만해도 재미없는 모임에 오히려 사람들이 있더군요. 대중문화를 어떻게 정의하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각자 개인별, 무리별 취향이 있어 한 가지 장르나 작품이 선풍적으로 휩쓰는 느낌은 적지않을까하네요. 상대적으로 우리는 문화조차도 너무 승자독식, 대박아니면 쪽박, 상업적이라는 이야기를 들을수도 있지않을까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7076 [질문] 이직관련 조언 부탁 드립니다.(삭제예정) [6] 삭제됨2356 18/03/09 2356
117075 [질문] 한국과 미국의 대통령권한에 차이가 있나요? [4] 브록레슬러2257 18/03/09 2257
117074 [질문] 앞으로 달러환율 어떻게 보시나요? 큐브큐브1729 18/03/09 1729
117073 [질문] 가르시니아 계속 먹어도 될까요?(더러움 주의) [1] 기다1923 18/03/09 1923
117072 [질문] 현존 기성품 모니터 끝판왕은 어떤게 있을까요? (모니터 구입 추천 요청) [18] 미고띠3172 18/03/09 3172
117071 [질문] 혼자 제주도에 와버렷어요 [11] 김민채4077 18/03/09 4077
117070 [질문] ps4 패드 파지법? (feat 니어 오토마타) [7] La La Land7190 18/03/09 7190
117069 [질문] 위쳐3 구입 질문입니다. [7] 찬양자2784 18/03/09 2784
117068 [질문] 모니터 크기에 따른 글씨 크기 문의합니다 [4] SlaSh.1843 18/03/09 1843
117066 [질문] 컵라면좀 추천부탁드립니다. [14] 이호철2893 18/03/08 2893
117065 [질문] 홍대 봉황당 가보신분 계신가요? 스웨트1983 18/03/08 1983
117064 [질문] 서울에 약 2~3시간 가량 가볼만한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정어리고래2520 18/03/08 2520
117063 [질문] 짠내투어 14회 bgm 질문드립니다! 살다보니별일이2383 18/03/08 2383
117062 [질문] 이번엔 키보드와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1] kogang20011998 18/03/08 1998
117061 [질문] 모니터 어댑터 질문드립니다 키르1619 18/03/08 1619
117059 [질문] 이어팟 정도의 음질을 가진 블루투스 이어폰 있을까요?? [5] Helloween2322 18/03/08 2322
117058 [질문] 접촉사고 후속조치 질문드립니다. ㅠ [4] arq.Gstar1623 18/03/08 1623
117057 [질문] 2차 대전때 미국이 참전하지 않았다면? [20] 설사왕3387 18/03/08 3387
117056 [질문] 아리아나 그란데와 브리트니 스피어스 [30] KID A4026 18/03/08 4026
117055 [질문] 왜 유럽 선진국들은 영국빼면 대중문화산업이 다른 중진국들보다도 발달하지 못했을까요? [19] bigname3362 18/03/08 3362
117054 [질문] 혹시 변리사님이나 변호사님 계실까요? [7] 비연회상2867 18/03/08 2867
117053 [질문] 프린터 구매시 토너용량 [2] 콩심는한예슬1795 18/03/08 1795
117052 [질문] 삼성노트북 윈도우10 설치 질문 [7] DAUM3342 18/03/08 33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