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14 15:35:53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사회초년생 생활비 질문입니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윗앤솔티
17/12/14 15:55
수정 아이콘
아직 여자친구가 없으실때 돈 빠짝 모으셔야합니다!
히로미
17/12/14 15:57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합니다! 언제 생길지... 크크
스윗앤솔티
17/12/14 15:57
수정 아이콘
늦게생길수록 돈을 더 많이 모을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히로미
17/12/14 16:23
수정 아이콘
여기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단점도 있죠... ㅠㅠ
하우두유두
17/12/14 16:56
수정 아이콘
닉넴보고 히토미인줄...
싸이유니
17/12/14 16:21
수정 아이콘
제가 처음에 33짜리 월세 살면서 한달에 85정도에 살았던것 같습니다.(여친있고 차없음)
월세 33 + 용돈 30 + 핸폰비 6 +교통비 5 + 공과금 5 + 예비비용
월급중 85 이외의 예비비 20 따로 cma넣고 나머지 전부는 적금넣었었네요..
대략적으로 월급의 70%이상 넣으면 많이 넣는거더라구요.
히로미
17/12/14 16:31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용돈 30만원 정도로 생활할 수 있군요.
그런데 CMA의 경우에는 어떻게 관리하셨나요?
초기 금액에 계속 추가하셨다는 말씀이신가요?
싸이유니
17/12/14 16:33
수정 아이콘
저같은경우 회사에서 3끼 다먹고 주말에는 여친만나 밥먹고 하다보니 생활이 가능하더군요.
아 쇼핑에 별 취미가 없긴 합니다..한달에 옷 한벌살까말까...
CMA는 별도 관리보다는 예비비용으로 넣어두었습니다. 축의금이나 여행이나 갈경우를 대비해서 매달 20씩 넣었어요
직장생활 하다보면 은근 그런 비용으로 많이 나가거든요..
히로미
17/12/14 16:35
수정 아이콘
비상금 명목으로 20씩 꾸준히 넣으셨다는 뜻이었군요.
다시 한 번 답변 감사드립니다.
싸이유니
17/12/14 16:38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막상 20씩넣음 돈이 좀모일것 같지만...무슨 행사가 그리많은지..
대리님 출산.. 상가집...친구결혼... 줄줄이더군요..
참고로 전 정말 미니멈하게 사는 체질이라 저렇게 살았고 지금도 그렇게 차이는 안나지만
주변 친구들한테 말하면 미첬다고 하더군요....
보통 친구들은 한 120정도는 기본 사용하는것 같았습니다.
열심히 적금하세요!!
HA클러스터
17/12/14 16:22
수정 아이콘
독립해서 혼자 살 경우 기본 가재도구 구입에 지출이 있습니다. 3신기(냉장고,세탁기,청소기) 에 조리도구, 옷장,커텐,선풍기 등등. 부모나 친인들에게 얻을 수 있는가 없는가 크지요. 그리고 주거비용이 순수하게 방세만인가, 광열비등 포함인가에따라 지출액이 틀려지겠네요. 전기,가스,수도비가 고정지출에 여름과 겨울은 비용이 더 커지고요.
히로미
17/12/14 16:27
수정 아이콘
기숙사 거주라 지금은 공과금 정도만 추가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3신기 중 냉장고, 세탁기는 필요가 없고 청소기는 지금 원룸에서 사용하는 싸고 힘쎈놈이 있어서 그대로 들고 갈겁니다.
나머지는 아직 기숙사 구조를 정확히 몰라서 잘 모르겠네요. 이불 등 지금 쓰고 있는 것들은 최대한 활용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1년 뒤에 전세방을 구하려면 대비를 해두어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17/12/14 16:46
수정 아이콘
생활비라는게 인간관계에 따라, 어디에 살고 있는지에 따라, 혹은 여행이나 여러 변수를 가지는게 너무 많아서...

일단 어느정도 수준까지 내가 모아야겠다. 라고 설정을 하시고 그에 맞춰서 내 예산을 줄여나가야 목돈을 만들수 있겠죠.

그리고 초년차에는 아무래도 취업빵이니 뭐니 해서 주변사람들에게 밥 몇번사면 사오십되는게 순식간이라 첫 몇달간의 지출은

조금 클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장 고정지출만 보았을대 취미생활 15 + 통신비 10 + 주거비 25 정도만 해도 50정도인데

초년생이라고 해도 경조사비나 음주등의 용돈을 아무리 줄이셔도 20이상은 들지 않을까 싶네요.
17/12/14 16:47
수정 아이콘
기본 70~80정도로 예산을 잡으시고, 여행이나 별도의 목적이 있는 비용(pc)의 경우는 자동이체를 다른 통장으로 하셔서

별도의 비용을 모으시는게 좋을거 같구요. 일단은 목표비용까지는 월급에서 자동이체로 1년 만기의적금을 드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히로미
17/12/14 17:00
수정 아이콘
제가 반대로 생각하고 있었네요.
어느정도 생활비를 먼저 생각해놓고 나머지 금액을 적금으로 넣으려고 했는데,
적금 목표를 설정하는게 먼저군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70~80의 예산은 주거비 통신비를 모두 포함한 생활비를 말씀하시는 거 맞나요?
17/12/14 17:26
수정 아이콘
네. 통신비 주거비 포함한 생활비를 70~80이라도 들어두시는게 좋을듯 하구요.

초년생이시라면 소액이라도 청약통장 하나정도 가입하셔서 유지하시는게 미래의 큰그림에 보탬이 되실듯 하고,

신용카드 사용도 소액으로 계속 사용하시면 신용도 상승에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하고, 나중에 결혼이라던지

빅 이벤트가 있을때 신용카드 만들어서 갑자기 쓰려고 하면 한도가 안나오니 미리 내역보시면서 조금씩 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라벤더
17/12/14 17:14
수정 아이콘
저도 BLitz.님 말씀에 동의해요. 제 경우는 초년생 때부터 지금까지 월급일의 다음 날이 모든 자동이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돈이 나가는 시간대가 차이가 있어서인지 같은 날로 해놓으면 누락되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여튼, 고정 지출 고려하셔서 적금 목표를 설정하면 남는 돈으로 어떻게든 살아집니다.(?)
17/12/14 17:28
수정 아이콘
저는 주거공간이 있었는데도 최대한 아껴서 한달에 80정도 썼던것 같아요.
17/12/14 19:24
수정 아이콘
특별한 이유가 있는게 아니시라면 일반적으로 PC 장만하는데 150까지 갈일은 없으니 여기서 줄여서 계산하시면 될듯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3275 [질문] 에이핑크 콘서트 티케팅 성공하신 분 계신가요? [7] 비익조1921 17/12/14 1921
113274 [질문] 디지털 피아노 질문입니다. [5] Waldstein2182 17/12/14 2182
113273 [질문] 학습의욕을 어떻게 고취시킬수 있을까요? (공부하는데 있어서 열정이나 끈기를 늘리는 방법) [14] 빛날배 2880 17/12/14 2880
113272 [질문] 롯데택배는 개판인가요? 택배가 안옵니다.. [7] 진인환3675 17/12/14 3675
113271 [질문] Be Y폰(비와이폰)으로 카카오뱅크 쓰시는 분 있나요? [2] will1532 17/12/14 1532
113270 [질문] 유료 백신 추천부탁드립니다. [8] 설아4267 17/12/14 4267
113269 [질문] 워터마크를 사진의 비율에 따라서 조절해서 넣을수 있을까요? 야야 투레1492 17/12/14 1492
113268 [질문] 금연하시는 분들 금연 계기는 무엇인가요? [26] 펩시콜라3955 17/12/14 3955
113267 [질문] [모니터] 한성컴퓨터 ULTRON 3278 QHD - 구매할까하는데 괜찮은제품인가요? [6] 전크리넥스만써요4232 17/12/14 4232
113266 [질문] 아래 법정용어 10개의 차이점을 몇 가지나 아시나요? [29] 파란무테3502 17/12/14 3502
113265 [질문] 대학로 부근 주차 가능한 맛집 추천해 주실만한 곳 있으신가요?? [1] 원스2931 17/12/14 2931
113264 [질문] 댕댕이가 소변판에 안올라가요ㅠㅠ [3] 빅픽쳐2219 17/12/14 2219
113263 [질문] [우분투] ubuntu ssh 관련 질문드립니다! [7] 인생은서른부터1691 17/12/14 1691
113262 [질문] 스노우 보드 장갑 벙어리vs손가락 [10] cs3118 17/12/14 3118
113261 [질문] 사회초년생 생활비 질문입니다. [19] 삭제됨3605 17/12/14 3605
113260 [질문] 여러분이 면접관이시라면? [25] 유정연꺼3586 17/12/14 3586
113259 [질문] 코인주의) 지겨우시겠지만 몇가지 질문입니다 [8] 해피바스2705 17/12/14 2705
113257 [질문] 페이스북 동영상을 PGR로 퍼오고 싶습니다. [8] 드림2104 17/12/14 2104
113256 [질문] 코인을 가치 장기투자 한다면? [16] Part.34602 17/12/14 4602
113255 [질문] 인터넷으로 집 구하기!! [9] 잠이오냐지금2365 17/12/14 2365
113254 [질문] 데이터 폭탄 감면 [2] 버터핑거3412 17/12/14 3412
113253 [질문] PGR 싸이트 총 회원수랑 하루 방문자수가 대략 얼마나 될까요? [5] BlueSKY--1854 17/12/14 1854
113252 [질문] pc 최고사양으로 이번에 맞추려는데 한번 검토좀 부탁드림니다 [19] seoulstar3140 17/12/14 31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