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2/10 20:36:26
Name 설아
Subject [질문] 요즘 시대의 변화속도가 약간 느려진 느낌 드시는분 안계신가요?
15년전만하더라도 cpu발전속도가 상상초월이었는데...

10년전이나 지금이나 cpu는 그렇게 큰 성장을 못이룬것같고...(제 컴퓨터 9년차 생생함)

1990년대부터 2000년대, 2000년대부터 2010년대의 변화정도보다...

2010년에서 2018년까지의 변화정도가 좀 약한것 같은 느낌입니다. 전체적으로요. 기술적,정치적,문화적 등등..(스마트폰이 있으나... 스마트폰빼고 없는것 같습니다.)

저만 이렇게 느끼는 것인지 pgr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칼라미티
18/02/10 20:44
수정 아이콘
저도 몇년 전까진 그렇게 생각했었는데 알파고 등장 이후로 생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18/02/10 20:51
수정 아이콘
기술의 발전이란게 항상 일직선으로 우상향 하기보단 시대상황(사회통념, 인프라구축, 새로운 기술or지식의 발견)등에따라 기술적 특이점? 이오는구간에는 인류의 지식, 기술력이 질적,양적으로 크게 발전 하다가도 상황이여의치 않을때는 잠시 횡보 혹은 약간의 하락을 동반한 조정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진 일류지식과 기술은 우상향이니까 믿고 존버가즈아아아아
18/02/10 20:54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이 답변에서의 인류 발전 구간은 인류 탄생이후 부터 현재까지입니다
전문가의 의견도아닌 일반인의 평소 망상입니다 진지하게 보실필요없어용
새출발
18/02/10 20:52
수정 아이콘
CPU에서 받으신 느낌에 한해서는 1위 기업이 2위랑 격차를 많이 벌리면 혁신에서 멀어지는데 딱 그 기간입니다.
amd가 불도저를 내놓은게 2011년이지요.
18/02/10 20:57
수정 아이콘
전 최근 2년동안 계속 빨라진다는 느낌이 들어서요
CPU는 인텔이 경쟁사에 맞춰서 로드맵을 연기하면서 천천히 하고 있어서 그런 느낌 드시는게 당연합니다만..
알파고 이후 딥러닝 등으로 다양한 결과물들이 현실에 접목되면서 예전에는 저게 될까 했던것들이 하나 둘씩 결과물을 내고 있어서요.
저는 개인적으로 엄청 빠르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18/02/10 21:11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 느낌을..
VrynsProgidy
18/02/10 21:17
수정 아이콘
걍 2년을 너무 가볍게 보셔서 그렇게 생각하시는거 같습니다.
2019년의 마지막까지 23개월이 남았습니다.

고작 10년 단위 비교하면서 2년을 통째로 빼버리고 비교하는게 말이 안되죠

2019년 12월에는 이런 생각을 못 하실 확률이 높습니다.
Lord Be Goja
18/02/10 21: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90년대보다 2000년대랑 2010가 오히려 더 빨라진거 같은 느낌입니다.하다못해 cpu도 개인용 시피유나 제자리인거지 서버용은 총파워가 비교가 안되게 올라갔습니다.한 패키지안에 들어가는 코어수가 엄청나게 늘어났거든요.90년대의 80486의 발매시기와 80486dx4가 못쓰게 될정도 시기 생각하면 펜티엄4에 비해 장수하기가 더하면 더했죠.2011년~12년의 엔비디아 하이엔드카드였던 gtx580은 이제는 1050이랑 비교해도 완전히 처집니다.ssd의 용량대비 가격도 린필드시절이랑은 비교가 안되죠.거기에 정치사회적인 변화는 정말 빠르다고 생각합니다.교육조차도 2010년시작 무렵의 초등학교 1학년들 영어배워오는거랑 지금이랑도 완전 다르다더군요.제때는 학원에서 안배워오면 중1시작할때 영어 못 읽어서 혼났는데.

시피유에 대해 첨언하면 2011소켓의 시피유만 해도 샌디브릿지는 3960x나 동소켓의 제온이나 코어수가 6:8로 별차이가 안났는데 아이비브릿지때는 6: 10 하즈웰때는 8:16이상으로 벌어집니다.그냥 개인용만 별차이가 없는거에요
구경꾼
18/02/10 21:30
수정 아이콘
전 저희가 느끼는 일상적인 부분에서 실감이 안될 뿐이지, 발전 속도 자체는 더 빨라지지 않았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프로피씨아
18/02/10 22:07
수정 아이콘
십년 전에 4K 동영상 촬영되는 스마트폰 쓰셨나요?
십년 전에 프로기사는커녕 단급 실력 바둑프로그램도 없었을걸요?
십년 전에 SSD 쓰셨나요?
십년 전에 65인치에 두께가 10밀리미터이고 딥러닝으로 8K 업스케일링이 되어서 DVD 영상도 4K BD급 소스로 보여주는 텔레비전 쓰셨어요?
십년 전에 교통카드는 있긴 했지만... 아직 별로 안썼죠.
넥밴드조차 없이 그냥 귀에 꽂는 부분만 있는 블루투스 이어폰 그런건 상상도 못했죠

요컨대 보고 싶으신 것만 보신 거에요.
바카스
18/02/10 22:56
수정 아이콘
일단 교통카드는 기억이 틀렸습니다. 미니 교통카드라해서 당시 대학생 고등학생들은 핸드폰에 흔하게 들고 다녔습니다.
프로피씨아
18/02/10 22:59
수정 아이콘
그렇죠. 교통카드는 이십년 전이네요.
18/02/10 23:49
수정 아이콘
보고 싶은것만 본다 동감합니다.

2010년과 지금 페이스북만으로도 엄청난 변화입니다.
리콜한방
18/02/10 22:13
수정 아이콘
아뇨 훨씬 빨라짐을 느껴요.
18/02/10 23:35
수정 아이콘
그 사이에 PC가 저물고 모바일이 대세가 됐는데 이 정도면 엄청난 변화 아닌가요?
18/02/11 00:00
수정 아이콘
전문분야는 잘 모르겠고
제가 좋아하는 게임 분야에 한정해서 보면
2010년에 나온 게임으로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이 있는데
최근 나온 게임이랑 비교하면 그래픽 엄청 후지지 않나요?
2010년도 사람을 2018년으로 데려와서 최신 게임 4k 풀옵션으로 시켜주면 깜짝 놀라서 쓰러질 것 같은데...
18/02/11 01:34
수정 아이콘
엄... 나이들면 변화에 무뎌지기도 합니다
박현준
18/02/11 03:10
수정 아이콘
전 나이가 좀 되서 그런지. 몇배 아니 체감상으로는 몇십배 빨라지는 느낌입니다.
강미나
18/02/11 06:48
수정 아이콘
00-10 / 10-18이 아니라 98-07 / 08-17로 보면 차이 많이 납니다.
위원장
18/02/11 13:03
수정 아이콘
전 훨씬 빨라진거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5979 [질문] MCU는 하나도 안빼놓고 볼 가치가 있나요? [28] 진인환3510 18/02/10 3510
115978 [질문] 육아에 관련된 책 추천부탁드립니다. [7] 혜우-惠雨2490 18/02/10 2490
115977 [질문] 구글 캘린더 구독 추천 + 질문 [2] 아무거나해주세요1757 18/02/10 1757
115976 [질문] 이른 새벽이나 아침에 대실 되나요?? [3] 석양이진다42151 18/02/10 42151
115975 [질문] 구글 스프레드시트 함수 질문입니다. [1] Jedi Woon1864 18/02/10 1864
115974 [질문] 서울 - 강원도 철원 택시 이용 [12] 껀후이3173 18/02/10 3173
115973 [질문] 서대문역으로 출퇴근하게 되었습니다. 어디서 자취하는게 좋을까요? [16] 하임4775 18/02/10 4775
115972 [질문] 요즘 시대의 변화속도가 약간 느려진 느낌 드시는분 안계신가요? [20] 설아3318 18/02/10 3318
115971 [질문] 이런 행동의 심리가 뭘까요? [9] 이명헌2776 18/02/10 2776
115970 [질문] 보험 가입시 주의사항 질문입니다. [2] 곰강아지1581 18/02/10 1581
115968 [질문] 아이 패드 선물 관련 [2] 승뢰1872 18/02/10 1872
115967 [질문] 몬헌 월드 건랜스 팁 좀 주세요 [6] FRONTIER SETTER4113 18/02/10 4113
115966 [질문] NCS 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2] Total3797 18/02/10 3797
115965 [질문] 외대앞 혹은 경희대 앞에 24시간 카페가 있을까요? [5] GoThree7969 18/02/10 7969
115964 [질문] 스1 테란 개념을 늘리려면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5] 설아5004 18/02/10 5004
115963 [질문] [대학원]잘 모르는 전공 내용을 발표할때 [12] 무민2738 18/02/10 2738
115962 [질문] 인천공항 7시 비행기 문의드립니다. [5] 사도쫓는바퀴2582 18/02/10 2582
115961 [질문] 그래픽 카드에 이상이 있는거 같은데 검사를 어떻게 해야하나요? [10] 타릭3628 18/02/10 3628
115960 [질문] 드론 질문 입니다 [3] Lord Be Goja1992 18/02/10 1992
115959 [질문] LOL 리메이크 스웨인 궁이 활성화가 안되는데.. [4] 오'쇼바3496 18/02/10 3496
115958 [질문] 3호선 양재역 근처로 출퇴근합니다. 자취방으로 어디가 좋을까요? [23] 엄청난닉네임14083 18/02/10 14083
115957 [질문] 커세어 청축 키보드는 어떤가요? [4] 챔쁜이4775 18/02/10 4775
115956 [질문] TV겸용 모니터 or 수신카드+모니터 어느게 좋을깝쇼.. [1] 키토1820 18/02/10 18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