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26 10:15:04
Name 피정
Subject [질문] 임신 중 육아휴직
얼마전 여자친구의 임신소식을 접했는데..멀리떨어져서 당장 오늘도 출근을 해야하는 상황이라 너무 걱정이 됩니다.

초산에 노산인데 평소 건강상태도 좋지 않습니다.

임신 중 육아휴직이 가능할 것이다, 라는 기사들은 검색이 되는데 이게 지금 시행되고 있는 제도인지 다른 방식으로라도 가능한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금 제도로 보면 12주까지 2시간 단축근무 정도 주고 출산전후휴가는 90일, 것도 45일은 출산후에 써야하고 산달다되서 한달 남짓쉬고 그 전에는 다 출근을 해야 한다는건데 요즘 다들 노산이 많아서 유산도 많고 그렇게 출산율 저하 대책이 필요하다 노래를 부르면서 임신초기 입덫도 심하고 유산가능성도 높은데 휴직도 못한다는게 참 갑갑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26 10:32
수정 아이콘
임신 사실 확인 순간부터 출산 휴가가 가능하다면... 왠만한 대기업이 아닌이상 남탕꼴 날 것 같은데요...
90일, 다태아나 유산 경험 있으면 120일로 알고 있는데
국가별로 비교하면 간 정도는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17/12/26 10:59
수정 아이콘
저도 경험이 없어서 이제야 부랴부랴 여기저기 알아본거지만 임신12주 까지 초기가 유산확률도 가장높고 입덫때문에 산모도 힘듭니다.

어차피 써야할 출산휴가나 육아휴직을 앞당겨서 쓸수 있는 정도면 그렇게 문제될만한건지 모르겠네요.
아시겠지만 점점 임신시기도 늦어지고 있고 35세 이상이면 의학적으로 노산인데 우리나라엔 이제 흔하거든요.

국가간 비교하면 제도를 떠나서 근무환경 자체가 근무시간이라던가 훨씬 열약한것도 있고요.
데일리야근
17/12/26 10:37
수정 아이콘
출산전후90일이 제일 보편적이죠. 그밖에 육아휴직같은것도 출산 후고 회사마다 케바케라서.. 초기에 딱히 휴직하는 방법은 없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임신확인부터 휴가가 가능하면 회사 입장에서 누가 여직원을 뽑겠습니까;;;
17/12/26 10: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육아휴직을 땡겨쓰는 정도는 타당하다 생각합니다.
35세 이상 노산 산부라던지 정도 조건으로요.

물론 현실은 땡겨쓰는게 아니라 그냥 육아휴직도 제대로 쓰기 힘들죠.
17/12/26 10: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일하면서 본 경우는 위쪽이랑 이야기 해서 임신 초기에 본인 연가를 쭉 사용하게 하고 안정되고 나서 출산휴가 때까지 다니는 경우가 있었네요.
17/12/26 10: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임신 중 육아휴직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번 잘 찾아보세요. 다만 출산 후에 사용할 수 있는 육아휴직 기간에서 기간을 가져다 사용하게 됩니다.
참고로 많은 분들이 헷갈리시는게 육아 휴직/출산 휴가 는 성질이 다릅니다. 출산 휴가는 말 그대로 재직 중에 직을 유지하면서 휴가를 받는거라 유급이죠. 월급을 거의 그대로 받을거에요. 그런데 육아휴직은 말 그대로 휴직입니다. 직을 쉬기 때문에 월급을 원래대로 받는게 아니라 휴직 급여를 받게 되는거에요. 둘은 성질이 다릅니다.
17/12/26 10:45
수정 아이콘
네 차이는 알고있습니다.

육아휴직을 땡겨쓰는 정책이 시행될거라는 기사를 봤는데 더 찾아보니 아마 안된거 같습니다.
17/12/26 10:58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공무원은 현재 사용 가능한 휴직 요건인데 아직 일반 직장에까지는 적용이 안되었나보네요. 입법 예고는 계속 있었던 것 같은데... 안타깝네요.
17/12/26 11:01
수정 아이콘
2016년말에 내년중후반(2017년말)부터 시행될 것이다식의 기사가 몇개 있더라구요.

그 이후로 별 얘기가 없는데 청와대 청원에 관련내용 올라온게 있는데 회기안에 처리되지않아 폐기되었다고 합니다.
배고픈유학생
17/12/26 11:21
수정 아이콘
친구와이프가 32살인데 조리원 막내라고 하더군요. 아무쪼록 건강관리 잘하시길 바랍니다.
17/12/26 11:24
수정 아이콘
현행법상 육아휴직을 출산전에 땡겨쓸수는 없습니다.
회사쪽과 얘기해서 무급휴가 또는 병가를 받는게 최선일듯 합니다..

지금 당장 급한 경우라면 출산휴가 90일 중 산전 44일 분을 미리 분할하여 사용할 수는 있는데, 이런게 필요한건 아니신거 같구요.
17/12/26 11:26
수정 아이콘
출산휴가 땡겨쓰려면 유산가능성이 높다던가 하는 진단서를 받아야 한다는거 같더라구요.

뭐 여튼 안되면 그렇게라도 해야죠.
17/12/26 11:27
수정 아이콘
이전에 유산 또는 사산 경험이 있거나/유산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서를 받거나/만 40세 이상이면 가능합니다.
아무쪼록 무사히 순산하시길 기원합니다...
사악군
17/12/26 11:27
수정 아이콘
보통 연차와 병가를 이용합니다. 초반 힘든 기간 넘기면 또 버틸만해서 연차+병가로 초반기간 넘기고 일하다가 출산휴가 들어가지요.
메모네이드
17/12/26 16:33
수정 아이콘
주변에 이런 사정때문에 임신 후 퇴직 또는 임신 준비 중에 퇴직하신분이 참 많아요. 30대 넘어서 일하면서 아기 가진 분 중에 유산 한 번도 안 해본 분이 오히려 귀한거 같구요. 저도 임신초기에 남은 연차+리프레시 휴가 다 합쳐서 한 3주 쉬었는데 그 뒤엔 휴직or퇴사 밖에 방법이 없었습니다.. 잘 결정하셔서 아기 건강하게 지키시길 바래요. 유산하면 정말 힘들거든요.
17/12/26 19:56
수정 아이콘
와 오늘 이런걸 발표했군요!
근데 내년 시행목표라ㅜ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3847 [질문] 스타 리마스터 복귀해보려하는데, 실행 문제 질문드립니다. [1] 아는남자1901 17/12/26 1901
113846 [질문] 예금 외에 적금이나 부금 하는 분들 많으신지요...? [11] nexon3253 17/12/26 3253
113845 [질문] 중소기업에서 승진할때 연봉이 얼마정도 오르나요? [21] NCS24376 17/12/26 24376
113844 [질문] [배그] 저사양으로 본체견적 추천부탁드립니다. [12] 곡사포3917 17/12/26 3917
113843 [질문] 주차장 중립 기어 중 사고 [4] 비둘기야 먹쟈2125 17/12/26 2125
113842 [질문] 중고나라 사기를 당했네요? [5] Tyler Durden3702 17/12/26 3702
113841 [질문] 기계공학과 취업관련 질문 [1] Tier12473 17/12/26 2473
113840 [질문] 그래픽카드 수리업체 추천 부탁드립니다. [1] Briz032173 17/12/26 2173
113839 [질문] 영화 신과함께 솔직한 평가 부탁드립니다 [37] 제드4489 17/12/26 4489
113838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 드립니다. [4] 혜린2432 17/12/26 2432
113837 [질문] 블루투스 헤드셋 설정 질문입니다.. [1] 지숙8203 17/12/26 8203
113836 [질문] 플레이스토어 결제관련질문입니다 [2] MeMoRieS1398 17/12/26 1398
113835 [질문] 적당한 기부처 있을까요? [4] Schol1731 17/12/26 1731
113834 [질문] 편의점 아르바이트 어떤가요? [13] 포이리에3242 17/12/26 3242
113833 [질문] 핸드폰 질문입니다. [6] flawless1239 17/12/26 1239
113832 [질문] 인생 혹은 2018년 모토 같은거 있으세요? [24] 냉면과열무2932 17/12/26 2932
113831 [질문] 미래에셋대우 CMA 계좌를 증권 계좌로 이용하시는 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회색사과2039 17/12/26 2039
113830 [질문] 가구 관련 컴퓨터책상 완제품 혹은 직접 제작 문의입니다. [2] Tiny1950 17/12/26 1950
113829 [질문] 운동에 취미 붙이는 방법 없을까요... [36] 파츠5492 17/12/26 5492
113828 [질문] PS4 용 2인용 게임 추천 좀 해주세요~ [8] RENTON11840 17/12/26 11840
113827 [질문] 닌텐도 스위치 소프트 추천 및 패드질문 [9] 지숙2312 17/12/26 2312
113826 [질문] 마인 크래프트를 온가족이 할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4] 영혼의공원1803 17/12/26 1803
113825 [질문] 50층 정도 아파트 거주.. [26] 자몽4669 17/12/26 46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