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10 19:47:03
Name 레너블
Subject [질문] 우리나라 광복 이후와 세계대전 공부를 하고싶은데요.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부터 14대 대통령까지

해외는 세계1차대전 2차대전 공부를 하고싶은데요

시험을 봐야하는게 아니라 그냥 개인적인 호기심으로요.

그때 상황이 어땟는지 자세히 궁금도하고...

어떤식으로 공부를 하는게 좋을까요?

서점에 있는 교재들은 대부분 수능 공시생을 위한 문제를 맞추기위한 책들일텐데

저처럼 그냥 역사 자체를 알고 싶은 사람도 이러한 책들로 공부해도 되나요?

좋은 강의도 있으면 좀 들어보고싶구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홍승식
18/01/10 20:04
수정 아이콘
재미로 역사를 알고 싶으시면 나무위키가 최고죠
보시고나서 더 궁금한 내용에 대해서는 관련 서적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18/01/10 20:12
수정 아이콘
그런거라면 서점 가셔서 일반 서적들 둘러보시면 될텐데요. 서점에는 수험서만 있는게 아니니까요.
불같은 강속구
18/01/10 20:28
수정 아이콘
강준만의 <한국현대사 산책>이 제일 좋은 선택입니다.
불같은 강속구
18/01/10 20:29
수정 아이콘
마침 리디북스에서 79% 세일중입니다.
18/01/10 20:48
수정 아이콘
세일 링크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리디북스에서 검색하니까 세일이 아니라서요.
불같은 강속구
18/01/10 20:52
수정 아이콘
https://ridibooks.com/event/8108
50년 대여라고 합니다.
아나 아마리
18/01/10 20:30
수정 아이콘
http://mobile.kyobobook.co.kr/showcase/book/KOR/9788901154190 한국 현대사는 이 책 추천드립니다.
18/01/10 20:44
수정 아이콘
서적보단 다큐멘터리쪽으로 접해보시는게 어떠신가요
덴드로븀
18/01/10 20:49
수정 아이콘
이럴땐 꺼라위키!
물론 50% 만 믿어야합니다.
진인환
18/01/10 21:19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나무위키를 보는 제일 좋은 방법은 보고나서 남들에게 아무런 말도 하지 않는겁니다. 그래야합니다 ㅠㅠ
내안의그대
18/01/10 21:02
수정 아이콘
정봉주의 전국구에서 진짜가짜역사란 이름으로 코너를 진행했었는데 우리나라 역사랑 2차 세계대전 전 후 흐름을 다뤘었는데 꽤 흥미롭게 들었네요.
이치죠 호타루
18/01/10 21: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양차 대전의 경우는, 일단 재미를 붙이시는 것 + 기본적인 내용 정도는 슥 훑고 머릿속에 집어넣는 정도라면 나무위키도 나쁘지는 않은 선택이긴 합니다. 국내의 양차 대전에 대해서 재미있게 써 놓은 책이 몇몇 있기는 한데 사실관계에서 오류가 있다던지 하는 문제가 있어서... 어느 정도 인명이나 지명, 사건의 흐름 등에 좀 익숙해졌다 싶으시면 존 키건이 쓴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으로 전문서에 입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두께가 좀 두꺼운데다가 개괄서이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입문용이지만 깊게 파기 위한 사전작업 정도로는 괜찮은 책이죠.

이후에는 영미권 서적을 찾으시다가, 독일어나 키릴 문자 습득 및 구글 번역기를 동원해서 독일이나 러시아권 위키백과 등에서 관련 자료를 찾으시는 게 좋죠. 단 반드시 교차검증을 해야 합니다. 대개 자국의 역사는 자국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서술되어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레퍼런스가 없으면 과감히 스킵하시구요.
SoulCompany
18/01/11 00:55
수정 아이콘
팟캐스트 이이제이, 책은 영원한 라이벌 김대중 VS 김영삼 추천합니다 입문용으로 가볍고 쉽게 쓰여있어서 편하게 읽으실 수 있을겁니다
한국현대사 산책도 좋은 책이긴 한데 일단 너무 길어요 10년단위로 3~4권씩 있고 말이죠. 첨 접하시기엔 딱딱하다는 느낌도 들것 같습니다

아니면 유투브에서 공화국 시리즈 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1,2는 없는데 3공화국부턴 올라와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강미나
18/01/11 02:07
수정 아이콘
그냥 본문에 나와있는것처럼 수능 공시 강의 들어도 괜찮을 거 같은데요. 광복 이후 현대사면 10시간 정도면 좍 훑을 수 있을거라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4533 [질문] [코인주의] 지금 가능한 중개소는 어디가 그나마 좋을까요? [7] 페로몬아돌2524 18/01/10 2524
114532 [질문] 김프가 심하게 발생한 이유는 뭘까요? [26] 괄하이드3913 18/01/10 3913
114531 [질문] 우리나라 비트코인 시장이 망하면 제2의 IMF급 경제위기가 찾아올까요? [19] bigname4654 18/01/10 4654
114530 [질문] 모니터에 찬바람 많이 맞으면 수명이 줄어들겠죠? [5] hk11612986 18/01/10 2986
114529 [질문] NCS공부를 어떻게 해야되나요? [2] 건투를 빈다4794 18/01/10 4794
114528 [질문] 철권7 캐릭터 조시 어떤가요? [2] 슈가붐3605 18/01/10 3605
114527 [질문] 우리나라 광복 이후와 세계대전 공부를 하고싶은데요. [14] 레너블2337 18/01/10 2337
114526 [질문] 신생아용 물티슈? [10] phoe菲2217 18/01/10 2217
114525 [질문] 난방과 결로의 상관관계? [8] 시행착오 합격생3047 18/01/10 3047
114524 [질문] [코인주의?] 주식이나 코인에서 거래가는 어떻게 결정되는 건가요? [5] 도토루2629 18/01/10 2629
114523 [질문] 가성비 좋은 블루투스이어폰 추천부탁드립니다. [9] kogang20017440 18/01/10 7440
114522 [질문] 모니터 손해배상 질문입니다 루엘령1937 18/01/10 1937
114521 [질문] 최저시급 인상관련 궁금증입니다. [10] 오버액션토끼3225 18/01/10 3225
114520 [질문] 스팀배그 -> 카배로 넘어가신분 계신가요 [12] 현직백수4231 18/01/10 4231
114519 [질문] 합성수지 성질 관련 질문 Galvatron1338 18/01/10 1338
114518 [질문] 오픈소스 암호화폐가 궁금합니다! [4] 츄지Heart1829 18/01/10 1829
114517 [질문] 법적으로 환불이 안될수도 있나요? 기간권 환불 질문 [23] 리들4714 18/01/10 4714
114516 [질문] 노트북 lg그랭! 어떤가요? [11] 잠이오냐지금3143 18/01/10 3143
114515 [질문] 망한 코인에 대해서 [8] 녹차김밥4794 18/01/10 4794
114514 [질문] [취업 질문] 선택지를 고르기가 어렵습니다.. (금고, VAN사, 대학원) [8] 뀨뀨3403 18/01/10 3403
114513 [질문] 마을버스 기사님과 시내버스 기사님 차이가 뭔가요? [5] 삭제됨3412 18/01/10 3412
114512 [질문] 델 노트북 쓰는 분 있으신가요? [14] 아마데4333 18/01/10 4333
114511 [질문] 포르쉐 마칸 오너 있으신가요? [10] Senioritis3275 18/01/10 32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