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1/06 12:04:10
Name 은구두
Subject [질문] 데/대 구분 못하는 사람이 많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하게 남자를 새로 만날 때마다 데/대(“옆집 철수가 미국갔대”에서 “데”를 자꾸 씀)를 구분을 못합니다.

한두 명 사귄 것도 아니고 손만으로는 세기 어려울만큼 만났는데, 이상하게 다들 데/대 맞춤법 구분을 못합니다. 여사친 중에서는 구분 못하는 애를 거의 못 봤는데, 희한하게 남자들(심지어 만나는 남자는 100퍼센트)이 자주 틀려서 익숙해지다보니 저도 가끔 실수할 정도고 이제는 모르는 남자가 데/대를 틀려도 오 남친 후보인가?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데/대가 틀리기 쉬운 어려운 맞춤법인데 제가 너무 예민하게 구는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roactive
18/01/06 12: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가지 변명을 들자면 아이폰 쓰는데
ㅔ가 너무 끝자락에 걸쳐있어서 오타가 자주 납니다...
한세번쯤 틀리고나면 그냥 보내곤 하죠
희원토끼
18/01/06 12:10
수정 아이콘
ㅐㅔ랑 가까워서이기도 하고...틀렸을 때 귀찮아서 안바꿔요;;
강미나
18/01/06 12:13
수정 아이콘
많습니다.
정유미
18/01/06 12:17
수정 아이콘
많이 있죠. 저는 직업상 맞춤법에 많이 민감한 편이라서.. 상대가 어지간한 맞춤법이나 띄어쓰기 한두 개 정도는 틀려도 그냥 넘어갑니다. 하나씩 다 지적하다 보면 제가 피곤하더군요.
마리오30년
18/01/06 12:28
수정 아이콘
전에는 그런사람이 별로 없었는데 요즘 들어서는 굉장히 많더라구요.
Jon Snow
18/01/06 14:33
수정 아이콘
희안하게 그렇더라구요 pgr에서도 한분봤는데 조리있게 댓글 잘 쓰시는데 무조건 '대' 로 씀
Lord Be Goja
18/01/06 12: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런대 현데인들은 맞춤법에 데해 한자새데만큼 치밀하개 따지는 편이 아니라 뭐 틀려도 상관없을겁니다.그시절애 쓰던 한자는 점하나로 의미가 반전되었는대 요즘은 그건 좀 힘들죠
걸그룹노래선호자
18/01/06 12:33
수정 아이콘
이 뎃글 추천합니다. 그런대 추천 버튼이 어딨죠?
걸그룹노래선호자
18/01/06 12:36
수정 아이콘
https://s17.postimg.org/uj30qu98f/d32fd190-3b03-43dd-8cfc-b5ee89f59f19.jpg

마지막 문장 읽으니 이개 셍각나내요.
이렇개 써도 헤석이 다 됩니다 크크
그렇구만
18/01/06 12:29
수정 아이콘
진짜 모를수도있고 특히 글로 타자를 빠르게 칠때는 실수로 할 때도 있긴하지만 또 다른 경우는 그냥 발음기호 쓰듯이?? 알면서도 엔터를 탁치는 순간 어? 내가 왜 저렇게 썼지? 하는 순간도 꽤 많습니다. 예를 들어 평소에 '데'가 많이 들어가는 문장을 쓰던 사람이 값자기 '대'를 써야하는 상황이 왔을때 무의식적으로 '데'를 쓰는거죠.
그리고 원래 맞춤법이 틀리기 쉽고 어렵고의 차이가 아니고 내가 아는 맞춤법이 있으면 그 부분이 자주 보이게 되고 신경쓰이게 되므로 예민한건 아니시고 정상입니다
아만자
18/01/06 12:35
수정 아이콘
많습니다. 여사친이 구분 못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게 오히려 놀랍네요.
성향상 꼼꼼한 스타일보다는 이지고잉 스타일을 선호하셔서 그렇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지나가다...
18/01/06 12:35
수정 아이콘
틀리는 사람 많을 겁니다. 일단 비슷하고, 다른 자주 틀리는 맞춤법과 달리 이슈도 거의 안 되거든요.
엄격근엄진지
18/01/06 12:44
수정 아이콘
저도 잘모르는대
후보로 들어간 거 맞죠?
감사합니다.
하나래
18/01/06 12:44
수정 아이콘
틀리는 사람 많이 보긴 했는데 크게 신경 쓰지는 않네요
하나하나 따지고 들어가면 띄어쓰기부터 문장에 안 맞게 쓰인 단어 등등
물고 늘어지려면 얼마든지 할 수 있고 저조차도 완벽하다는 생각을 안 하니까요.
18/01/06 12:48
수정 아이콘
안되
이게 제일 많더라고요
강다니엘
18/01/06 12:56
수정 아이콘
많습니다. 말해도 고치지 않는 사람도 많습니다.
괄하이드
18/01/06 12:57
수정 아이콘
현대 한국어에서 ㅐㅔ의 발음구분이 사실상 없어졌고, 그 둘을 구분해서 말할 수 있는 한국어 화자도 많이 줄었고 그 둘을 구분해서 들을수 있는 한국어청자는 더 없죠. 그런 상황에서 복잡한 ㅐㅔ맞춤법 구별을 완벽히 못하는 비율도 점점 늘어날겁니다. 아주 장기적으로 보면 통합될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뭐 그리 예민하게 안 받아들이시는게 본인의 정신건강에 더 좋으실것같습니다.

그리고 저 같은경우 그 부분에서 남/녀의 격차가 있다는 느낌은 못 받았습니다. 그냥 남녀 골고루 많이 틀립니다 크크
특히 말씀하신 했대/했데 경우는 저조차도 알면서도 틀리는경우가 몇번 있습니다. 엔터치고나서 아 틀렸네 하고 바로 깨닫는 그런거죠 크크
Galvatron
18/01/06 22:50
수정 아이콘
에 와 애 가 발음상 구분이 없다구요? 정말인가요?
친친나트
18/01/06 23:19
수정 아이콘
50년대 즈음에 이미 현대 한국어에는 ㅔ/ㅐ 분별이 없어진 것으로 학술적으로도 밝혀졌습니다.
교과서 문법에서는 아직도 다르다고 가르치는데(적어도 저 배울때에는) 이는 극단적으로 보수적인 관점입니다.
신공표
18/01/06 13:06
수정 아이콘
님은 띄어쓰기나 맞춤법을 단 하나도 틀리지 않고 정확하게 사용하시나요?
그렇지 않다면, 누군가는 님을 보고도 그런 생각을 하겠죠.
그냥 그런 겁니다.

저도 지인들 있는 단톡방이나 그런 곳에서, 쉼표나 마침표까지 찍어가면서 카톡하고 맞춤법도 최대한 안 틀리려고 하는 편이라
뭐하러 그렇게 까지 하냐는 소리 듣는 편인데, 상대가 틀리게 사용해도 별 느낌 없네요.
저도 틀리는 게 많을테니까요.
김세정
18/01/06 13:09
수정 아이콘
옆집 철수가 미국 갔데(직접 본 경우)
옆집 철수가 미국 갔대(남에게 들은 경우)
두가지 다 쓸 수 있다고 알고 있고요
맞춤법은 지키면 좋지만 일상생활에서 쓰는 경우에는 당연히 틀릴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18/01/06 13:16
수정 아이콘
대/데는 성차별적 맞춤법이 아니라 그냥 전체적으로 틀리지 않나요...대체적으로 대보단 데를 쓰구요. 주변 남/여사친 모두 틀리는 쪽입니다.
마스터충달
18/01/06 13:17
수정 아이콘
이건 양반이죠. 에/의 구분 못 하는 것 보단 낫잖아요.
18/01/06 13:25
수정 아이콘
전 일상생활에서 맞춤법 맞추는거에 전혀 신경을 안써서 별로 개의치 않더라구요. 데 대 정도면 헷갈리기도 쉽고, 틀린다고 의사소통 안되는것도 아니니...
18/01/06 13:35
수정 아이콘
한번 알면 구분하기 쉬운데 그걸 깨닫는 게 힘든 거 같아요.
틀리면 남친후보란 말씀은 재미있네요 크크크
18/01/06 13:40
수정 아이콘
한두번 틀린다-> 오타이거나 실수
계속 그렇게 쓴다-> 모름
이거겠죠.
푸른발가마우지
18/01/06 14:02
수정 아이콘
확증편향일 가능성이 높긴 한데, 아니라는 전제하에 말씀드리면 글쓴이분 남자취향과 어느정도 약한 상관관계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참고로 '철수가 미국갔데'도 맞는 표현입니다. 물론 갔대일때랑은 뜻이 달라지지요.
18/01/06 14:28
수정 아이콘
어떤 경우에 '철수가 미국갔데'가 맞는 표현인가요?
딱히 그렇게 쓸 수 있는 경우는 안 떠올라서요.
시작,끝,다시시작
18/01/06 14:55
수정 아이콘
말하는 사람이 철수가 미국간걸 직접본거죠.
그 사실을 다른 청자에게 얘기하면서 데 를 쓸 수 있습니다.
18/01/06 15:15
수정 아이콘
아 생각해보니 그렇게 쓰긴 하겠네요
Philologist
18/01/06 15:12
수정 아이콘
-다더라 로 치환되는 자리에는 -대 가
-더라 로 치환되는 자리에는 -데 가 들어갈 자리입니다.
철수가 미국 갔다더라 - 철수가 미국 갔대
철수가 미국 갔더라 - 철수가 미국 갔데
18/01/06 15:15
수정 아이콘
명쾌하네요
페로몬아돌
18/01/06 16:5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이과충 또 배워 가네요.
지금이대로
18/01/06 14:49
수정 아이콘
전 징징되다 부들되다 이런거 보면 짜증이......
은구두
18/01/06 15:14
수정 아이콘
댓글이 생각보다 많이 달려있어 놀랐네요! 보통 대 쓸 자리에 데를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긴 했는데요, 맞춤법과 제 남자취향과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 같기도 해요. 책 많이 읽어서 똑똑한 남자가 싫은가?

많은 의견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대/데 틀리게 적어주신 분들은 남친 후보 입후보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크크크
한걸음
18/01/06 16:41
수정 아이콘
아니 재개 이런 기회가 오내요.
18/01/06 16:59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 동창 한명도 데 대 맨날 틀리던데
나름 괜찮은 대학 갔어요
이후 전문직 남성들 골라사귀다 좋은데 시집간거보면
신경 안쓰는 사람이 엄청 많은듯 해요
18/01/06 21:15
수정 아이콘
않이 외 구부니 안됀대요?
파란아게하
18/01/06 21:19
수정 아이콘
남친후보 탈락이군용 아쉽
아니 후보도 탈락이라니!
세종머앟괴꺼솟
18/01/07 11:44
수정 아이콘
틀리기 엄청 쉽고 실제로 틀리는 사람이 안 틀리는 사람보다 더 많습니다
18/01/07 12:48
수정 아이콘
부끄럽지만 엊그제 유게 보고
낭떠러지 인줄 알았습니다..
이제껏 낭떨어지라 했는데..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4351 [질문] 교통사고 질문입니다. [1] 누에고치1235 18/01/07 1235
114350 [질문] 나혼자 산다를 본다면 [3] GLtheSKY2068 18/01/07 2068
114349 [질문] 노트5 배터리가 광탈합니다 [5] 리나시타1906 18/01/07 1906
114348 [질문] 감성주점을 처음 왔습니다.. [7] 삭제됨3463 18/01/07 3463
114347 [질문] 컴터에서 타는 냄새가 납니다 ㅜㅜ [4] 유소필위1518 18/01/07 1518
114346 [질문] 빗썸 가상계좌 질문입니다 [11] 제르3872 18/01/06 3872
114345 [질문] 중고폰 거래질문이요 [1] 사랑총1838 18/01/06 1838
114344 [질문] 윈도우 사용자 맥북프로 사용 어려울까요? [21] 50b2495 18/01/06 2495
114343 [질문] 정과 망치로 돌을 깨고싶습니다 [12] cs2669 18/01/06 2669
114341 [질문] 이번 인텔 대란 노트북에도 영향 있어요? [4] 렌야2852 18/01/06 2852
114340 [질문] 허리 충격파 치료 어떤가요? [5] 삭제됨1855 18/01/06 1855
114339 [질문] 난이도 높은 질문 드립니다. 9701 버스 관련 [1] 절름발이리오너라2178 18/01/06 2178
114338 [질문] 탈모치료제 미녹시딜 사용법 질문드립니다. [1] 절름발이리오너라3153 18/01/06 3153
114337 [질문]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영혼2543 18/01/06 2543
114336 [질문] 남자 유행안타는 패딩 추천좀.. [8] 위대한캣츠비3750 18/01/06 3750
114335 [질문] 지하철 관련 질문입니다 [30] Survivor3742 18/01/06 3742
114334 [질문] 전자캐드기능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4] 생힝6010 18/01/06 6010
114333 [질문] 컴공과 전공의 취업에 대해 궁금합니다. [7] 돈의신3022 18/01/06 3022
114332 [질문] <차 구입 질문>소나타/말리부/SM6중 어떤게 가장 나을까요? [7] 시지프스2537 18/01/06 2537
114331 [질문] 박근혜 5개 국어 가능이 진짜인가요? [33] 설사왕6622 18/01/06 6622
114330 [질문] 쩝쩝이를 만났습니다 [18] 맥주귀신3705 18/01/06 3705
114329 [질문] 암호화화폐 관련 서적 추천 요청 [3] 올포유2379 18/01/06 2379
114328 [질문] 높낮이 조절 책상 [6] 편두통2076 18/01/06 207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