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2/06 11:08
q1. 전세금은 아마 주인이 대략적으로 정할것 같습니다만 한 6000 내외정도 되지 않을가 싶습니다.
q2. 버팀목전세자금은 국가에서 지원하는것으로 어느 은행을 가던 동일하니 가까운곳 또는 주거래은행 가시면됩니다.
17/12/06 11:10
아낄수있으면 아끼셔도 좋죠 근데 1000/48이다 등기잘 떼보시고 융자있는지 없는지 확인하셔야되고 근생주택인지 주택위반사항은 없는지 확인해보셔야합니다 근생이나 주택위반사항이 있으면 전세자금대출이 안나옵니다 부동산을 끼고하든 안끼고하든 계약서는 무조건 새로 쓰셔야되며 대출조건은 은행마다 다르고 해서 1금융권 다 알아보시는게 좋아요 버팀목이 되는지 안되는지도 확실히 은행을 통해 알아보셔야합니다. 소득수준에 따라서도 제한이 걸려요
전세금은 지역에 따라 상이해서 집주인하고 협의하시는게 나을거같네요 집주인도 생각한 금액이 있을터니 복비 아끼는것도 좋지만 1000/50이면 전세금이 1억넘어갈거같은데 저같으면 끼고할거같네요...
17/12/06 11:15
1. 지역에 따라 좀 다를 수는 있지만 요즘은 보통 월세 5만원당 전세금 1천만원정도로 잡습니다.
아마 전세 1억~1억1천정도에 관리비 주차비는 내던대로 내는 정도가 될 듯 합니다. 2. 버팀목을 이용하실꺼면 은행이 크게 상관없구요. 은행에서 운영하는 전세대출을 받으시려면 급여통장등을 사용하는 주거래은행이 좋습니다.
17/12/06 11:54
5만원당 1천만원이 대세인데,
그것마저도 금리때문에 주인들이 엄청 꺼려하는 추세죠. 저는 반대의 케이스인데 전세인데, 주인집에서 몇년 내내 계속 월세로 돌리고싶어해요..
17/12/06 12:38
요즘 금리로는 적정 전월세전환율이 1000만원:3~4만원대 입니다. 48만원이면 1억2000~6000만원은 되어요. 1억 이하로만 막아도 이득일 겁니다.
17/12/06 12:41
제가 예전에 알아봤을 때는 월세 2만원에 전세 1000만원을 부르더군요. 물론 거기에서 안했지만 전세를 싫어하는 집주인이라면 그렇게 나올 수도 있어요.
|