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13 16:52:40
Name 저는여니에요
Subject [질문] 중국 중화사상의 시작을 대표하는 인물이 누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평소 피지알 눈팅만 하다가 과제로 질문 드리게 되네요
제가 중화사상을 태동시킨, 이 사상을 대표하는 인물로 과제 논리를 전개 하려고 하는데
구글링, 네이버 등등 열심히 검색을 해보았으나
뚜렷하게 이사람이다! 라고 나오는 인물이 잘 없네요..ㅠㅠ
여러분들의 많은 도움이 필요합니다
부탁드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1/16 14:46
수정 아이콘
염황지손 검색해보세요,도움되실겁니다.
Galvatron
18/01/13 17:19
수정 아이콘
중화사상이란 구체적으로 뭘 지칭하시는거죠?
18/01/13 18:05
수정 아이콘
보통은 유방을 이야기하지 않나요? 사상가라기엔 이상하지만요
마제카이
18/01/13 18:31
수정 아이콘
음 일단 중화사상에 대한 개념정리부터 시작하셔야 할 것같아요.. 개념정리가 되고 사상가들 사상을 살펴보며 비슷한 계열을 찾아가야할 태니깐요.
허허실실
18/01/13 19:53
수정 아이콘
최초의 기틀은 주나라 초기에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을텐데 누구의 사상이다라고 인물을 특정하기엔 곤란할 것 같고, 지금의 중화사상이란 형태로 변해오면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이라면 공구 - 동중서/공손흥 - 주희 - 캉유웨이/량치차오 정도가 순간적으로 떠오릅니다.

공양학이란 키워드로 논문을 좀 찾아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네요.
허허실실
18/01/13 20:02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엄청나게 어려운 주제를 고르셨네요.

저야 뭐 타학과 전공자라 대충 어림짐작만 할 뿐이지만 동양철학이나 정외과라면 최소 석사, 아니 박사 논문을 써야할 것 같은 주제로 보이는데 말이죠.

(...)
18/01/13 20:59
수정 아이콘
진시황 아닌가요? 중국 최초로 통일해서 그때부터 중화사상 시작된거라고 봐야하지않을까요?
Lord Be Goja
18/01/13 21:59
수정 아이콘
그 사람들이 스스로를 한족으로 칭하는거보면 한나라 아닐까요? 한나라 글자라는 한자도 그렇고. 단순히 하나의 나라라면 주나라나 은나라가 먼저있긴했죠.
간손미
18/01/13 22:05
수정 아이콘
너무 애매한거같은데;;; 단순히 한족, 한문화가 구성되는데 큰 영향을 미친 사람을 꼽으라면 저는 유방이라고 보기는 하는데... 정확히 중화사상이 무엇을 의미하고 싶은지가 모르겠네요.
Lord Be Goja
18/01/13 22:28
수정 아이콘
유방이 중요한 계기가 된것은 유방 그사람 자체도 있지만 경쟁자였던 항적은 분열-봉건 주의자였기 때문입니다.항우는 각지역에는 왕들이 알아서 다스리는 구체제가 좋다고 생각했거든요.만약에 유방이 항우에게 졌다면 초나라는 여러명의 제후들이 각자 실권을 가졌을가능성이 높고 그렇게 되면 흉노에게 200년만에 복수하는것은 불가능했을겁니다.항적 이후에는 분열된 중국을 제압하는 사람의 목표가 중앙집권제가 아니였던 경우가 없죠.
30세남
18/01/13 23:04
수정 아이콘
중화사상을 뜻하는게 한두개는아니지않나요..? 너무 포괄적인데; 그사람을 딱 한명찝기에도 난해하고요..
우리가 제일민족이고 타민족은 오랑캐로취급하며 깔보던시기는 가장 군사력이약했던 송나라때였죠.. 남존여비도 그때 유행했고요.
당나라도 그런부분이있긴했지만 당은 타민족의 문화에대해선 굉장히 관대한편이었던터라 포함시키진않았네요
저는여니에요
18/01/14 02:13
수정 아이콘
저도 아직 확실하게 기틀 잡히지 않은상태에서 하는거라..
말씀들 보니 엄청 복잡하고 포괄적인 개념이네요.. 개념부터 보다 확실히 잡아보겠습니다.
답변달아주신 모든분들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4687 [질문] 자기가 하던 게임이 서비스 종료 되면 어떤 기분인가요? [15] CastorPollux3164 18/01/13 3164
114686 [질문] [코인]스마트 컨트랙트 관련 [2] 승뢰1750 18/01/13 1750
114685 [질문] 철과 플라스틱 사이 접착 할 만한것 없을까요? [10] Tyler Durden6518 18/01/13 6518
114683 [질문] 스위치 프로콘으로 격투겜 할 만 한가요? [11] 9년째도피중3182 18/01/13 3182
114682 [질문] 가상화폐 환불 [8] 우리아들뭐하니3311 18/01/13 3311
114681 [질문] 다른 사람의 피에 노출된 경우 괜찮을까요? [5] 삼선볶음밥2812 18/01/13 2812
114680 [질문] 30대 중반쯤 되면 스트레스를 더 쉽게 받나요? [25] 재지팩트4478 18/01/13 4478
114679 [질문] 중국드라마 사마의와 비슷한 사극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보로미어6605 18/01/13 6605
114678 [질문] 밖에서 집에있는 냉난방기를 작동시킬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3] 마르키아르2533 18/01/13 2533
114677 [질문] 중국 중화사상의 시작을 대표하는 인물이 누가 있을까요. [12] 저는여니에요2609 18/01/13 2609
114676 [질문] 증거가 불법이면, 명백한 살인범도 풀어줘야 하나요? [7] 마르키아르3383 18/01/13 3383
114675 [질문] 종각역 일대 저녁이나 아침 혼밥하기좋은 맛집 뭐가있을까요? [6] 여자친구4537 18/01/13 4537
114674 [질문] 핸드폰으로 결제하고 블루스택에서 다운 받을 수 있나요? [5] 창조신2904 18/01/13 2904
114673 [질문] 서울시청근처 먹을거리 질문이요. [4] 보아남편1933 18/01/13 1933
114672 [질문] 전세 계약 관련 질문입니다 [2] 부들부들2241 18/01/13 2241
114671 [질문] 온수가 안나옵니다 쿨럭 [11] 불굴의의지2447 18/01/13 2447
114670 [질문] 실내 데이트 추천 부탁드려요 [5] 달콤한인생2730 18/01/13 2730
114669 [질문] 모바일게임 추천 부탁드려요 [2] 치토스2369 18/01/13 2369
114668 [질문] 스파5 맨날 지는 쌩초보자가 주캐로 할만한 캐릭 누가 있을까요? [8] 사쿠라기루카와4037 18/01/13 4037
114667 [질문] 인텔사건) 노트북 구입도 보류하는게 좋을까요? [4] 다크템플러2774 18/01/13 2774
114666 [질문] 히소카 같은 애가 나오는 만화 있나요? [9] 이명헌3465 18/01/13 3465
114665 [질문] 안드로이드용 크롬 메인화면에서 추천뉴스페이지 제거하는 방법 질문입니다 [2] Lord Be Goja2137 18/01/13 2137
114664 [질문] 인텔 린필드 cpu도 보안패치해야되나요? [5] 설아1902 18/01/13 19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