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12/11 02:17:13
Name Total
Subject [질문] 핵심을 빨리 파악하는 능력은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요?
어느 분야든 습득이 빠르거나 고수들은 중요한 점이 무엇인지 금새 파악하고 거기에 집중하더라구요. 하다못해 롤만 하더라도...

굳이 분야를 가리지 않고 핵심을 빨리 파악하는 능력은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요?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11 02:2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런건 개개인적인게 큰거 같지만 후천적으로 키우려면
경험과 공부뿐이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사회생활 초창기엔 군대시절 경험도 있고해서
공부만한 명문대생보다 해당 현장경험있는 직원이 더 낫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와서 아랫사람으로 둬보니
확실히 좋은대학 나와서 공채로 들어온애들이 현장에서 올라온 애들보다 훨씬 배우는것도 빠르고
생각자체가 달라서 빨라요
당장 2~3년은 현장에서 치고올라온애들이 잘하는데 5년이상보면 공부만 하다온애들이 훨씬 잘해요
스핔스핔
17/12/11 05:00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는 똑똑한 사람들이 애저녁에 대부분 공부쪽으로 빠져서 그런것도 크지 않을까요?
17/12/11 11:21
수정 아이콘
음 당연 그렇겠지만 그냥 사회초년생일땐 제 생각이
뭐 예를들면 공사현장 관리하는데 건축학과 나온 애보다
그냥 고등학교졸업하고 노가다판뛰다 온애들이 목수나 석공들이 어떤일 하는지아니까
관리도 잘할거라고 생각했다고 생각했었다고 보시면 될듯..
bemanner
17/12/11 02:47
수정 아이콘
내가 파악능력이 있으면 상관없는데
내가 파악능력이 부족하다 싶으면 그걸 파악 잘하는 사람을 찾아내서
어떻게든 그사람 바짓가랑이 붙들고 그사람이 뭘 어떻게 하는지 베끼는 게 최선 같습니다.
블랙핑크지수
17/12/11 04:00
수정 아이콘
핵심파악능력은 경험쪽이 가장 크다고봅니다
17/12/11 04:52
수정 아이콘
통찰력이라고 하죠. 근데 그것도 지능의 일종이라 타고나는 점이 큽니다.

부족하다 싶으면 경험을 쌓고 공부하면 늘긴 하는데, 타고나는 부분은 어쩔수가 없어요.
스핔스핔
17/12/11 05:04
수정 아이콘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barcode=9788996466451
군대서 우연히 봤던 책인데 나름 도움이 될것도 같습니다.
저격수
17/12/11 06: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항상 되돌아보고, 제가 하는 행동의 원인을 잊지 않는 것이 제일 중요한 것 같습니다.
무에서 채우는 것은 어느 정도의 지능을 갖추면 할 수 있는데, 잘못된 고정관념은 죽어도 안 고쳐집니다. 그리고 그 고정관념은 자신의 행동의 원인을 망각하거나, 오해하는 것에서 온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진짜 목적 이외에 다른 것은 모두 진짜 목적을 위한 수단이라는 것을 항상 기억하는 것입니다. 머리가 좋은 학생들도 자주 겪는 문제인데, 자신의 역량을 뛰어넘는, 또는 그에 필적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소위 "꽂힌" 것이 있으면 진짜 목적을 잊어버리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 때, 자신이 한 곳에 지나치게 집중한다고 생각하면 한 번쯤은 다른 사람과의 대화 또는 스스로 돌아보는 과정을 통하여, 그것에 꽂히는 것이 맞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것을 잡아주기 위해 동료가 있는 것이고, 그래서 동료는 "자신과 비슷한 역량을 가져서 비슷한 곳에서 생기는 문제를 이해하면서, 그것을 해결해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 제가 쓴 걸 읽어보고 나니 새벽이라 그런가 주저리주저리 헛소리만 쓴 것 같습니다. 사람이 바뀌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저것을 수행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좋은 동료를 두고 + 집중해서 생각하고, 집중해서 쉬는 것 같습니다.
17/12/11 09:14
수정 아이콘
두괄식으로 말 하는 연습을 하면 도움은 됩니다.
나이스데이
17/12/11 12:17
수정 아이콘
아마 천재들과 관련된 이야기들은 접하다보면 핵심을 파악하는 것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단순히 나열된 것 처럼 보이는 사과, 딸기, 배를 보고 '과일'이라는 상위 개념을 얽어낸다거나 혹은 2호선은 사당, 합정, 교대, 강남으로 구성되있지 등등. 이러한 일련의 조직화 과정이 핵심을 파악하는 것에 가까워지는 훈련이 될 수도 있구요. 관련 분야에 글을 많이 읽고, 문단별로 요약하고, 전체 내용을 다시 정리하는 등의 작업을 해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잡스에 따르면 아이디어란 것이 어떤 포인트 하나가 아니라, 그 포인트의 처음부터 끝까지(ex아이폰=포인트, 처음부터 끝=생산, 품질, 유통, 관리 등)라고 하니 이런 개념이 좀 도움 될 것 같기도 하네요.
브라이언
17/12/11 12:27
수정 아이콘
타고난것이 아닌 이상 다른방법이 없어요.
고민하고, 생각하고, 공부하는겁니다.
그런데 이게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어야 꾸준히 가능합니다.
그러다보면 어느순간 실력이 확 늘어나는 시기가 옵니다.
17/12/11 18:37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윌모어
17/12/11 19:57
수정 아이콘
살짝 엉뚱한 답변을 달아보자면, '그게 왜 핵심이야?' 라고 질문할 수 있는 반항기(?)가 있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사실 본문 글로만은 '핵심'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파악하기 어렵죠. 그런데 '핵심'에도 사실 두 종류가 있습니다. 수능시험에서 출제의도 찾을때와 같은 '핵심'과, '핵심'이라고 가르치며 그것을 일방적으로 주입시키려 한다는 의도를 꿰뚫었을때 보이는 또 다른 '핵심'이 그거죠. 어, 두서없이 적다보니 설명이 쉽지 않은데, 전자의 '핵심'을 잘 찾고 싶다면 훈련이 답입니다. 다른 분들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남이 하는 말들에 대해 많이 고민하고 생각하고 공부해야하죠. 하지만 후자의 '핵심'은 훈련만으로는 되지 않는, 본질적인 재능 차이가 있다는 생각을 종종 합니다.
잉크부스
17/12/11 23:16
수정 아이콘
고수는 아니지만 나름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이 높다고 생각하는데요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은 업무를 구조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언가 시작할때.
원리를 이해하려고 해보면 처음엔 느리지만 조금만 지나면 인사이트가 생기죠..
이런 능력은 타고나는 것도 있지만 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13121 [질문] 중고 컴퓨터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16] 올래2980 17/12/11 2980
113120 [질문] 공기청정기 효과 있나요? [15] 김철(33세,무적)4286 17/12/11 4286
113119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7] 탄야2164 17/12/11 2164
113118 [질문] 약국에서 영양제를 사는건 안좋나요? [6] 진인환3352 17/12/11 3352
113117 [질문] 여수사시거나 가보신 분들 답부탁드립니다. [4] 파란무테2067 17/12/11 2067
113116 [질문] 스텁허브(티켓비스) 통해 티켓구매해보신 분 계신가요? [1] Liverpool FC4057 17/12/11 4057
113115 [질문] [하스스톤] 일일 퀘스트가 변경 되었나요? [4] 이브나2518 17/12/11 2518
113114 [질문] 가로 64cm, 높이 11cm 이하 사운드바 없을까요? 1 [2] 귀여운호랑이1687 17/12/11 1687
113113 [질문] 라그 제로 관련 질문... [2] 그말싫1148 17/12/11 1148
113112 [질문] 상품을 인터넷 결재했는데 이제와서 가격오류라고 합니다 [1] lou1621 17/12/11 1621
113111 [질문] 공기업 취업 관련 문의드립니다. [5] YouTube3374 17/12/11 3374
113110 [질문] 빗썸 변동률 질문 드립니다. Soviet March2913 17/12/11 2913
113109 [질문] 커피레이크 i7-8700k는 언제쯤이 구매 적기 일까요? [4] 전크리넥스만써요2240 17/12/11 2240
113108 [질문] 취업, 이직, 커리어에 대한 전반적인 질문입니다. [3] 삭제됨1993 17/12/11 1993
113107 [질문] 나이대가 다른 종합비타민 먹어도 될까요? [8] 1perlson2367 17/12/11 2367
113106 [질문] 서울 호텔 뷔페 추천 부탁드려요. [9] 도시의미학3260 17/12/11 3260
113105 [질문] 하스스톤, 오크하트 쓰는데 불곰수호병 소집이 안됩니다. [8] 불같은 강속구2452 17/12/11 2452
113104 [질문] 컴퓨터 사양 및 가격 여쭈어봅니다. [9] 지바고1681 17/12/11 1681
113103 [질문] 기타칠 때 쓰는 초크 어디서 구입 가능한가요? [10] 더치커피8321 17/12/11 8321
113102 [질문] 그래픽 작업용 노트북 추천해주세요 BlueSKY--1899 17/12/11 1899
113101 [질문] 한국인이 발음하기 힘든 일본어 발음이 뭐죠? [12] Lighthouse9784 17/12/11 9784
113100 [질문] 억지로 잠을 참으면 잠을 깨는 이유가 뭘까요? [3] 강미나3234 17/12/11 3234
113099 [질문] 핵심을 빨리 파악하는 능력은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요? [14] Total6234 17/12/11 62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