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3/04 13:09:55
Name 지금뭐하고있니
Subject [질문] [주택 분양]빌트인 가전 계약 문의합니다 (수정됨)
저희 집에서 주택 분양을 받았는데요. 관련해서 문의할 게 있습니다.

소위 말하는 빌트인 가전 관련해서 무얼 계약하고 무얼 안 해도 되는지 말이죠.

현재 빌트인 계약 대상은
1, 시스템 에어컨
2. 빌트인 냉장고
3. 빌트인 김치냉장고
4. 빌트인 전기인덕션+가스레인지
5. 현관중문
6. 붙박이장
이렇습니다.

처음 분양을 받아보는 거라 뭐가 좋은지 전혀 감이 없네요.
일단 시스템 에어컨만 하더라도, 선택지가 다양해서(방이 3개인데, 방 1개 추가할 때마다 가격 차이가 꽤 나서...)
또 붙박이장은 꼭 해야 하는지 의문이고
일반적으로 빌트인 가전은 하지 마라는 말이 많아서 안 할 생각인데, 안 하고 나중에 구매할 경우 빌트인 공간이랑
완제품(냉장고, 김치냉장고, 인덕션 등) 사이에 공간 이격이 나서 보기 그런 게 아닐지도 걱정되고요...

현재로는 시스템에어컨(거실, 큰방, 작은방1개), 현관중문, 붙박이장 정도만 할 생각입니다.

첫 분양 계약이다보니 이것저것 모르는 건 너무 많은데 신경쓸 건 더 많네요
분양해보셨거나 잘 아시는 분 있으시면 답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s. 혹시나 참고삼아 가격도 함께 올립니다
시스템에어컨(일반형 기준)
거실, 안방 - 350만
거실, 안방, 작은방1 - 480만
거실, 안방, 작은방2 - 660만
빌트인냉장고(일반형) - 540만
빌트인김치냉장고 - 140만
빌트인 인덕션 - 80만
현관중문 - 140만
붙박이장(pet sheet 마감, 미닫이) - 230만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rateful Days~
18/03/04 13:2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모두 추천하지 않습니다.

시스템에어콘 물론 편하긴 하지만 나중에 AS받을거 생각하면 그냥 벽걸이+거실에어컨 정도면 충분하고,

냉장고와 김치냉장고는 그냥 인터넷에서 저렴하게 사시길.. 어지간하면 유격 생겨봐야 얼마 나지 않을겁니다.

현관중문도 방한에 좋긴한데 답답한 면도있고 별로 이쁘지 않아요.. 개인적인 취향으론.

붙박이장은 그냥 비슷한 사이즈로 해도 충분합니다 공간 약간있어도 큰 문제 없어요 되려 곰팡이 방지에 도움이되기도 하겠죠..

직접 구매하는것보다 싸고나 비슷하면 추천드리지만 훨씬 비쌀것으로 생각되기땜시 비추드립니다.
지금뭐하고있니
18/03/04 13:43
수정 아이콘
오 감사합니다.

혹시나 괜찮으시다면, 가격대도 한 번 봐주십사 하고 글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doberman
18/03/04 13:33
수정 아이콘
빌트인 제품이 시중가와 비교하면 심하게 비쌉니다.
붙박이장과 중문도 살아보고 불편하면 결정해도 됩니다.
지금뭐하고있니
18/03/04 13:44
수정 아이콘
제가 가격을 잘 모르지만, 직관적으론 그럴 거 같습니다.

나중에 결정하면 제가 마음에 드는 인테리어를 갖출 수 있어 좋을 수도 있을 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The HUSE
18/03/04 14:11
수정 아이콘
시스템 에어컨은 좋을 듯 합니다.
나중에 집 매매할 때도 좋고.
원래 빌트인은 가성비로 사는게 아니라 멋으로 사는거죠.
지금뭐하고있니
18/03/04 14:12
수정 아이콘
근데 청소, 노후, 전기세 3크리가 있다더군요...

글고 멋으로 사기엔 돈이..ㅠㅠ
셧업말포이
18/03/04 14:12
수정 아이콘
에어컨 - 방방마다 하실거면 하시고
거실 안방만 하실거면 2in1으로 커버됩니다.
요즘 하는 게 대세긴 합니다만.. 결국 집 팔때 본전 못 찾아요.

중문 - 하세요. 추후 설치도 가능한데, 입주때 하는 게 낫다는 평.
지금뭐하고있니
18/03/04 14:14
수정 아이콘
오 글쿤요 답변 감사합니다~~

갠적으로 중문 하긴 할건데 시점이 고민이네요
Grateful Days~
18/03/04 14: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꼭 작은방들도 에어컨이 있어야한다면 시스템이 더 낫긴할겁니다만.. 어지간하면 요즘 신축은 향만 좋다면 창문만 열어도 엄청시원하게 구조가 잘짜여져 있습니다. 그냥 거실+안방이면 150-200사이면 최신형에어컨들 살수있을겁니다. 살아보면 에어컨 별로 필요없을거같은 집도 있어요 사실..

냉장고는 현재 800L급이 아마 100정도면 살겁니다. 그리고 냉장고는 무조건 용량입니다.. 기능 다 필요없어요. 티비가 화면크기인것과 마찬가지로.,.

김치냉장고는 가격만보면 나쁘진 않은데 왠지 스탠드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김치냉장고는 무조건 스탠드입니다. 써보시면 알게되실거에요~

인덕션은 개인취향이기때문에 패스하겠습니다. 저희집도 입주할때 선물받은 인덕션으로 가스렌지를 대체해서 잘쓰고 있기때문에.. 근데 저가격이면 린나이나 매직쉐프같은것들이겠네요..

현관중문은 진짜 살아보시고 겨울에 좀 외풍이 들어온다 싶으면 달아도 됩니다.

붙박이장도 사실 개인취향이라생각.. 전 붙박이 달린집에 따로 장롱 들고왔는데 사이즈 맞추는거 보면 별로 필요없을거같아요. 미닫이라는게 아마 슬라이딩을 이야기하는것같은데 슬라이딩 도어하는데는 어지간히 고급제품아니면 비추합니다. 나중에 습기때문에 슬라이딩쪽에 문제가 생길겁니다.

@ 참고로 줄눈, 탄성코팅, 마루코팅등은 진짜 필요없어요. 살아보시고 문제생기면 고려해봐도 안늦음.. 괜히 했다가 그 핑계로 하자보수 안해줄수도 있어요.

@ 집을 직접 보시면서 그 느낌에 어울리는 톤으로 가구나 가전제품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지금뭐하고있니
18/03/04 14:28
수정 아이콘
와우 자세한 댓글 너무 감사합니다.
안 그래도 이것때문에 고민이 많았는데, 친절하고 자세한 댓글이 도움이 정말 많이 됐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Grateful Days~
18/03/04 14:34
수정 아이콘
일단 입주이전에 자주 가셔서 문 자주 열어 놓으시고(새집 냄새 빨리내보내는 방법들.. 베이크나 이런저런것들..보다 문 자주 열어놓으시는게 최곱니다. 입주전에 자주열어놓으면 꽤나 잘 빠져있어요.. )

방 내부 사이즈들 줄자로 미리 재놓으세요. 그래야 붙박이를 안해도 맞춰서 살수가 있죠. 슬라이딩이 유리한건 단하나라 생각합니다. 장롱문 여닫을공간이 필요없는것. 안방에 침대놓으면 여닫을공간이 모자랄정도의 방사이즈다 싶으면 슬라이딩 사시는게 좋죠. 그래서 안방은 침대사이즈도 같이 병행됩니다. 화장대도..

가전제품 사이즈도 공간사이즈만 알면 재충 맞춰 사시면 됩니다.

@ 행복하시겠군요. 하루하루 기다려졌던 저의 16년도가 기억납니다. ^^
지금뭐하고있니
18/03/04 14:48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흐흐

아직까진 실감이 확연히 오지 않는데, 아마 '집'이란 게 손에 닿을 듯 가까워지는 시점이 되면 실감도 되고 더더 행복해지겠죠 흐흐
이런저런 조언 너무나 감사합니다. Grateful Days~님, 행복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6863 [질문] [주택 분양]빌트인 가전 계약 문의합니다 [12] 지금뭐하고있니2547 18/03/04 2547
116862 [질문] 배틀그라운드는 북미 인기 완전 식었나요? [5] 메티스3181 18/03/04 3181
116860 [질문] 닌텐도 스위치 파티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2] preeminence4261 18/03/04 4261
116859 [질문] 영어 동화책을 읽다가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요. [4] 귤곰2079 18/03/04 2079
116858 [질문] CPU 전압에 뭔가 문제가 있는 걸까요? [1] LightBringer1748 18/03/04 1748
116857 [질문] 소니 A6000과 올림푸스 렌즈 호환 질문드립니다 [3] 스타카토2046 18/03/04 2046
116855 [질문] 공인인증서 복사 했는데 안뜨는 문제 [15] 조폭블루4104 18/03/04 4104
116854 [질문] 김포공항 라운지 이용 질문입니다 [3] 정지연2525 18/03/04 2525
116853 [질문] 앱 플레이어 사무용 컴퓨터에서 가능한 건 없나요 [1] 리니지1870 18/03/04 1870
116852 [질문] 광명역 -> 인천공항 리무진 버스 문의 [1] 서쪽으로가자2883 18/03/04 2883
116851 [질문] 신차 구입 고민 중입니다 [16] 달콤한인생3136 18/03/04 3136
116850 [질문] 지하철 플랫폼flatform을 홈이라고도 부르나요? [6] Repppo2066 18/03/04 2066
116849 [질문] 헤어진 연인에게 다시 연락할때 오프닝 멘트 [23] 장비4462 18/03/04 4462
116848 [질문] 삼성 FHD TV 추천 부탁합니다. [7] Healing2574 18/03/04 2574
116847 [질문] 노잼 탈출법? [24] Luxtau4903 18/03/04 4903
116846 [질문] 젤다 야숨 신수 다 깨고 마스터 소드 뽑았습니다. [5] 생선맛있네요3830 18/03/04 3830
116845 [질문] 신혼 가구, 가전 고르는 노하우 전수 부탁 드립니다.(침대, 책상, 식탁, 냉장고...) [11] 원스4251 18/03/04 4251
116844 [질문] 롤 경기 때 이건 별문제 없는건가요? [2] 정공법2282 18/03/04 2282
116843 [질문] 구글 주소록 수정을 하는데 띄어쓰기 적용이 안됩니다 RedSkai3178 18/03/03 3178
116842 [질문] 갑작스런 복통 때문에 질문 드립니다 [6] Arcade2225 18/03/03 2225
116841 [질문] 요즘 들어 급 3D 영상에 입문해보고 싶은데요. [1] 라플비1962 18/03/03 1962
116840 [질문] 스타 리마스터 실행하면 이런 오류 메시지가 뜹니다. ㅜㅜ [4] 외쳐222545 18/03/03 2545
116838 [질문] 디딤돌대출과 단독세대주 자격요건 변경과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4] 20184309 18/03/03 43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